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2/03/23 21:03:03
Name 절제의미학
Subject 수영질문입니다.

갓 직장인이 된 신입 사원입니다.

체력을 기르는데 수영이 좋은 거 같아서 수영을 하려고 합니다.

제 수영 실력은 어릴 때 한두달 배우다가 대학 때 2달 자유 수영으로 해서

자유영은 좀 느리게 하면 25m왕복 10번은 무난히 가능하고 배영과 평영은 불안하지만 왕복 한두번은 할수 있는데

접영이나 턴 돌핀 킥 이런건 배우지 않아서 그런지 엄두를 잘 못내는 실력입니다.

야간엔 퇴근 시간이 불규칙해서 새벽 직장인반을 듣고 싶은데

이 때 제가 시간상 가능한 가짓수가

A 수영장 - 기초반(판때기 잡고 처음부터 하는 반), 선수반(접영까지 마스터한 반) - 둘다 사람 완전 많음, 나만 따로 들을수는 없음

B 수영장 - 자유 수영 - 사람 수 보통

이렇게 뿐이 없습니다. 이중에 선수반은 뭐 제가 못따라갈거 같고 중급반이 있었으면 하는데

중급반은 새벽에 언제 개설될지 알수가 없어 기다릴 수만은 없는 노릇입니다.

결론은 혼자 자유수영을 꾸준히 하면 체력은 기를수 있겠지만 어느 정도까지 수영실력이 오를수 있을지 궁금하고(접영까진 하고 싶습니다)

그럴바에는 차라리 기초반 같이 들으면서 조금씩 따로 연습하는게 나을지 궁금합니다.

이럴줄 알았으면 학생때 배워뒀어야 하는 건데 라는 생각이 드네요.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고래밥
12/03/23 21:25
수정 아이콘
수영 동지를 만났네요 흐흐 반갑습니다.
수영 두 달 배우셨으면 아직 자유영 하실 때 팔은 안 꺾으시죠?
어릴 때 보다 몸에 힘이 붙어서 자칫 힘으로만 하실 수 있는데 짜세가 무엇보다 중요한게 수영이니 초급반 수강을 권합니다.
강사분도 맞춤식으로 알려 주십니다. 아실 테지만 선수반은 하루 영법을 정해 놓고 죽어라 뺑뺑이만 돌립니다. 키로수 정해 놓구요. 가르쳐 주는 건 가끔 돌핀킥이나 다이빙. 여력 되시는 분들은 키킹도 바꿔가면서 하시구요.

자유수영만 하실 시 그냥 힘으로 냅다 달릴 수 있으니 기초를 조금 더 다지심이 어떠한지요^^?
게다가 새벽반은 수영장이 한가하지만 주말 자유수영 같은 것 다니시면 일부 레인은 해체해서 놀게 만들어 놓고 나머지는 냅다 자유영 폭풍질주 하기 때문에 영법이 탄탄하지 않으면 존심에 스크라치 나십니다..

다른 분들 의견도 들어 보시길~~~! [m]
고래밥
12/03/23 21:36
수정 아이콘
그리고 수영에 얼마나 익숙한가는 왕복 횟수보다는 팔을 몇 번 저어서 25M레인을 완주하는가로 따집니다.
선수반을 넘어가면 넘어갈수록 하체에 비중을 더 싣는 편이고 팔은 15번 내외로 저었던 것 같은데 기억이 잘 안나네요~ [m]
12/03/23 21:58
수정 아이콘
저라면 B 수영장에 가겠습니다.
자유수영 하면서 옆에 잘하시는 분이 계신다면 이것저것 물어 보세요. 그게 더 효과적입니다.

그리고 수영은 무엇보다 '폼'입니다.
25m 왕복 횟수는 별로 중요하지 않습니다. 얼마나 멋진 폼으로 능률적으로 왔다갔다하느냐가 중요합니다.

그리고 한 가지 덧붙이자면 수영에서 가장 중요한 건 항상 무게중심을 머리에 두셔야 합니다. 자유형, 배영, 평형, 접영...
머리에 무게중심이 있어야만 앞으로 자연스럽게 나갈 수 있습니다.
57thDiver
12/03/23 23:03
수정 아이콘
위에서 좋은 말씀 많이 해주셨네요.

