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선거 기간동안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5/05/20 11:05:48
Name 일없다
Subject [일반] 선거 공약과 평가 (수정됨)
선거에는 공약이 등장합니다
공약은 후보들의 비전과 철학, 노림수 등을 담고 있고 실제로 선거 후 벌어질 일을 예고하는 것으로 유권자들은 그 공약에 집중하여
후보를 판단하고 자신의 투표권을 행사하며 그것은 일반적으로 옳은 결정으로 받아들여집니다.

그렇다면 선거 공약을 평가하는 것은 어떨까요

1. 공약과 추구하는 방향성이 마음에 든다.
2. 공약이 마음에 들지는 않지만 그 외의 방향성에는 동의 할 수 있다.
3. 공약은 마음에 들지만 그 외의 방향성에 동의 할 수 없다.
4. 공약도 방향성도 싫다.

단순하게 생각하면 위의 4가지 정도의 분류가 있을 수 있을 것입니다.

여기에 추가로 따져야 할 것이 그렇다면 그 공약을 실제로 이행할 의지가 어느 정도인지, 이행을 위해 어떤 방법을 사용할지 정도일 것입니다.
주지하다시피 많은 공약은 이행할 의지가 없는 상태로 공수표 발행식으로 나오거나 이행 방법을 도무지 가늠하기 어려워보이거나 합니다.
의지가 있는지에 대한 평가는 그동안 해당 후보의 전력을 살펴 신뢰할 만한지, 기존 해당 후보 지지자들의 의사와 큰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살펴보는 것이 그나마 추측의 확률을 높을 수 있을 법한 방법입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기본적으로 해당 후보에 대한 호오에 따라 후보가 싫으면 해당 후보의 마음에 드는 공약은 [지키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마음에 들지 않는 공약은 [반드시 지킬 것]이라고 판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좋아하는 후보에게는 비슷한 판단이 반대로 적용되겠지요. 
결국 주관적인 판단과 감정이 어떤 공약에 대한 후보의 의지를 평가하는 기준이 되기 쉽습니다.

마지막으로 남은게 어떻게입니다. 
[HOW]라는 영단어를 요새 많이 쓰더라고요.
사실 [HOW]는 선거운동 중에, 기자와 대화 중에, TV토론에서 설명하기에는 너무 복잡하거나 내용이 방대하기 쉽습니다.
한편으로 아직 당선된 것도 아닌데 구체적인 실행지침까지 준비했을 거라고 보기도 어렵고요.
결정적으로 각 후보의 상태에 따라 준비할 [HOW]가 달라야 한다는 게 문제입니다. 그럼에도 확인은 필요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각 후보의 포지션별로 확인법이 달라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대통령 선거를 예로 들어본다면 이렇습니다

1. 지지율이 높고 입법기관을 장악한 후보.
2. 지지율이 높고 입법기관에 상당한 영향력을 가진 후보
3. 지지율이 높고 입법기관에 영향력이 없는 후보
4. 지지율이 낮고 입법기관을 장악한 후보
5. 지지율이 낮고 입법기관에 상당한 영향력을 가진 후보
6. 지지율이 낮고 입법기관에 영향력이 없는 후보

먼저 대선에 나와서 당선권이 된다는 것 자체가 지지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니 4~6번의 공약은 실제로는 별 검증가치가 없습니다. 그렇기에 4~6번에 해당되는, 특히 6번의 후보는 보통 자신의 정치적 신념이나 지지세력의 희망에 맞는 공약을 제시하는 편입니다. 
실제의 경우 4~5번은 존재하는 경우가 있지만 현실적으로 이를 스스로 인정할 수 없습니다. 이에 따라 4~5번은 1~2번에 준하는 방식으로 확인해야 할 것입니다.

이 중 1번은 사실상 [HOW]에 대한 설명이 필요없습니다. 
우리는 이미 대통령 권한만가지고도 얼마나 많은 일을 할 수 있는지 목격했습니다.
1번은 여기에 국회까지 장악한 상태입니다. 
1번은 원한다면 자신의 지지율과 국회권력을 가지고 무엇이든 큰 저항없이 합법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1번의 공약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그 의지의 정도와 공약이 얼마나 마음에 드는지 자신을 살펴보는 편이 훨씬 좋습니다. 
마음에 든다면 어떻게든 실천할 것이니 안심하고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기도나 하는 편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공약이 싫은 건 아니지만 [HOW]가 부족해서 지지하지 못한다는 유권자는 사실 아무리 해당 설명을 해도 구체성이 부족하다거나, 실현 가능성이 적다거나, 실제로는 [HOW]의 설명이 되지 않는다고 하는 등의 이유를 늘려가며 결국 해당 공약을 제시한 후보를 지지하지 않을 가능성이 상당합니다.

