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2/06 23:16:57
Name 정공법
Subject [질문] 경제관념이 많이 없는데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나이는 37이고 사정상 빚이 있어서

작년에 다 갚고 현재는 현금2800있고

4000전세(제돈400)에 살고 있습니다

벌이는 연봉 7500전후
작년에 결혼했는데 국제결혼이고
아내는 월 200정도 수입이 있습니다

아내랑 대화로는 먼저 3600전세대출을 먼저갚고

그 후 와이프 월급으로 생활하면서
제 월급은 모두저축 그럼 적어도 1년에 5000은 모이니까 4년 2억모아서 아파트 들어가자

라고 두루뭉실하게 계획은 잡았는데

어떻게 저축을 해야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냥 통장에 쌓아두는건 아닌것같고

S&p500같은 주식도 조금씩 넣어야하는지
적금이나 예금상품은 어디서 찾아봐야하는지
그 외에 그냥 통장에 모아놓는것보다 조금이라도 효율적으로 모을수 있는방법이 있는지 하나도 아는게 없네요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모으는게 좋을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꽃이나까잡숴
25/02/06 23:30
수정 아이콘
음... 사실 어려운 얘깁니다. 리스크를 얼마나 감내할수 있으신지 세세하게 따져볼 일이라서요.
그래도 좀 브로드하게? 말씀을 드려보겠습니다.

1) 스스로 해당 지식이 너무없다고 판단되시면 만만한 정기예금이나 정기적금 추천드립니다.
상품별로 물론 차이도 있지만 그냥 주거래 은행에 적당한 상품 추천받으셔도 됩니다.
2) 정기예/적금에 넣기엔 너무 입출금이 잦으시면, 대형증권사 CMA 통장 추천드립니다.(미래에셋증권 등)

여기까지는 원금 손실의 위험이 사실상 없는 방법이고요.

여기서 더 나아가려면 원금 손실 위험을 감당하셔야 합니다.

