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2/02/20 23:23:32
Name 純粹理性
Subject 석유 고갈 문제에 대해 세계는 왜이토록 낙관적일까요?
석유고갈로 인해 미국이 서브프라임 경제위기가 올거라는걸 정확히 예측했던 미국의 제임스 하워드 쿤슬러가 쓴 '장기비상사태'란 책을보면
왜 이토록 지금 세상이 살기 힘들어졌고 출산율도 계속 떨어지는지 알수 있겠더라구요.
결국 석유 고갈로 인해 인간은 더욱더 먹고 살기 힘들어졌고
그것은 곧 저출산으로 연결되고 지구의 인구수용 한계치가 낮아지는 이론과 귀결되더라구요.
수십억년에 걸쳐 응축되고 또 응축되어 만들어진 태양에너지를 단 200년동안 절반을 썼으며
나머지 절반은 뽑아올리는데 들이는 비용이 뽑아올린 석유로 낼 수 있는 에너지보다 많아지고 있어서
결국 지금 석유 고갈 한계가 왔다는 내용입니다.
맞는 말이더군요.
상황이 이지경까지 왔는데 정부와 세계는 왜 이토록 안일한지..
과학계에서는 문제점을 아직도 모르고 있는건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Manchester United
12/02/20 23:38
수정 아이콘
석유는 아직 많이 남아있습니다. 당장 몇년안에 고갈나는 것도 아니고요. 지금 당장만 해도 유전의 개수는 늘어가고 있습니다. 그만큼 새로이 석유를
발견하고 있다는거죠. 1970년도에도 1980년도에도 1990년도에도 이삽십년안에 석유가 고갈된다고 했었죠. 결과는 잘 쓰고 있죠. 석유가 고갈될려면
한참 남았습니다.

당장 고갈될정도였으면 이미 세계가 난리가 났겠죠.
12/02/20 23:41
수정 아이콘
80년대 기술로는 뽑아낼 수도 없고, 설령 뽑아낸다 하더라도 비용이 지나치게 많이 들어서 경제성이 없던 유전들이...
기술력의 발전에 따라서, 더 낮은 비용으로 쉽게 뽑아낼 수 있게 되어가고 있는거죠.
석유 매장량 자체가 고갈되고 있는게 아니라, 경제성이 있는 유전의 개수가 줄어든다는 이야기였던 겁니다.
David K. Cheng
12/02/20 23:42
수정 아이콘
석유 많아요. 고갈 되려면 100년은 더 걸림. 그전에 대체 에너지가 나오겠죠.
로쏘네리
12/02/20 23:43
수정 아이콘
오일피크론이었나요?? 저 초등학교 다닐떄 앞으로 40년이면 고갈된단다.. 라고 배웠는데 아직도 40년 드립이..
초록추억
12/02/20 23:45
수정 아이콘
브루드워 인기 시들해질것이라는 기사를 99년도 부터 보았지만..!!
12/02/20 23:46
수정 아이콘
그리고, 지금 석유값이 이렇게 많이 올라간건, 다 선물시장의 큰손들의 장난 + 칼텍스들의 탐욕의 결과지, 석유 생산량이 줄어서가 아닙니다.
올빼미
12/02/20 23:49
수정 아이콘
석유대체를 위해 열심히 노력하는중아닌가요?
12/02/21 00:19
수정 아이콘
누가 전기 자동차를 죽였나? 라는 다큐멘터리를 보면 1994년 GM에서 EV1이라는 한번 충전으로 160KM를 달릴수 있는 최고속도 100KM의 전기 자동차를 개발했지만(당시 휘발유 차들에 비해 크게 뒤떨어지지 않는 성능이죠), 석유 재벌들의 로비로 결국 빛을 보지 못하고 전량 회수 폐기 처분됐다는 얘기가 나오죠.
새벽바람
12/02/21 00:19
수정 아이콘
과학계에서도 대체에너지는 엄청난 이슈이고, 관련 펀드도 많이 나오고 연구하는 사람들 수도 어마어마합니다. 단지 아직 석유보다도 싼 대체에너지가 안나왔을 뿐이죠.
정부나 과학계가 안일하다거나 문제점을 모르고 있다고 느끼신다면 그건 이 필드에 몸담고 계시지 않기 때문에 그렇게 느끼시는게 아닌가 싶네요.
LG.33.박용택
12/02/21 00:22
수정 아이콘
기술이 계속 발전중이라..

원유채취가능 지역이 넓어지고 있습니다.

수천미터 깊이의 심해에서도 원유를 생산하는게

가능해졌죠.

