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2/22 20:32
결론부터 말하자면, 자주 안가는 편입니다.
상대 원딜의 라인 푸쉬가 강해서 cs먹기가 힘들경우 가는 빌드입니다. 베인너프전 카옥스가 랜턴빌드 자주 썼었는데, 요즘은 더블리프트의 2도란,버서커,블써가 거의 정석입니다. 랜턴들면 확실히 딜이 안나와요.
12/02/22 20:56
랜턴 - 도란 - 팬댄 - 인피빌드를 사용해보지는 않았습니다만,
이 빌드는 애초에 M5 가 보여준 스노우볼 메타라는 빌드에서 유래합니다. 초중반 싸고 효율 좋은 아이템 (랜턴, 도란, 팬댄)을 발라서 소규모 한타에 끊임없이 지원가며 차이를 벌리는 운영을 말합니다. 빠른 드래곤이 없고 블루, 레드지역에서의 소규모 한타가 빈번하지 않은 솔랭 혹은 저랭에서는 선팬댄까지는 그다지 추천드리고 싶지 않습니다. 랜턴 이후 팬댄이 아닌 블클 빌드에 대한 설명은 아래 링크에 제가 쓴 댓글을 보시면 되겠네요. 특정 상황에서의 라인전, 그리고 드래곤 및 한타에서 딜탱 저항력 등의 부분에서 랜턴은 정말 좋은 아이템입니다. https://ppt21.com/?b=9&n=127629 다만, 팀이 잘 서포트 해주고 있는 상황이면 2도란 버서커 블써 팬댄트리가 시간이 지날수록 더 안정적이며 효율적이라고 생각합니다.
12/02/22 21:08
애쉬, 트리스타나는 선인피, 케잉, 무덤은 선블써 선인피 반반, 베인은 선블써를 많이 가는 것 같습니다.
랜턴, 블써 등과 같이 흡혈이 붙은 아이템들의 특징은 '일찍' 뽑을 경우 흡혈을 바탕으로 상대를 엄청나게 괴롭혀줄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해서 케잉, 그레이브스 같은 케릭터들이 갑니다. 반면 베인의 경우에는 블써의 또다른 장점인 흡혈을 통한 라인유지력 및 싼 가격으로 인한 빠른 팬댄을 염두에 두고 블써를 가는 것 같습니다. 즉, 블써는 일찍 뽑을 경우 상대를 압박하기 좋고 밀리는 상황에서 흡혈로 버티게도 해주는 두가지 면을 가집니다. 랜턴도 비슷합니다. 상황봐서 선택하는 거죠. 반면 애쉬나 트리같은 케릭은 그냥 인피를 가야합니다. 애초에 맞으면서 싸우는 애들도 아니고, 스킬에 AD계수도 없고 해서 블써가면 딜이 안나와요.
12/02/22 21:21
저도 정확한 계산은 해보지 않았지만 골수 베인유저로써 말씀드리자면
봇이 어느한쪽이 훅 밀거나 밀리는게 아닌 고착상태에 빠져 서로 CS만 챙기는 상태라면 블써를 갑니다. 흡혈로 인한 유지력도 뛰어나고 같은돈을 먹었을경우 저쪽 원딜이 버서커2도란에 인피일경우 나는 버서커2도란에블써와 단검하나를 더 찰수 있습니다. 풀스택의 상황에선 이쪽이 더 유리해요. 그리고 나서 한타때 흡혈로 인한 생존률이 좋기때문에 킬어시를 잘챙겨서 팬댄을 가기위한 밑바탕이 되기도 하구요. 대부분 선인피를 가길래 따라서 해본 결과 제가 느낀점은 인피는 팬댄 후에 크리율이 올라갔을때 드는것이 훨씬 좋구나. 그리고 라인전에서 피흡의 우수성은 정말 말로 하기 힘듭니다. 일단 한대 맞으면 죽는 상황만 아니면 피채우려고 본진가는일은 생기지 않으니까요. 정확히 말하면 소규모 한타이후 내피가 딸피다. 인피를 들었을경우 귀환을 하지만 블써를 들었을경우엔 정글로 들어가거나 근처 미니언을 잡습니다. 돈도 벌고 피도 차거든요.
12/02/22 21:26
모두 답변 감사합니다.
아 그리고 그레이브즈가 선인피, 선블써 둘다 좋은이유가 선인피는 E 공속버프때문이고, 선블써는 무지막지한 파밍으로 스택채우고 Q,R 계수때문인건가요?
12/02/22 21:42
아뇨.. Q,R계수는 그냥 인피가 제일 좋죠. 데미지도 제일 쎄고 혹시나 로또 크리 터지면 끔살이죠.
블써를 드는 이유는 파밍이 늦은 원딜이 상대방에게 뒤지지 않는 파밍력과 라인유지력을 갖추기 위함인경우가 많습니다. 저는 무덤이 선블써를 가는경우를 보질 못해서 뭐라고 설명을 못드리겠네요.. 제주변의 케잉과 무덤은 전부 선인피 가더라구요. 아 케잉으로 그.. 뭐냐... 평타가 스플래시 데미지로 들어가는.. 템 맞춘건 봤는데.. 아프긴한데.. 케잉의 강한 초중반을 더 강하게 하는 거기까지 더라구요.
12/02/22 21:56
AD 계수는 블써가 더 좋죠. 크리가 터지는 스킬이 아닌 다음에는요.
케잉이 블써를 가는 이유는, 애초에 똑같이 인피를 뽑으면 타원딜에 비해 케잉이 딜이 잘나오는 원딜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러니까 나도 파밍 너도 파밍해서 나도 인피, 너도 인피하는거보다 케잉의 우수한 라인전능력을 이용해서 빠른 파밍 > 블써를 빠르게 뽑고난 후 블써의 흡혈을 이용해서 상대방을 진짜 파워하게 갈궈서 상대를 말리게 하는데 있습니다. 해보시면 라인전에서 상대 말리는 용도로는 인피보다 블써가 좋거든요. 훨씬 안정적이고, 빨리 나옵니다. 그래서 거기서 본 이득을 바탕으로 후속템을 빠르게 맞춰나가기 위한 운영이 케잉의 블써 운영입니다. 그러니까 어짜피 중반부에 접어들면 케잉의 딜로스 구간이 시작되는데, 이 때 상대도 딜 좀 안나오게 라인전에서 미리 갈궈놓자는거죠. 그레이브스의 경우에도 비슷한 이유로 블써를 가긴하는데, 어떤 분 말로는 그레이브스는 랜턴-인피로 가면서 랜턴으로 빠르게 압박하고 (+패시브와 시너지로 미친 딜탱 원딜 누커 완성) 인피를 가는게 더 좋다고 하더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