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5/01 15:45
적절하다와 부적절하다의 정확한 기준이 뭔가요?
부적절하다라는 말의 느낌이 좀 부정적이라서... --;;; 대한민국의 발전을 위해서 적절하다 부적절하다라면, 안철수원장이 대통령에 당선될 경우 대통령에게 지나치게 몰려있는 권력이 분산될 것이라는 것이 장점으로 보입니다. 박근혜 위원장은 말 할 것도 없고, 하다못해 문재인 의원도 대통령이 될 경우 자기사람들이 안철수 원장보다는 많죠. 안철수 원장이 정치적 장악력은 떨어지겠으나, 그만큼 이번 실용정부가 원했던 '경쟁을 통한 발전'이 있을 것이고, 본인이 경제인이라서 경제에 관해서 외부의 입김에는 덜 흔들릴 것 같고, 본인이 IT관계자라서 미래산업이라는 IT분야에 대한 투자를 좀 더 기대할 수 있는 점일 듯 합니다.
12/05/01 15:54
공무담임권 있는 개인이 후보로 출마하는 것 자체가 적절하고 부적절할 게 뭐 있나요? 대통령이 되고 안 되고를 판단해야 될 것 같은데...
안철수 대통령 찬반은 뭐...
12/05/01 15:57
안철수 원장의 당선이 김두관 지사나 문재인 의원 같은 분들과 당선후에 기대할 수 있는게 다를 순 없다고 봅니다.
어차피 300명의 국회의원을 전원 적으로 만들게 아니면 새누리당, 민주통합당 2개 당 중 하나에는 입당을 해야 하는데 상식적으로 새누리당에는 입당을 안 할 것이고 민주통합당에 입당하게 되면 그 뒤는 김두관 지사나 문재인 의원과 같습니다. 그냥 민주통합당에서 당선된 대통령이 되는 거죠. 박원순 시장도 무소속으로 당선이 됐지만 수많은 시의원, 기초단체장들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입당한 것과 마찬가지라고 봅니다.
12/05/01 16:11
4년뒤라면 찬성입니다. 4년뒤엔 김문수? 풉.. 정몽준? 흠.. 안철수 대항마가 없슴
대선이 평생 한번 있는 것도아니고. 꼭 올해에 목숨 걸필요 있나 싶습니다. 이번대선은 찬성한다 하더라도 가망이 없슴
12/05/01 16:21
논제범위가.조금 애매하네요.. 대학생이아니라 사회전반적인 시선으로 봣을때 안철수의 대선출마가 적절한가 입니다
기존 정치인과 스탠스가 다르기때문에.. 그로인한 부정적인 생각들과 찬성측입장이 잇기때문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