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2/04/14 19:27:20
Name 고등어3마리
Subject 자전거 비싼거 사야하나요??
좀 이상한 질문 같지만..

직장 동료분이 100만원 좀 넘는 자전거를 끌고 출퇴근하더군요.

제가 자전거에 대해서는 무식인지라 이렇게 비싼거 사야 제대로 타는거냐고 물었죠.

그 분말로는 이정도는 타줘야 탈만하다고 하는데..

....-_-;;

..날씨가 좋아져서 저도 자전거 한대 사볼까 했는데 포기해야겠네요.

너무 비싸요.;;

꼭 사고 싶다면 무리 해서라도 100만원 정도 되는 자전거 사야할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4/14 19:29
수정 아이콘
글쎄요. 용도에 따라 다르겠죠. 동네에서 돌아다니는 거라면 10만원대 사도 충분하니까요.
윤성호
12/04/14 19:29
수정 아이콘
아뇨 섬탈사세요
12/04/14 19:29
수정 아이콘
꼭 그런건 아니고, 저희 직장에는 그냥 동네 자전거집에서 5만원 주고 산 자전거 타고 다니는 분도 계십니다. 만,
자전거는 어느정도 한도 내에서는 비싸면 비쌀수록 비싼 값을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근데 막 출근하시면서 예아 텐포인트!↗ 고투더 넥스트레벨! 이러실거 아니면.....
jjohny=Kuma
12/04/14 19:32
수정 아이콘
아닙니다. 흐흐 2~30만원대(싸게는 10만원 중반대까지) 자전거도 충분히 타고 다닐 만 합니다.

그 분의 말씀은 이런 것 같은데...
기타도 20만원~30만원 정도면 평범한 사람들이 치기 부족함이 없습니다.
하지만 기타를 오래 쳐 왔고 기준도 높아진 사람들은 100~200만원짜리 기타 정도는 쳐줘야 한다고 생각하는 뭐 그런...
물론 100만원 넘는 기타들이 20만원 정도 되는 기타보다는 훨씬 좋습니다. (소리 뿐만 아니라 여러 면에서...)
하지만 20만원 급 기타도 그냥 연주하기엔 부족함 없습니다.

자전거에 대해서도 거의 유사하다고 생각합니다. 적당히 튼튼하고 가벼운 유사MTB나 꽤 튼튼한 사이클 사서 타고 다니시면 교외로 놀러 갔다 오시기도 전혀 부족함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자금이 충분하시다면) 30~40만원 대면 충분하지 싶네요.
물론 10만원 짜리 타고 다니셔도 큰 문제 없습니다. (대신 좀 힘들긴 할 겁니다.ㅠㅠ 가격이 올라가면 올라갈수록 몸도 편해집니다.)
또다른나
12/04/14 19:46
수정 아이콘
저희아버지 자전거가 백만원대라고 알고있는데
이십만원대인 제자전거보다 훨씬 좋기는하더군요. 정말가볍구요 탄력성(?)도 좋았습니다.브레이크도 정말 잘먹구요.
이정도빼곤 제 자전거와 큰 차이점은 없었습니다. 험한곳이아니라 주말에 이곳저곳 돌아다니실꺼면 이십만원대도 쓸만할것같습니다.
이십만원대자전거를사시고 안장같은 부속소품을 좋은걸 사시는것도 괜찮을것같습니다.
(Re)적울린네마리
12/04/14 20:19
수정 아이콘
자게에 닉네임 '괴수'로 검색해보세요.
자세한 설명 많습니다.

자전거도 지름신이 수시로 강림합니다.
흔히 조중동 자전거로 시작해 100만원 훌쩍 넘기는데 약 4개월 걸렸습니다.
지금은 베란다에 고이고이~~
아이유
12/04/14 21:03
수정 아이콘
저도 일단 20~30만원대 자전거로 시작하시는걸 추천드려요.
그러다 취미가 맞으시면 점점 헬멧이나 라이트 등의 주변용품 가격이 자전거 가격을 뛰어넘게 된다면.. 그 이후에 더 비싼 자전거를 찾아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
주로 타시게 될 곳의 도로 상황을 봐서 하이브리드나 MTB 중 선택하시고, 네이버카페 '자출사'에서 검색해보시면 적당한 자전거를 찾아보실 수 있을거에요.
Zakk WyldE
12/04/14 21:26
수정 아이콘
동네 마실 다니는 수준이 아닌 거리 & 앞으로 꾸준히 타실거면 100만원 짜리도 좋죠.
철TB로 불리는 자전거는 비추합니다.

