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5/22 21:16
충분히 빠르신것 같은데요? 저에 비해서는요
장기적금보단 단기 1년 적금을 추천 드리고 싶은데요. 나이가 젊으신 만큼 추가로 지출 하실 가능성이 크시니까요. 장기로 하신다면 적은 돈으로 하나 드시구요. 그 보다 많은 금액을 단기로 넣는 것 추천 드립니다. 적금 타시면 그 돈으로 정기 예금 넣으시구요. 다만 요즘은 예전에 비해서 이율이 많이 떨어진 편이랍니다. 앞으로도 계속 그런 추세긴 하지만, 어떻게 될진 모르겠죠. 단기 적금이나 예금으로는 KB 은행의 스마트폰 뱅킹이 은행권 중에서 이율이 높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모네타나 기타 금융 재테크 관련 사이트도 많으니 참고 하시구요.
12/05/22 21:46
적금은 1년단위로 하고 1년후 그돈을 정기예금 또1년적금시작 이런식으로 하시길 권합니다.
적금 길게 가져가면 나중에 급전필요할때 적금을 깨야하는 경우가 생길수있고 여러가지 변수에 대응력이 떨어집니다. 1년단위로 직접 신경써가며 자산관리하고 돈불리는 재미도 느껴보시길 바랍니다.
12/05/23 13:10
현직 FC이지만, 24세 남성이 계획적인 저축과 지출 관리를 시작하시는 경우가 많지 않습니다. ^^
절대로 늦은 시기는 아닙니다. 우선 10년이상의 장기적금의 경우에는 사실상 보험 상품밖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10년 이상 유지시 비과세에 년복리 혜택 등이 장점이지만, 장기 상품이라는 불안감이 존재합니다. 5년짜리 적금의 경우에는 모든 은행권에서 다루지는 않고, 일부 은행에 있기는 합니다. 향후 금리가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지만, 적금의 금리는 알 수 없는지라 5년짜리 적금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사실 별 혜택이 없습니다.) 우선 적금의 경우에는 1년짜리로 가입하시고, 만기가 되시면 예금으로 갈아타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적금을 시작하시려는 시도만으로도 좋은 출발선에 들어오신겁니다 ^^ 재무설계도 함께 공부해보시면, 큰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합니다. ps. 아래 링크는 제 웹사이트에 올려놓은 적금과 예금에 관한 간단한 상식입니다. 꼭 한번은 읽어보시고 참고하시길~ http://fc.donit2.com/fc_recomend/967490 http://fc.donit2.com/fc_recomend/9676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