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2/28 17:11
건보 싸이트 고객센터와 통화하시는게 제일 빠르겠지요.. 1577-1000 (집중 시간대 피하면 전화연결 잘 되는 편입니다.)
확실치는 않지만 내셔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12/02/28 17:15
금액이 안빠지는건 당연한거고,
혹시 전세계약이나 상당한 금액의 월세 보증금을 지불하신 상태라면 전입신고를 그대로 두시는게 더 안전하지 않을까 생각이드네요 갑자기 집이 경매로 넘어가 버리거나 그러면 보증금(전세금)은 하늘나라로..
12/02/28 17:23
대학생 신분이면 세대주여도 건보료 내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지금은 어떻게 규정이 바뀌었는지 모르겠지만 저는 이미 냈던 돈들도 환급받은 기억이 있거든요. 그 당시에 좀만 더 늦게 건강보험공단에 찾아갔으면 시효 소멸 되어서 환급 못 받을 뻔했단 이야기를 들은 기억이 나는데 얼른 알아보세요~
12/02/28 17:29
세분 답변 감사합니다
전세계약으로 이천만원 정도 들어가있느 상태거든요.. 전입신고 하면서 확정일자 까지 다 받아놨는데 부모님이 이천만원이면 비교적 적은 금액이라 보호가 되지 않느냐면서 다시 집으로 전입신고를 하라고 하셔서요.. 일단 전화를 해봐야겠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