보통 2번의 경우가 일반적인 대선 후보의 상황이었습니다. 
또한 예전에는 1번과 비슷한 평가가 가능했습니다.
상당한 국회권력과 높은 지지율로 상대당을 설득, 회유, 압박하여 공약을 실천하는 편이었기 때문입니다. 
다만 지난 대통령 이후로는 2번의 경우 실제 본인이 가진 자산-지지율 및 국회 권력-을 넘는 상당히 일방적인 국정운영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잘 알려지게 되어 상황이 변했습니다. 
2번의 경우 새로이 필요하게 된 것은 어떻게 상대방과 대화할 것인지, 또는 위압이라도 할지에 대한 방법을 확인해야 합니다. 
이에 대한 대답이 없는 경우, 또는 지나치게 일방적인 방안만을 제시하는 경우에는 합법의 경계선에서 자신의 지지자 이외의 대부분의 
유권자에게 불만을 사는 방법만을 시도할 가능성이 있고-바로 지난 정부가 실례를 보여준 덕에 기우라고 할 수 없게 됨- 결과적으로 임기 중
특별한 이벤트로 지지율이 압도적으로 상승하거나 총선 등을 거쳐 입법 권력에 수정이 생기지 않는 한 상대방과 극한의 대립구도를 형성하게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2번의 경우 높은 지지율과 상당한 국회권력을 쥐고 있는 만큼 대립구도를 이겨내고 시행한 정책이 성공적일 경우 1번의 상태로 진화 할 수 있습니다. 
아마 이게 최선일 것 입니다.
 
3번의 경우는 아주 특별합니다. 
이런 경우는 사실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만 3번이라고 주장하는 후보는 가끔 있을 수 있습니다. 
3번의 경우 객관적으로 볼 때 6번 케이스와 다를 게 없기 때문에 본인의 철학과 비전을 담은 공약을 내세우는 편이 좋을 것입니다. 다만 다른 후보나 유권자들은 해당 공약에 별 관심이 없겠지요. 
그러나 실제로 3번 상태의 후보가 존재하지 않으라는 보장은 없습니다. 이 경우에는 어떤 검증이 필요할까요.

저는 이 경우 2번 방법론을 확장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3번 후보가 가진 자산은 오직 지지율뿐인데 어떻게 [HOW] 의회를 설득하고 협조를 얻을 것인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아무리 옳고, 실현 가능성이 높아보이는 상세 실행안을 가지고 있다고 한들 대통령 혼자서 해낼 수 있는 일은 많지 않습니다. 
지난 정권처럼 각종 시행령, 행정명령 등을 활용 할 수도 있지만 이는 그나마 가진 자산인 지지율을 소모하는 방식이기에 지속가능하지 않습니다. 
물론 큼지막한 법안이나 예산안을 만들 수도 없기에 대부분의 공약을 실천할 수도 없습니다.
 
결국 3번 후보의 공약은 그 주제나 디테일을 논하기에 훨씬 앞서서, 어떻게 자신이 뜻한 바를 실천할 수 있을지, 다른 권력주체 또는 정치세력을 어떻게 포섭하고 협조를 얻을지를 설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에 대한 논의는 [제가 당선되면 할 수 있습니다]라고 퉁치고 넘어가는 것은 그 자체로 기만이며 차후에 계획대로 대통령직을 수행하지 못했을 때 핑계거리로 삼기 위한 태도일 수 밖에 없습니다.

선거구도가 사실상 고착화 되어 조금 지루한 대선일정입니다. 
그럼에도 유권자 여러분의 현명한 권리행사가 언젠가는 희망하는 정치현실을 이루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고 적극적으로 권리행사를 하시기를 바라는 마음에 글을 올렸습니다.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5/20 11:11
수정 아이콘
죄송한데 3번이 있나요(속닥속닥)
빼사스
25/05/20 11:15
수정 아이콘
3등 후보....
일없다
25/05/20 11:36
수정 아이콘
아 해당 번호는 기호를 말한 것이 아니라 본문 중 후보자 분류번호입니다. 혹시 이번 대선과 겹치는 부분이 있으면 우연일 것입니다.
25/05/20 12:50
수정 아이콘
외국으로 치면, 첫 대통령 될 때의 마크롱?
Pelicans
25/05/20 12:33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후보자 공약을 크게 중요하게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공약을 보고 뽑기 보다는 해당 인원의 삶의 궤적을 보고 결정하고, 공약은 정권 종료 후 해당 정권의 퍼포먼스를 판단하는데 사용해야 한다고 생각하거든요.