여기에 LNG나 셰일가스 등 대체자원의 매장량도 생각보다 풍부한 편이구요.
(Re)적울린네마리
12/02/21 00:28
수정 아이콘
석유의 매장량은 아직 측정불능이죠.
다만, 그 시추비용대비 경제성의 이야기이고.. $100 지속되면 심해 매장까지 시추할 수 있다고 합니다.
채넨들럴봉
12/02/21 00:40
수정 아이콘
석유는 제가 태어났을 때부터 모자랐는데 일단은 잘 나오고 있고
앞으로도 몇세대 동안은 잘 나올듯;
12/02/21 00:59
수정 아이콘
대기업들은 바보가 아니니까요. 철저하게 이익에 맞춰서 움직이는데, 당장 석유가 떨어지는데 낙관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을겁니다. 각종 원인들로 석유가 비싸져서 경제가 어려워지고 위기가 오는거지, 석유가 안 나와서 경제의 위기가 온 적은 없습니다.
진중권
12/02/21 01:51
수정 아이콘
PGR 회원도 아는 문제를 과학계에서 모를리가요.
DivineStarlight
12/02/21 02:30
수정 아이콘
석유가 고갈된다는 건 남아있는 석유의 매장량을 뭘로 계산하느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새롭게 발견되거나 혹은 그동안은 매장량으로 보지 않던 것들까지 더하면 또 늘어나기 마련입니다. 정유사에서 일하는 사람 왈 50년 후에도 "50년 후에 석유 고갈" 된다는 드립이 나올 거라고 하더군요.
가난한쉐리
12/02/21 02:45
수정 아이콘
실례로 오일샌드는 이십년전만하더라도 쓸모없는 모래였지만, 지금은 원유로 사용가능한 기름이지요....

그리고 정유회사에서 별 쓸모없어서 값싸게 팔던 벙커c유 등을 감압증류를 통해서 자동차기름 등으로 만들어 내기도 합니다...

기술 발전으로 예전에 못쓰던 오일들도 이제는 실생활에 활용할수 있게 된거죠... 석유가채량이 계속적으로 늘어나는 이유입니다..

만일 이런 석유채굴 기술이 1960대 기술그대로 였다면 석유가채량 년수도 몇년 안남았겠죠...
12/02/21 03:25
수정 아이콘
이놈들아 기름값좀 내려라!!!!
12/02/21 11:39
수정 아이콘
국내에선 그 기름값의 50%가 세금이라는 불편한 진실.
王天君
12/02/21 12:30
수정 아이콘
간단합니다. 고갈 되려면 한참 남았거든요...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7536 유료결제 P2P사이트 추천 부탁드립니다. [7] 홍소2120 12/02/21 2120
127535 심하게 기어오르는 여동생 [25] NessunDorma3765 12/02/21 3765
127534 자동차(신차) 온라인 구매 해보신분? [3] Bikini2412 12/02/21 2412
127533 [LOL] 알리스타 wq콤보 질문입니다.. [18] 아크4141 12/02/21 4141
127532 안드로이드 폰 관련 질문("수색"이라는 어플 관련) 입니다. [1] 젠장좋은질럿6996 12/02/21 6996
127531 한국과 일본의 1인 라면 섭취량은 어디가 많을까요? [15] 에휴존슨이무슨죄2267 12/02/21 2267
127530 저주받은 피부 좀 도와주세요!!! [10] KyRiE2213 12/02/21 2213
127529 비 상장 주식 거래 [2] WestSide2193 12/02/21 2193
127528 와우 알렉스트라자 서버 괜찮나요?? [6] 이디어트1868 12/02/21 1868
127527 OPIC AL vs 토스 Level 8 [4] 바나나3588 12/02/20 3588
127526 [lol]문도 정말 별로인가요? 그리고 괜찮은 외국 lol사이트좀 소개 부탁드립니다. [15] 헥스밤2129 12/02/20 2129
127525 버스커버스커 - 이제와서 [1] 홍Yellow1837 12/02/20 1837
127524 석유 고갈 문제에 대해 세계는 왜이토록 낙관적일까요? [21] 純粹理性2574 12/02/20 2574
127523 수능 등급 질문입니다. [5] 알파로크2027 12/02/20 2027
127522 카톡 질문입니다. [3] 뿌지직2223 12/02/20 2223
127521 롯데리아 가면 뭐 드시나요? [16] David K. Cheng2132 12/02/20 2132
127520 서울 통영 당일 여행 코스 질문입니다. [1] 연휘가람2144 12/02/20 2144
127519 컴퓨터 견적 입니다 [5] 호갱님1620 12/02/20 1620
127518 고민푸념합니다 [2] 내가젤잘나가1692 12/02/20 1692
127515 크롬에서 플래쉬 재생되면 파란 화면 나오시는 분들 [2] 고객2416 12/02/20 2416
127514 컴활 실기 보려고 하는데 책 추천 부탁드립니다 [3] 소주는C11288 12/02/20 1288
127512 블락비 비호감의 이유가.. [9] 홍Yellow2486 12/02/20 2486
127511 가족의 휴대폰을 대신 사용하고 싶습니다.(약정승계?) [3] netm1626 12/02/20 162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