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8/04 11:52:25
Name 번개맞은씨앗
Subject [일반] 자본주의에 대하여
:: 자본가와 노동자 ::

자본가도 노동자이고, 노동자도 자본가입니다. 자본가의 의사결정은 지적노동이고, 노동자의 기술과 경험은 지적자본입니다. 자본가의 정보수집과 미래예측도 노동이고, 노동자의 건강한 신체와 사회적 평판도 자본입니다.

시장은 수직연결의 연쇄로 된 루프로 돌아가고, 그 연결 중 필수적인 지점을 독점하면 많은 몫을 가져갈 수 있습니다. 그와 반대로 독점성이 매우 낮으면 몫은 제로에 가까워지게 됩니다. 원재료를 독점하든, 생산을 독점하든, 유통을 독점하든, 소비를 독점하든 마찬가지입니다.

만약 독점인데도 몫이 적다면, 몫을 늘리려는 의지가 부족한 것입니다. 만약 의지가 강력한데도 몫이 적다면, 무력에 의한 것일 겁니다. 시장의 수직연결 어느 지점도 무력에 의해 통제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무력을 좌우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도덕입니다. 개인의 주먹도, 사회의 주먹도, 국가의 주먹도 마찬가지입니다. — 독점과 의지와 도덕은 가격을 결정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라방백
25/08/04 12:24
수정 아이콘
자본주의 사회에서 도덕적인 사람이 더 큰 무력을 가지고 있냐고 보면 답은 절대 아니다 입니다. 하지만 사회 전체적으로 도덕성을 높게 평가해서 더 도덕적인 기업 활동에 더 높은 가치를 부여하는것이 가능한 것이죠. 고도로 자본주의화된 사회일수록 시간, 도덕성, 다양성과 같은 비실재하는 가치를 돈으로 사고파는것이 가능해지는데 한국은 아직 그정도는 아닌것 같습니다.
번개맞은씨앗
25/08/04 12:56
수정 아이콘
깡패에게도 도덕이 있다고 봅니다. 이 구역은 내 구역이고 따라서 여기서 돈을 벌려면 세금을 내야 한다는 것이죠. 무력으로 공간을 독점하고 자신의 주관적인 도덕을 강제하는 거죠. 

어느 나라 대통령은 물물교환식 무역이 도덕이라 주장하죠. 상호관세를 동등하게 해야 한다는 도덕은 무시하고요. 주관적 도덕이 있다는 전제를 해야, 세계를 사실 그대로 이해하기 더 유리하다고 봅니다. 세계나 국가뿐만 아니라, 가족간에도 도덕이 달라서 다툼이 일어나곤 하죠. 
25/08/04 12:58
수정 아이콘
우리가 아는 자본주의는 자급자족할 수 있는 시스템이 아니라
내부식민지(노동자, 여성, 지방 등)나 외부식민지(후진국)을 착취함으로써 유지되는 것이겠지요.
서울에 사는 내가 환경을 생각하며 타는 멋진 전기자동차에 들어갈 자원을 캐기 위해
아프리카에서는 저임금의 아동노동이 행해지고
이 차를 충전하기 위한 전기는 지방 주민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만들어진 발전소에서 오는 거고...

그런 착취를 유지하기 위해 말씀하신대로 무력, 도덕(이데올로기?) 등이 동원되는 것이겠고,
유물론적으로 얘기하자면 그 무력도 도덕도 결국은
생산관계, 경제적 이해관계 등의 물질적 토대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할 거고...

2차대전 후로는 표면적으로나마 무력보다는 규칙을 기반으로 살자고
UN이니 GATT니 WTO니 하는 것들을 만들어왔었는데
트럼프 이후로는 다시 무력이 전면으로 등장하게 될지.
번개맞은씨앗
+ 25/08/04 13:38
수정 아이콘
착취는 검사의 언어라 봅니다. 세상에는 검사나 변호사처럼 적극적인 실천의지를 높이는 사람들이 필요한가 하면, 또한 판사나 배심원처럼 관조적인 사람들도 필요하다고 봅니다. 관조적이라면 도덕언어는 가급적 뒤로 미루는게 필요하다 봅니다. 무죄추정의 원칙처럼요. 검사가 무죄추정을 하고 가만히 있으면 안 되겠죠. 소를 제기하고 법정에 세워야 하는 실천적 과제가 있으니까요. 