말씀하신 S&P500 이런건 원금 손실 위험이 무조건 따라오는데요. 그래도 직접 해보는 편이
장단점을 배우는데 좋다고 저는 생각하거든요?
안전성이 높고 간편한 방식부터 천천히 경험삼아 해보시는 건 나쁘지 않다고 봐요.
따라서 이쪽은 국내 상장 ETF(예: TIGER 미국S&P500)에 장기 분할 적립식으로 투자하시되
금액을 적게 하시면서 직접 한번 체험해 보셔요. 가령 월에 30만원. 뭐 이런식으로요.
Jedi Woon
25/02/06 23:45
수정 아이콘
사실 투자 경험이 없고 별 관심도 없었다면 예적금이 제일 무난합니다.
그리고 아파트 구매 예정이라면 청약저축도 넣으세요.
주식은 원금 손실 리스크가 크고 등락에 민감해질 수 있어서 추천하지는 않지만 적극적인 투자 없이는 돈 모으는건 속도가 많이 느릴겁니다.
S&P500 이나 나스닥 지수 추종하는 국내 ETF 들이 있는데 여기 매월 소액(월10만에서 30만 사이)으로 넣어 놓고 1년, 2년 뒤에 수익률을 평가해보세요.
그리고서 금액을 늘릴지, 그만할지 정하시면 됩니다.
덴드로븀
25/02/06 23:48
수정 아이콘
1. 1억 모을때까진 [예금/적금] 만 하세요.
2. 월급 받는 통장 은행 앱을 깔고, 거기에서 예금/적금 적당히 골라서 가입하면 됩니다.
3. 주식이 궁금하고 토스앱을 쓰신다면 토스증권 탭에 가서 가입하고 40만원 넣고 주식모으기로 [하루에 천원]씩만 [VOO] 라는걸 사도록 설정하세요.
- 금액 키우기는 절대 금지
25/02/07 00:00
수정 아이콘
원금손실 위험이 있어서 자신이없으시다면 예적금만으로도 충분합니다. 남들이 이걸로 저걸로 투자성공했다는 말에 흔들리실 필요 없고 처음엔 예적금부터 천천히 시작하세요.
요새는 인터넷에서 검색해도 한번에 은행별 예적금상품 이율 다 확인 가능합니다. 다만 이것저것 우대금리가 포함되다보니 실제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몇개의 은행 및 상품을 먼저 고르신 다음에 해당 은행어플 설치하셔서 실제 이율 확인/비교하셔서 가입하세요. 만약 이 방법도 어려우시다면 현재 사용중인 은행 (급여통장) 에서 가장 이융 높은 예적금상품으로 가입하셔도 차이가 아주 크진 않을거에요.
아르네트
25/02/07 00:14
수정 아이콘
그정도 근로소득이 있으시다면, 어설프게 재테크 하시는 것보다는 소비를 조절하는게 최고입니다.
아끼신만큼 큰 돈이 모이실거에요. 예금도 크게 신경쓰실 거 없고, 일단 목돈(1~2억)을 모으시고 생각하세요.
여의도더현대
25/02/07 08:04
수정 아이콘
적금이 최고에요. :)
iPhoneXX
25/02/07 08:46
수정 아이콘
모든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습니다. 목표 금액 전까지는 그냥 적금 하시는게 맞아요. 일부 정말 5년 이내 안써도 되는 돈 있거나, 나는 손실 감수해도 돼라는 생각 아니시면 투자는 어설프게 들어갔다가 잃고 나옵니다.
몽키매직
25/02/07 08:46
수정 아이콘
위험자산은 집장만 하신 이후에 하시는 거고
지금은 예/적금만요.
엘브로
25/02/07 08:50
수정 아이콘
아직 지식과 공부가 안되어 있으시니
예적금 하시는게 맞습니다.
25/02/07 09:24
수정 아이콘
아내분 의견이 건실한데요?
그냥 시키는대로 하셔도 될 듯 크크
25/02/07 10:41
수정 아이콘
222 본인도 경제관념이 좀 부족한 거 같다고 인정하시니 아내분 결정에 힘을 실어 주면 좋을 거 같아요 지금 상태에서 굳이 선택지를 늘릴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及時雨
25/02/07 09:48
수정 아이콘
네이버에 예금이나 적금 검색하면 이율 순서대로 정렬시켜서 볼 수 있어용
슬래쉬
25/02/07 10:31
수정 아이콘
꼬딱지만한 금액으로 투자해봤자 벌어도 꼬딱지만큼 법니다 ㅜㅠ
처음에는 무조건 예.적금입니다.
시드를 일단 키우고 투자를 시작해서 수익이 나도 의미가 있지
쥐꼬리만한 돈으로 투자 시작하면 수익나도 체감이 안되서 결국 선물이나 원금손실의 위험성이 큰 것들 건들였다가 다 날립니다...
44년신혼2년
25/02/07 10:48
수정 아이콘
정기 예금/적금으로 4년 모으세요.
1년 5천 모을 수 있는 적금(여러개 나눠서 넣더라도 원금 보장되는 적금으로)
5천 모으면 정기 예금으로 전환 (이자율 보고 1년/3년 등 정하시고요.)
이렇게 5천씩 4년 모으면 2억 몇백 모일겁니다.
2억은 아파트 들어가는데 쓰시고,
이자로 나온 몇백은 그동안 고생하셨으니 여행 가시거나 좋은 가전 사는데 쓰세요.
25/02/07 11:15
수정 아이콘
혹시 주식을 하시더라도 우선 100만원 가지고
1억이다 생각하고 하고 싶은거 1년 정도 다해보시면
나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줍기도 해보고 손절도
해보고 물타기도 해보고 개잡주도 사보고 등등..