꾸준히 즐기시게 되면 금방 더 좋은 자전거 사게 됩니다.
무겁기만 하고 싼 자전거는 허리랑 무릎에 안 좋기도 하구요.

그리고 헬멧, 후미등, 전조등, 장갑 정도는 꼭 같이 구매하세요.
운 없으면 살랑살랑 타다가도 죽는 사람도 있고, 친구 아버지는 병원에서 몇 달 고생하셨네요..
발로테리의멘탈
12/04/14 21:52
수정 아이콘
취미로타실거아니면 그냥 생활자전거가 좋습니다. 돈만 아까워요. 물론 취미로하신다면 100만원으로 입문해도 부족함이 많지만요... [m]
누렁쓰
12/04/14 21:54
수정 아이콘
어떤 취미건 마찬가지겠지만 처음부터 좋은거 사면 후회할 일이 생깁니다. 사놓고 안쓰면 자리만 차지하고 먼지만 쌓여가는 경험들 다들 하시잖아요? 일단 싼거 사셔서 재미가 있고 하고싶다는 마음이 들면 그때 좋은거 사셔도 늦지 않습니다. 싼 자전거 타고 다녀도 누가 신경도 안씁니다. 휴가에 A급 군복 풀 먹여서 다려입고 나와도 사회 나오면 그냥 군바리인 원리죠. 어차피 아는 사람만 알아보는데 그런거 알아볼만한 사람은 신경 안쓸겁니다.
발로테리의멘탈
12/04/14 21:58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자전거에 조금이라도 관심이잇다면, 아니면 웬지 업글할거같은 불안함이 있다면 30-50으로 가실바엔 차라리100만원대로 한방에 가는걸 추천드립니다. 중복투자를 막는방법중하나라서요... [m]
12/04/14 22:19
수정 아이콘
뭐랄까. 결국타다보면 점점 높은 제품으로 눈길에 가게 되있죠. 처음부터 100만원대를 살 필요는 없는거 같아요.
내일은
12/04/14 23:07
수정 아이콘
장거리를 타실려면 일단 30만원 대는 되어야 좀 쓸만한 물건을 사실 수 있습니다. 그 이하 물건은 흔히 말하는 철TB라...
다만 그 이상부터는 가격과 성능이 로그 비례 입니다.
12/04/14 23:58
수정 아이콘
자장구로 한국일주 제주도 잏본 가 댕겨왔지만 블랙캣으로도 충분했습니다. 제주도는 스캇으로 댕겨왔지만 별차이 없었습니당.
확고한신념
12/04/15 03:57
수정 아이콘
40만원 짜리 타다가... 이번에 100만원대 제품을 구매 했는데..
100만원대의 클래스가 있다는게 느껴져요.. 훨 편안하고.. 저도 자전거 초보라 뭐라 꼭집어 드릴말씀은 없지만..
값어치는 한다고 생각하네요
12/04/15 04:32
수정 아이콘
비쌀수록 좋은게 맞기는 합니다만 저도 자전거 6년 넘게 탔고 지금은 120만원짜리 타고 다닙니다...
처음엔 저도 40만원 아팔란치아 제품 타고 다녔는데 굉장히 만족했고 4년 넘게 잘 타고 다녔습니다. 경기도에서 부산까지 그 자전거로 여행도 했구요.... 물론 비싸면 좋긴 합니다만 처음부터 무리해서 살 필요는 정말 없습니다 ^^
임시닉네임
12/04/15 11:16
수정 아이콘
제가 봤을때
100만원 비싼거 아닙니다.
제가 봤을때 자전거는 차량가격대비 20~10분의 1정도 생각하시는게 맞다고 봅니다.
자전거의 구동계의 등급에 따른 가격대도 그정도고요.