근데, 아예 공약을 안내는 후보는 논외입니다.
그건 다른 정치가 아니고 틀린 정치니까요.
일없다
+ 25/05/20 19:10
수정 아이콘
예 말씀하신 바에 동의합니다. 공약은 투자에 앞서 선행자료로 활용되곤 하지만 사실은 말씀하신 것처럼 임기 후 평가지표로 사용되는 것이 더 합당한 경우가 대부분이지요.
+ 25/05/20 14:55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공약을 평가함에 있어서 증세언급 전혀 없이 우리가 운영을 잘하면 할 수 있다라는 공약에 대해선 평가치가 많이 낮습니다.
분명 행정에서의 낭비가 전혀 없는 것이 아니기에 줄여야할 부분을 줄이고 운영이 가능할 부분도 있겠지만 태반은 상대 진영정책 운영비를
빼서 자기가 쓰겠다란 소리로 들리기 때문입니다. 정권이 바뀌게되면 빠질 자금으로 운영한다는 정책이 어느 정도의 추진력과 지속성이 있는지
가늠하기 어렵다고 보니 그냥 공약은 방향성만 보고 있습니다.
+ 25/05/20 15:37
수정 아이콘
제대로 검토하려면 [HOW]만이 아니라 5W1H를 다 제시하는 것이 맞겠죠.

그러나 그렇게 하긴 힘든 것이 현실이기 때문에 공약은 큰 틀만 제시하는 거라 보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일없다
+ 25/05/20 19:12
수정 아이콘
사실 그렇기 때문에 [어떻게]에 집중하는 것이 실상 자신의 마음에 들지 않는 후보를 공격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그 의도가 자신의 감정적 편향이 아닌 객관적 사실에 바탕한다고 스스로를 설득하는것에 주로 사용된다고 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212875
공지 [일반] [공지]2025년 대선을 앞두고 선거게시판을 오픈합니다. [4] jjohny=쿠마 25/04/04 2711
공지 [일반] 선게에 단축키가 부여되었습니다. ( 8 키) [9] jjohny=쿠마 22/01/11 37391
6764 [일반] 이진우 전 수방사령관, 윤 전 대통령 "4명이 1명씩 끌어내라고" 증언 [12] 빼사스1232 25/05/20 1232
6763 [일반] 호텔경제학 = 매춘부가 호텔에 돈 갚는 얘기? [209] DpnI5937 25/05/20 5937
6762 [일반] skt 유심 정보유출이 대선에 미치는 영향 [25] 카린2985 25/05/20 2985
6761 [일반] 박찬대 민주당 상임총괄선대위원장 긴급 지시사항 [35] a-ha5043 25/05/20 5043
6760 [일반] 이재명, 의정부 찾아 "표 떨어질 것 알지만 '경기북도' 당장은 못해" [60] 전기쥐6848 25/05/20 6848
6759 [일반] 국민의 힘은 선거운동을 하긴 하나요? [42] 빼사스4904 25/05/20 4904
6758 [일반] 이재명의 허은아/깅용남 영입이라. [76] 굿샷4661 25/05/20 4661
6755 [일반] 후보 '배우자'간 TV 토론을 하자! [127] 격렬하게쉬고싶다7146 25/05/20 7146
6754 [일반] 선거 공약과 평가 [9] 일없다1905 25/05/20 1905
6753 [일반] 비공표여론조사를 공표한 개혁신당 선거관리위원장 [45] Rio4433 25/05/20 4433
6752 [일반] 흥미로운(?) 여론조사 결과 [23] a-ha3308 25/05/20 3308
6751 [일반] 대선 공보물이 왔군요. [22] 동굴곰3545 25/05/20 3545
6750 [일반] 이재명 후보는 성남시 모라토리엄을 어떻게 해결했을까? [234] ifantasora6999 25/05/20 6999
6749 [일반] 누가 이준석 후보 지지자일까 - 주변도르와 커뮤 눈팅을 통한 뇌피셜 [133] 한강두강세강7663 25/05/19 7663
6748 [일반] 소득 주도 성장을 하고싶은 것인지? 이준석의 지역별 최저임금제도의 비판점 [66] 수돌이4424 25/05/19 4424
6747 [일반] "민나 도로보데스" 하는 이대남 정치 [15] 고래가새우를3730 25/05/19 3730
6746 [일반] 노래방은 좀... [33] a-ha4308 25/05/19 4308
6743 [일반] 왜 20대 남자들은 이준석을 지지하는가에 대한 소고 [285] 도큐멘토리10827 25/05/19 10827
6742 [일반] 박근혜 전 대통령 지지자들, 이재명 후보 지지 선언 [41] 철판닭갈비5842 25/05/19 5842
6741 [일반] 선거 보면서 생각한 잡생각들 [73] 수쥬5537 25/05/19 553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