저는 기본적으로 어렵고 복잡한 문제는 사실판단과 가치판단을 분리해서 생각합니다. 사실판단을 많이 하고 난 후에 가치판단에 들어가고요. 법원을 놓고 보면 검사는 가치판단을 빠르게 해야 하더라도, 판사는 가치판단을 유보하고 사실심리에 먼저 집중해야 하는 것처럼요. 

착취에 사실성분을 추출하면 매우 적은 몫만 주고 있는 걸 가리킬 것입니다. 여기에 만약 인권이나 건강이 훼손되면 착취라 부를 가능성이 커지겠죠. 

각자는 힘이 없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힘을 뭉쳐야 하고, 이를 위한 수단들이 강화되며, 그 수단 중에 혐오와 증오 그리고 도덕이 있는 거라 봅니다. 도덕감정은 아마 편도체와 뇌섬엽을 자극할 것입니다. 동물의 세계에서도 힘센 침팬지라도 여러 침팬지가 용기를 키우고 덤비면 무너질 것입니다. 집단 규모를 키우고 용기를 키우는 방법은 혐오와 증오 표현을 통해 감정을 증폭하고 서로를 보며 자신감을 키우는 것이겠죠. 

이는 인간도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다만 이를 비폭력적으로 이뤄지게 만드는 방법이 민주주의와 선거인 거라 이해합니다. 결국 숫자로 이길 수 있으니까요. 그러나 아프리카인이 미국이나 유럽의 선거에 투표할 수는 없는 일이겠죠. 따라서 국제협력을 강화하게 되는 것이며, 그에 대한 반동도 생기는 거라 이해합니다. 그 반동도 힘을 키우기 위해 자기들 나름의 도덕이 있을 수 있겠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29] jjohny=쿠마 25/03/16 29198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308870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2463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66875 4
104676 [일반] 자본주의에 대하여 [5] 번개맞은씨앗1584 25/08/04 1584 1
104675 [일반] [강력스포] 좀비딸과 예수님 [2] 부대찌개1606 25/08/04 1606 1
104674 [일반] [노스포] 좀비딸 감상평 - 아빠라면 당연히 그렇게 한다 [24] 헤세드4436 25/08/03 4436 4
104673 [일반] 흥행 실패로 가고 있는 전지적 독자 시점 + 감상평 + 잡설 [76] 불쌍한오빠9516 25/08/03 9516 1
104672 [일반] 언어의 자유 [9] 번개맞은씨앗3263 25/08/03 3263 1
104671 [일반] 20년전 조롱받던 한국드라마 같아진 한국영화 [83] 깐부12525 25/08/03 12525 8
104670 [일반] 머스크 vs 이재용, 시가총액 1000조 원 차이의 이면 [10] 스폰지뚱7116 25/08/03 7116 10
104669 [일반] [팝송] 케샤 새 앨범 "." 김치찌개2419 25/08/03 2419 1
104668 [일반] 『편안함의 습격』- 절대반지의 운반자는 왜 호빗이어야 했는가 [13] Kaestro3486 25/08/02 3486 13
104667 [일반] 원화 스테이블 코인은 무슨 의미가 있을까? [31] 깃털달린뱀5308 25/08/02 5308 1
104666 [일반] 선발 vs 계투 [6] 無欲則剛3041 25/08/02 3041 7
104664 [일반] 최근 구입하고 만족스러웠던 물건들 [9] visco4798 25/08/02 4798 1
104661 [일반] 음악도 AI한테 정복? 지브리 그림 수준이 되버린 작곡 [32] Quantumwk5297 25/08/02 5297 0
104660 [일반] 한국 관세 협정 주요외신 평가 [43] 어강됴리7133 25/08/02 7133 5
104657 [일반] '은행 시스템에는 이자가 없다'라는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의 위험한 착각 [8] 계층방정3703 25/08/01 3703 6
104656 [일반] 민생지원금 다들 사용하셨나요? [58] TheZone6789 25/08/01 6789 1
104655 [일반] 백종원 축제에서 나온 카드 영수증 미스터리 [98] 페이커7511578 25/08/01 11578 34
104653 [일반] [케데헌] 늦게 써보는 혼문 이야기 [18] 네?!4838 25/08/01 4838 6
104652 [일반] 검과 바람과 늑대의 시대 [2] 식별3445 25/08/01 3445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