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10/22 23:32:42
Name 신정상화
Subject [일반] 전공의도 근로자…대법 "40시간 초과근무 수당줘야"
https://m.mk.co.kr/news/society/11446555

대법원이 병원과 '주 80시간 수련계약'을 맺은 전공의(레지던트)도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이며, 초과근무수당 지급 기준은 계약상의 80시간이 아닌 법정 근로시간인 '주 40시간'이어야 한다고 최종 판결했습니다.
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전공의들은 병원을 상대로 주 40시간을 초과한 연장·야간근로수당을 지급하라며 소송을 냈습니다. 병원 측은 이들이 훈련생 지위이며 포괄임금제에 해당한다고 주장했지만, 법원은 전공의들이 진료 업무를 하고 급여를 받는 명백한 근로자라고 판단했습니다.
특히 '주 80시간'을 명시한 계약 조항 자체를 근로기준법 위반으로 무효라고 판단해 1심에서 100만 원대에 불과했던 미지급 임금이 항소심과 대법원을 거치며 1억 7천만 원대로 대폭 늘어났습니다.

이런 대법 판결은 의료현장의 고질적인 문제에 질문을 던지는 것으로 평가될 것 같습니다. 한마디로 전공의가 하는 일이 '수련'인가 '노동'인가 하는 점인데요. 교육이라는 명분으로 전공의들의 장시간 저임금 노동을 '관행'처럼 여겨온 병원계의 인력 구조는 이대로 지속 가능한가?라는 의문을 던집니다. 이번 판결이 유사한 수련계약을 맺고 있는 다른 병원과 전공의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병원의 인력 운영 시스템과 비용 구조에 근본적인 변화가 따라올 것인지?? 현장의 의견이 있다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주요한 사회 이슈여서 다양한 의견을 듣고자 내용을 발제해 봅니다. 조심스럽지만 정치와 정책 문제가 아니어도 논의가 가능하고, 그쪽 문제로 간다면 당장 포고령 이야기 같은게 나와서 혼파망이 될 것 같아서 한 번 제약을 두고 논의해보고자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SkyClouD
25/10/22 23:39
수정 아이콘
결국 40시간으로 의료 현장을 버티려면 의료진을 늘리는 쪽으로 귀결되겠죠. 결론은 의대 증원이고.
슬래쉬
25/10/23 00:28
수정 아이콘
결론은 의료비 증가죠
25/10/22 23:40
수정 아이콘
전공의들이 혹사 당한다는 건 의사들 스스로도 하는 말이죠
옳은 방향이라고 생각합니다.
jjohny=쿠마
25/10/22 23:44
수정 아이콘
어떻게 변할지 궁금하네요.
포괄임금 기준이었던 계약연봉 기본급 액수를 줄이고, 기본급 + 추가수당 구조로 짤 수도 있기는 하겠죠.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대학병원들이 지금까지 보여준 모습을 보면 이런 식으로 진행될까 우려됩니다.
25/10/22 23:45
수정 아이콘
근데 포괄임금이라면 초과근무 수당이 기본급에 포함되어 있는거 아닌가요?
jjohny=쿠마
25/10/23 00:01
수정 아이콘
하지만... 현실에서는 그냥 '기본급 + 초과수당 없음' 처럼 퉁치는 경우가 많죠.
슬래쉬
25/10/23 00:30
수정 아이콘
이 기사보고 미리미리 자료 모아두지 않았던 ex 전공의들이 많이 안타까워하더군요
내 1억 7천만원!!!
25/10/23 01:19
수정 아이콘
어떻게 바꾸어도 이전보다 대폭 늘기는 할 겁니다. 2심 이후 주 40시간 초과분에 대해 연장 야간 근로를 계산한 게 기본급 + 추가수당 구조랑 별 다를 게 없어서요.
VictoryFood
25/10/23 00:01
수정 아이콘
당연히 40시간에 맞춰서 줘야죠.
80시간도 없애고 주52시간 이상 근무 못하게 해야 한다고 봅니다.
피곤한 의사에게 진료받고 싶지 않아요.
로저페더러
25/10/23 00:08
수정 아이콘
의료계가 아닌 일반 회사에서 인턴들한테 일을 배우는 기간이니 노동이 아니다라고 하는게 말이 될까요

