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4/09 19:36
자공(子貢)이 공자(孔子)에게 물었다. “군자가 물을 보고서 느껴야 할 점이 무엇입니까.” 공자는 “만 번을 굽이쳐 흘러도 반드시 동쪽으로 향하니 의지가 있는 것과 같다(其萬折也必東 似志)”고 답했다. 여기서 ‘만절필동(萬折必東)’이란 말이 나왔다. 황허(黃河)가 남과 북으로 수없이 꺾여도 중국의 지형이 서고동저(西高東低)인 까닭에 끝내는 동쪽으로 흘러간다는 뜻이다. 결국 원래 뜻대로 된다거나 충신의 절개는 꺾을 수 없음을 이를 때 사용된다.
순자(荀子) 유좌(宥坐)편
12/04/09 19:40
‘만절필동’ 새김금은 첨성대(瞻星臺)아래 바위에 남아 있다. 바로 아래에는 화양서원(華陽書院)네 글자가 음각되어있다.
‘만절필동’은 조선 선조 임금의 글씨이고, 화양서원은 숙종 임금이 화양서원을 사액할 때 직접 써준 글씨로서, 그 옆에 각각 소경대왕어필(?敬大王御筆), 원효대왕어필(元孝大王御筆)이라는 것으로 글쓴이를 알려주고 있다. 만절필동(萬折必東)이란 물이 만 번 꺾여도 반드시 동쪽으로 흐른다는 의미인데, 선조 임금이 인진왜란 이후 경기도 가평군 대보리 조종암(朝宗巖)에 직접 쓴 ‘만절필동 재조번방(萬折必東 再造藩邦)’에서 따온 말이다. 즉, 명(明)과 조선의 돈독한 관계를 말한 것인데 만동묘(萬東廟)의 어원이 되고 있다. http://reinfo.knps.or.kr/
12/04/09 19:40
萬折必東(만절필동) 昭敬大王御筆(소경대왕어필)
華陽書院(화양서원) 元孝大王御筆(원효대왕어필) 이 정도로 남겨 놓을 낙서면 분명 그 뜻이 깊을 터 그래 도대체 이게 뭔 의미인지 한번 찾아보았습니다. 먼저, 소경대왕(昭敬大王) 옛날에는 임금이나 나라에 공을 세운 공신 등이 죽으면 시호(諡號)라는 이름을 나라에서 내렸다고 합니다. 소경(昭敬)은 바로 우리가 선조(宣祖)라 부르는 조선조 제14대 왕의 시호랍니다. 참고로, 선조 임금의 공식적인 시호는 宣祖昭敬正倫立極盛德洪烈至誠大義格天熙運顯文毅武 聖睿達孝大王 (선조소경정륜입극성덕홍렬지성대의격천희운현문의무성예달효대왕) 다음, 만절필동(萬折必東) 이건 流流江河 萬折必東(유유강하 만절필동)에서 유래된 말로 유유히 흐르는 양쯔강(揚子江/양자강)과 황허(黃河/황하)는 만 번을 굽이쳐 돌아도 반드시 동쪽으로 흐른다. 따라서, 만절필동은 절개와 지조를 의미하는 말 이라고 하는군요. 임진왜란으로 인하여 나라가 망하게 된 상황에서 중국의 명(明)이 군사를 원조해서 간신히 나라(조정)를 다시 세울 수 있게 된 것을 임란후의 조선시대에는 재조지은(再造之恩)이라 했다는 데 그런 재조지은에 감사하는 마음으로 당시 선조 임금이 어딘가에 남겼다는 글이 만절필동 재조번방(萬折必東 再造蕃邦)이라고 합니다. 화양서원(華陽書院) 앞에서도 언급됐던 노론(老論)의 영수 우암 송시열(宋時烈)을 제향 한 서원으로, 1696년(숙종 22년)9월 사액(賜額)을 받은 서원입니다. -,서원이란 조선 중기 이후 명현(明賢)을 제사하고 인재를 키우기 위해 전국 곳곳에 세운 사설기관(私設機關)을 말 하는데 서원의 명칭은 당(唐)나라 현종(玄宗) 때 궁중에 있던 서적(書籍)의 편수처(編修處)이던 여정전서원(麗正殿書院)·집현전서원(集賢殿書院)에서 유래한 것으로, 송나라 때 지방의 사숙(私塾)에 조정(朝廷)에서 서원이라는 이름을 준 데서 학교의 명칭이 되었다고 합니다. -,사액이란 임금이 친필로 쓴 액(額/간판)과 서적을 하사하고 학전(學田)·노비(奴婢)를 급부(給付)하면서 이들 토지와 노비에 대한 면세(免稅)·면역(免役)의 특권을 내리는 것을 말하는데 요즘 말로하면 국가공인 면세 사립학교 증명서라고나 할까요. 마지막으로, 원효대왕(元孝大王) 원효대왕은 우리가 숙종이라 부르는 조선조 제19대 임금의 시호에서 나온 것으로 공식적인 시호는 肅宗顯義光倫睿聖英烈章文憲武敬明 元孝大王(숙종현의광륜예성영열장문헌무경명원효대왕) 이라고 합니다. http://blog.daum.net/hl5fxp/183482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