그러니까 100만원짜리 자전거는 차로치면 마티즈급도 안되는겁니다.
그정도 가격대까지 입문형으로 간주합니다.

도상국에 가면 100만원짜리 자동차도 있고 그렇잖습니까. 10만원짜리 자전거는 그수준입니다.
스타카토
12/04/15 17:35
수정 아이콘
4-5년전에 23만원에 국민자전거 알톤 RCT-베타를 구입후 지금까지 잘타고있습니다.
출퇴근용은 기본으로 수원에서 파주까지도 갔다왔고 별문제 없었습니다.
하이브리드용이라 이런 저런 용도 모두 만족했고 속도도 괜찮았습니다.

그후 130만원정도되는 스캇스케일70을 탔는데..솔직히...제가 막귀(?) 막눈(?)뭐..하튼 이런거라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가벼운거빼고는 크게 체감되는 차이는 잘모르겠더군요.
더 비싼걸 타야 체감이 될지 모르겠지만....100만원이나 더주고 타기는 좀 아깝긴 하더군요. 그래도 나름 만족하고있습니다.
사악군
12/04/16 11:32
수정 아이콘
30만원짜리 자전거를 샀다가 100만원짜리가 타고싶어져서 100만원짜리를 사시면 30만원 손해겠죠.
100만원짜리 자전거를 샀는데 30만원짜리로도 괜찮았겠다 싶으시면 70만원 손해일 겁니다. 끝.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2041 lol 리븐을 찢고싶습니다 [14] 히나우동요3761 12/04/14 3761
132040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해야 관계가 진전될까요. [3] VKRKO 2171 12/04/14 2171
132039 [lol]케넨으로 블라디미르 상대하기 [7] 요우2632 12/04/14 2632
132038 남자분들..여름에 흰색 티 어디꺼 입으시나요.. [5] 갈반나2208 12/04/14 2208
132037 예비군 연기때문에 질문드려요ㅠㅠ [1] Blue_Sky1820 12/04/14 1820
132036 요즘 영화 뭐가 괜찮은가요? [10] DavidCoverdale2118 12/04/14 2118
132035 퇴직금 질문입니다. [4] 타치바나1681 12/04/14 1681
132034 아이폰 야구 어플 추천해주세요 [3] cs1834 12/04/14 1834
132033 2011년~2012년 스타1 명경기 좀 추천해주셔요. [11] 불대가리1556 12/04/14 1556
132032 노트북이 말썽이네요... [1] Leon1307 12/04/14 1307
132031 자전거 비싼거 사야하나요?? [25] 고등어3마리3182 12/04/14 3182
132030 잠실구장 문의입니다. [2] kogang20011496 12/04/14 1496
132028 [애니] 카드캡터 체리 질문 [7] 율이2123 12/04/14 2123
132027 휴학생의 동원훈련 질문입니다. [10] 와이파이-*2658 12/04/14 2658
132026 얼굴 vs 성격2 [23] mangyg2850 12/04/14 2850
132025 [경제학원론] 경제학원론관련 질문드려요 [4] 슈렉1765 12/04/14 1765
132024 외국에서 회사 생활 경험이 있는 분들께 질문드립니다.(신입사원 업무 적응 기간에 대해서) [1] 뒤를봐1557 12/04/14 1557
132023 SKY 대학 강의 청강 가능한가요? [7] Anabolic_Synthesis6308 12/04/14 6308
132022 영화 <세븐>의 반전이 뭐죠? [5] 나누는 마음7416 12/04/14 7416
132021 기업 면접에 관하여 [6] 박서날다1327 12/04/14 1327
132020 컴퓨터가 너무 느려졌습니다. & 프로세스 클린이라는 프로그램 뭔가요? (컴퓨터 관련) [4] sereno6621 12/04/14 6621
132019 팝업때문에 고생이네요..도와주세요.. [1] 웃으며안녕1231 12/04/14 1231
132018 유방암에 대해서... [2] 영화배우1594 12/04/14 159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