결국 투자공부보다 중요한 건 자기 자신의 성향을
정확히 아는거라고 봐요. 10프로 올랐을때
팔고 싶어 안달이 나는지 30프로 내려갔을때
화가나서 일에 지장이 있다던지 하루종일 MTS를
보고 일희일비 한다거나 그런거요.
25/02/07 13: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무적권 예적금+파킹통장 그냥 통장에만 두셔도 됩니다. 통합 자산 관리 어플 잘 나와있으니 이용하세요. 원화채굴 잘 하시는 분인이 일단 주담대로 레버리지 땡기시고 그 이후에 투자 고민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월급 여윳돈의 절반 정도는 적금. 절반 정도는 파킹통장으로 모으다가 3천만원 모이면 신협에 비과세 3천 혜택 보고. 그 이상은 금리 좋은 저축은행에 분산예치 하시면 됩니다.
성야무인
25/02/07 15:25
수정 아이콘
2억정도를 모으실거라면 무조건 예금, 적금입니다.

주식은 큰돈으로 시작하는 것도 아니고

괜시리 주식 신경쓰시면 본업도 소홀해 집니다.
정공법
25/02/07 19:41
수정 아이콘
다들 답변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9617 [질문] 경차 구입 추천(레이 vs 캐스퍼) [20] 로켓1420 25/02/07 1420
179616 [질문] 오래 서비스 중인 MMORPG에서 길드 시스템이 잘되어 있는 게임이 있을까요? [11] Haru1164 25/02/07 1164
179615 [질문] 니트 세탁 어떻게 하세요? [9] 어센틱1798 25/02/06 1798
179614 [질문] 경제관념이 많이 없는데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18] 정공법2470 25/02/06 2470
179613 [질문] 외국인 친구가 한국에 오는데 [10] reefer madness1785 25/02/06 1785
179612 [질문] Suv 와 봉고차(밴) 의 차이점이 어떤걸까요 [4] 옥동이1339 25/02/06 1339
179611 [질문] 웹소설에 대한 질문입니다. [4] 그리움 그 뒤1173 25/02/06 1173
179610 [질문] 카드 안 쓰고 현금으로만 결제하는 분 있으신지요...? [8] nexon1056 25/02/06 1056
179609 [삭제예정] 언젠가부터 댓글이 잘 안써집니다 [17] v.Serum804 25/02/06 804
179608 [질문] pgr 질문 게시판에 대한 강한 인상과 그 이유? [9] 똥꼬쪼으기621 25/02/06 621
179607 [질문] 기묘한 이야기.왕좌의 게임 봐도 될까요? [17] 시지프스916 25/02/06 916
179606 [질문] 각 나라별로 '1억'과 비슷한 개념이 얼마정도 될까요? [5] SaiNT952 25/02/06 952
179605 [질문] 월세 계약서 관련해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ㅠ [10] 아줌마너무좋아790 25/02/06 790
179604 [삭제예정] 자동차 사고 관련해서 어떻게 하는 게 나았을까요? [9] 김삼관1014 25/02/06 1014
179603 [질문] 넷플릭스 1만7천원 요금제 공유 사용 질문입니다. [2] Alfine838 25/02/06 838
179602 [질문] 연예인 재산 뻘글인데...유재석 1조가 말이 되나요 [26] 아롬1940 25/02/06 1940
179601 [질문] 디딤돌 생애최초 대출 질문드립니다 [5] 리코타홀릭1432 25/02/06 1432
179600 [질문] 가정용 CCTV 화질 질문 [3] 하루아빠1502 25/02/05 1502
179599 [질문] 유럽 마요네즈는 한국과 다른가요? 한국에서 구할 수 있을까요? [8] 깃털달린뱀2149 25/02/05 2149
179598 [질문] 30대 후반 남자 간단한 선물 뭐가 좋을까요? [5] 에인셀1976 25/02/05 1976
179597 [질문] 튀르키예(터키) 패키지 여행 질문입니다 [4] 쏘쏘쏘1454 25/02/05 1454
179596 [질문] 전기차의 안정성 문제는 어떤가요? [17] 여유를갖자1569 25/02/05 1569
179594 [질문] 전세계약갱신권 사용가능 여부 질문입니다. [5] 최인호972 25/02/05 97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