저라면 일단 a반을 추천해드리고 싶네요. 자유 수영은 나중에도 얼마든지 할 수 있습니다. 뭐든지 기초가 중요합니다.
기초반 수업 받으실 때도 항상 자세를 신경쓰면서 수업 받으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수영은 기록이나 경기가 목적이 아닌 이상, 빨리 간다고 좋은게 아닙니다. 얼마나 더 천천히 여유롭게 가느냐가 실력의 차이겠죠.
수영장에서 보시면 아시겠지만, 자유형을 예를 들면
대부분의 초보자들은 스트로크가 굉장히 빠르죠. 물에 가라앉을 것 같으니 계속 땡기고 보는겁니다.
하지만 어느 정도 물잡기가 되는 사람들은 스트로크 한번으로 몸이 물을 타고 주욱 나갑니다. 주욱 나가는 걸 글라이딩이라고 하는데,
글라이딩을 타면서 그만큼 휴식을 취해주는거죠. 그러다보면 자연스레 체력이 비축되니 더 오래 수영할 수 있지 않겠습니까?

결론은, 저는 a반을 추천합니다. 어느 정도 물감도 오고 괜찮다 싶으시면 그 때 자유수영을 해도 늦지 않습니다.
그만큼 기초가 중요하거든요. 특히 수영은 자세가 확 티가 나죠.. 어쨌거나 수영 열심히 하시기 바랍니다.

아, 위에서 말하셨듯이 무게중심은 항상 앞으로 가져가셔야 몸이 잘 나가겠죠?
마지막으로 킥동작은 꾸준히 연습하시기 바랍니다. 킥판 잡고 고개 들고 25m 레인 왕복하시면 다리 힘 기르는데 도움 많이 되실겁니다.
절제의미학
12/03/23 23:33
수정 아이콘
다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자유영 팔꺽기도 하긴 하는데 아직 폼이 완전치 않아서.. 좀 기복이 있습니다.
여긴 회사 앞에 있는 수영장이라 새벽에도 사람 완전 많습니다.. 한번 자유수영으로 들어갔다가 깜놀했습니다.
강사분께 따로 지도는 받기 힘들지도 모르겠습니다.
수영이 폼이 중요하다니 일단 기초를 확실히 하는게 좋을 것 같네요. 명심하겠습니다. 흐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0206 실무진 면접은 어떤 식으로 진행 되나요? 천연이심2522 12/03/24 2522
130205 가습기 쓰시는 분들 질문 있어요~! [5] 몽유1681 12/03/24 1681
130204 오락실 던젼엔드래곤 게임 질문 [8] 끝없는사랑2107 12/03/23 2107
130203 노트북 파우치와 잠금장치좀 추천해주세요 [2] esang1552 12/03/23 1552
130202 [야구]이런 스탯이면 누가 MVP가 돼야 할까요?? 6관왕vs3관왕 [18] 외쳐221693 12/03/23 1693
130201 보코 허공씨는 안나오나요? [3] 아스날2111 12/03/23 2111
130200 이여자 뭘까요..? [16] DeStinY....2814 12/03/23 2814
130199 차범근은 지금 어느정도의 선수였을까요.. [17] 아레스2716 12/03/23 2716
130198 컴퓨터 포맷 관련 질문입니다.(델 컴퓨터) [6] 헤르세2874 12/03/23 2874
130197 [LOL]노말게임 솔로큐 돌릴때 관련된 질문 [8] R2D21762 12/03/23 1762
130196 위탄은 왜 불판이 없는가요 [8] 아레스1561 12/03/23 1561
130195 스타리그 역사상 최고의 단 한경기를 묻는 글을 [14] 캐터필러2099 12/03/23 2099
130194 국회의원들은..어떤일을 하나요? [3] 柳雲飛3674 12/03/23 3674
130192 노래방에서 계속 고음 유지하는법있나요? [3] 아스날3345 12/03/23 3345
130191 수영질문입니다. [5] 절제의미학1607 12/03/23 1607
130190 wow 한/영 키 질문 Noki~1397 12/03/23 1397
130189 대회때 eu라고 박아놓고 선수들 소개시켜주는걸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6] khw7111847 12/03/23 1847
130188 현재 lol 대회에서 프로팀 감독들이 경기중에 선수들에게 지시를 할 수 있나요? [3] 아나키1708 12/03/23 1708
130187 카메라 구입 질문입니다. [5] kogang20011269 12/03/23 1269
130186 한 10억~15억 공돈이 생기면 가장 쓰기 좋은건 뭘까요? [15] 에휴존슨이무슨죄2746 12/03/23 2746
130184 여자사람 선물 질문입니다 [4] 언제나남규리1522 12/03/23 1522
130183 전월세 계약관련 질문 [5] 천둥1640 12/03/23 1640
130182 냄비에 하얀게 피어나는게 뭘까요? [2] DEICIDE3313 12/03/23 331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