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6/08 16:25
군대의 장군과 비슷하다고 보면 됩니다. 사실 그 정도까지는 아니지만. 대학원 내에서는 슈퍼 갑이지만, 사회에선 그냥 인정받는 직업 중 하나일 뿐..
12/06/08 16:26
ㅡ_ㅡ; 대학원생에게는 본인의 현재 생활, 성적, 졸업, 취업을 총 망라하는 멘토라 할 수 있겠지만 학부생이야 모.. 큰 영향은 없으시겠죠.
사회적으로는 전공교수의 위엄은 큽니다. 공공기관 감수나 사업을 딸때도 해당 전공교수들 초빙하고 여론 형성하고 흔히 말하는 전문가의 말을 인용할 때 각 학계의 유명한 교수님들은 쉽게 초빙이 됩니다. 각 연구소의 소장이나 자문위원등 대내외적으로 활발한 활동을 하시거나 가능성이 있는 교수님이라면, 기업에서 오히려 접근하여 친밀감을 미리 쌓아두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실제 옛날 회사에서 영업활동(학술교류, 장학금, 연구비 지원 등)을 교수님들 상대로 하는걸 본적이 있습니다. 공공기관 사업수주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미치니깐요. 평소에 가능성 있는 분들을 상대로 조금씩 미리 준비해두는 것이죠.
12/06/08 16:43
대학원생한테는 슈퍼슈퍼갑입니다.
지도교수 손에 인생이 달려 있는데요. 학부생에겐 별로 상관 없습니다. 그 수업 빼고 다른 것으로 들으세요. 물론 졸업논문 담당 교수로 걸리면 골 아프겠지만 요샌 웬만하면 도장 다 찍어주니..
12/06/08 17:52
대학원생으로서 말씀드리면....
제가 만약 지도교수님과 말다툼을 대판 벌였으면.. 그냥 공부 접어야죠.. 일 부리는 거야 교수님들 성향에 따라 달라서 케바케지만, 대학원생에게 지도교수님은 정말 일생을 책임져줄수도, 망칠 수도 있는 그런 분이시죠.. 그리고 설명하신 정도로는 교수님이 해당 분야에서 어느정도의 권위자인지는 모르겠습니다. 학과장이야 보통 대부분의 학과들이 교수님들 번갈아 하지 않나요? 나이야 권위와는 꼭 정비례하는 거 아니고, 책 쓰는 것도 보통 나이 드시면 그정도는 쓰시니까.. 그냥 님 과의 대학원 선배계시면 어느 정도의 위치의 선생님인지 물어보시는게 나을 거 같고,, 학부생이기 때문에 학업에는 지장없을 겁니다. 좀 걸리시면 해당 교수님 수업 피해들으시면 되고요..
12/06/08 18:41
음 담당 교수님이면 심하게 말해서
밉보이면 졸업 못합니다. 아는 사람중에 그래서 석사논문 빠꾸맞아서 4년넘게 한 사람이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