분명 전공의과정이 수련과 노동이 혼재되어 있을수밖에 없지만, 수련이 부족하고 노동만 시켜왔기에 이 사태가 된거죠 

양질의 수련이 안되니 양질의 의사들이 원활하게 배출되는 시스템이 흔들리고, 결국 의료의 질이 떨어지게 되겠죠

결국 의대증원이니 공공의대니 이런걸 추진하는 정치인들때문에 지금같은 의료시스템은 이후에 사라지게 될겁니다
신정상화
25/10/23 00:11
수정 아이콘
앞서는 노동과 수련이 혼재되어 수련이 도외시 되는 걸 지적하셨는데요. 그게 의대증원이나 공공의대 같은 의료 정책과 무슨 연관이 있는지 적어주신 범위에서는 이해하기가 조금 어렵습니다
김재규장군의결단
25/10/23 00:34
수정 아이콘
님 말씀대로라면 수련 위주의 공공의대를 만드는 것도 현실을 개선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일 것 같은데요?
일단닉은바꿔
25/10/23 00:08
수정 아이콘
이게 맞고 그래서 인력 충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어떻게 받아들일지 모르겠네요..
OvertheTop
25/10/23 00:26
수정 아이콘
다 알고 있지먄 결국 돈의 문제죠.
타르튀프
25/10/23 00:27
수정 아이콘
당연히 40시간에 맞춰서 근로하고 정당한 임금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며, 이에 따른 일손 부족을 충당하기 위해 증원도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 모든게 의료비 지출 증가로 이어지겠지만, 전공의들을 노예 취급하면서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저렴하게 받는 기존의 관행은 이제 끝내야죠.
김재규장군의결단
25/10/23 00:33
수정 아이콘
여태 이런 판결이 없었던게 신기하네요. 장시간 노동을 하더라도 줄건 주면서 하는 줄 알았는데요. 
SoLovelyHye
25/10/23 01:43
수정 아이콘
서로의 니즈가 맞아서 그랬던거죠
전공의들도 굳이 공론화해서 의사 부족하니 하며 의대 증원 이야기 나오는거 싫고 
병원도 그 핑계로 싸게 부려먹을 수 있으니 좋고
25/10/23 00:39
수정 아이콘
지역가입자 죽겠단소리또나오겠네요...
은퇴족한테 젤 무서운 건보.. 
건보대신에 기본 의료비도 올려야죠..
호라이즌즌
25/10/23 00:40
수정 아이콘
시간이 나면 다른 측면에서 글을 써 보고 싶은데 여러분이 알던 K-의료는 작년을 기점으로 끝났다고 생각합니다.
돈을 더 쓰든, 아니면 죽을 사람 적당히 죽게 포기하든 양자택일을 해야겠죠.
일관된 정책 방향은 일단 후자로 보이고요. 괜히 포기가 늦는 일부 바이탈과 의사들 매타작중인 걸 보면 말입니다.

앞으로는 뉴노멀에 대비해야죠.
자산 인플레 때 돈 많이 벌어서 외국에 파이프라인 만들어놓는 게 현명하고, 깨어있는 사람들은 이미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25/10/23 01:04
수정 아이콘
상식적인 판결입니다.
손꾸랔
25/10/23 01:16
수정 아이콘
일한만큼 받는건 너무나 당연했죠. 그동안 헐벗었던 시절을 전문의 돼서 보상받겠다는 심리가 있었다면
이제 그게 좀 줄어들걸로 기대하는데 과연 어떻게 될지..
25/10/23 02:39
수정 아이콘
PA 등 병원 소속 정규 교원/직원 위주로 돌아가는게 정상이죠 어차피 이재명 정부도 문정부 의대 정원 증원과 마찬가지로 의료개혁을 천명했으니 전공의들과의 충돌은 시간문제입니다. 다소 혼란이 있더라도 뉴노멀로 받아들이고 전공의는 최대한 수련에 집중시키면서 다시 전부 파업한다고 하더라도 한명이라도 더 빨리 더 많이 죽이려던 사태를 반복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25/10/23 03:13
수정 아이콘
저게 맞다면 그렇게 주장하는 분들은 그냥 원론적인 면을 말하는건지
아니면 저 판결로 인한 의료비 상승이 얼마정도까지 늘어났을때까지 감당가능하다는 계산이 서서 말씀하시는건지 좀 궁금합니다
저게 법리상 맞다 저들도 사람이다란 생각은 저도 드는데, 과연 난 의료비 상승이 얼마나 일어나든 상관없을까 하는 것에 대한 고민이 있어요
신정상화
+ 25/10/23 03:15
수정 아이콘
그런 디테일이 사실 관련자 댓글로 채워지기를 기대했는데... 현직이거나 조예가 있는걸로 보이는 분들은 체념의 정서를 표출하거나, 안좋은 예견만을 남기는 게 보여 아쉽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5264 [정치] 갤럽 조사상 처음으로 주식 투자 선호 비율이 부동산 투자를 앞질렀습니다. [1] 마라떡보끼160 25/10/23 160 0
105263 [일반] 전공의도 근로자…대법 "40시간 초과근무 수당줘야" [24] 신정상화2364 25/10/22 2364 1
105262 [일반] 발루아-부르고뉴 가문의 저지대 통합 [1] 계층방정935 25/10/22 935 1
105261 [일반] 강의 특성에 따라 4대문명이 달라진 이유 [25] VictoryFood5536 25/10/22 5536 23
105260 [일반] 유혹하고 돈 버는 구조 [13] 신정상화5500 25/10/22 5500 2
105259 [일반] 캄보디아 청년, 다수는 그저 또 다른 가해자인가? [74] 신정상화8024 25/10/22 8024 7
105258 [정치] “수십억 아파트 갭투자하고 국민은 안된다?” 정부, 여론 들끓자 전문가 불러 ‘당부’ [부동산360] [374] petrus12412 25/10/22 12412 0
105257 [정치] 조희대의 대법원, 12월 3일 계엄 따른 조치 논의됐나? [446] 빼사스13367 25/10/21 13367 0
105256 [정치] 김건희 이배용과 함께 경회루에서? [18] 삭제됨4862 25/10/21 4862 0
105255 [정치] 돈을 번 아파트, 돈을 못 번 아파트 분석 [43] 바람돌돌이6227 25/10/21 6227 0
105254 [일반] 뉴미디어 시대, 중세랜드의 현대인 [11] meson4342 25/10/21 4342 0
105253 [일반] "트럼프, 젤렌스키에 지도 던지며 압박에 욕설까지" [82] 철판닭갈비11878 25/10/21 11878 11
105252 [정치] “한두 잔 마신” 지귀연 술자리 170만원…대법 감사관 “징계사유 안 돼” [127] 빼사스12646 25/10/21 12646 0
105251 [정치] 이 대통령 '냉부해' 논란 보도, 명태균·김건희 공천 개입 보도보다 2배 많았다 [29] lightstone5868 25/10/21 5868 0
105250 [정치] 부읽남 국토부차관에게 듣는 부동산 썰 [256] 문재인대통령12004 25/10/21 12004 0
105249 [정치] 검찰청 ‘연어 술파티’ 의혹 당일, 김성태 ‘페트병에 술 준비’ 지시 녹취 확인 [112] 베라히10064 25/10/20 10064 0
105248 [일반] 놓치고 뒤늦게 후회하며 쓰는 SMR주 이야기(겉핥기) [29] 깃털달린뱀4585 25/10/20 4585 4
105247 [일반] 나를 스쳐지나간 불꽃 [2] 내꿈은세계정복2858 25/10/20 2858 25
105246 [일반] (주식 관련 글이 올라오길래) 20년 시장생존자의 의견 [21] 퀘이샤4980 25/10/20 4980 11
105245 [일반] 이 시국에 집 팔고 주식에 몰빵한 썰 [154] 휘군12070 25/10/20 12070 22
105244 [일반] <어쩔수가없다> - 기묘한 합리화. (강스포) [10] aDayInTheLife4099 25/10/19 4099 2
105243 [정치] 정부가 보유세 손대려나 봅니다 [470] 비브라늄21285 25/10/19 21285 0
105242 [정치] 국민의힘 당대표 장동혁 윤석열 구치소 면회 [118] 마라떡보끼12462 25/10/19 1246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