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2/06 23:30
음... 사실 어려운 얘깁니다. 리스크를 얼마나 감내할수 있으신지 세세하게 따져볼 일이라서요.
그래도 좀 브로드하게? 말씀을 드려보겠습니다. 1) 스스로 해당 지식이 너무없다고 판단되시면 만만한 정기예금이나 정기적금 추천드립니다. 상품별로 물론 차이도 있지만 그냥 주거래 은행에 적당한 상품 추천받으셔도 됩니다. 2) 정기예/적금에 넣기엔 너무 입출금이 잦으시면, 대형증권사 CMA 통장 추천드립니다.(미래에셋증권 등) 여기까지는 원금 손실의 위험이 사실상 없는 방법이고요. 여기서 더 나아가려면 원금 손실 위험을 감당하셔야 합니다. 말씀하신 S&P500 이런건 원금 손실 위험이 무조건 따라오는데요. 그래도 직접 해보는 편이 장단점을 배우는데 좋다고 저는 생각하거든요? 안전성이 높고 간편한 방식부터 천천히 경험삼아 해보시는 건 나쁘지 않다고 봐요. 따라서 이쪽은 국내 상장 ETF(예: TIGER 미국S&P500)에 장기 분할 적립식으로 투자하시되 금액을 적게 하시면서 직접 한번 체험해 보셔요. 가령 월에 30만원. 뭐 이런식으로요.
25/02/06 23:45
사실 투자 경험이 없고 별 관심도 없었다면 예적금이 제일 무난합니다.
그리고 아파트 구매 예정이라면 청약저축도 넣으세요. 주식은 원금 손실 리스크가 크고 등락에 민감해질 수 있어서 추천하지는 않지만 적극적인 투자 없이는 돈 모으는건 속도가 많이 느릴겁니다. S&P500 이나 나스닥 지수 추종하는 국내 ETF 들이 있는데 여기 매월 소액(월10만에서 30만 사이)으로 넣어 놓고 1년, 2년 뒤에 수익률을 평가해보세요. 그리고서 금액을 늘릴지, 그만할지 정하시면 됩니다.
25/02/06 23:48
1. 1억 모을때까진 [예금/적금] 만 하세요.
2. 월급 받는 통장 은행 앱을 깔고, 거기에서 예금/적금 적당히 골라서 가입하면 됩니다. 3. 주식이 궁금하고 토스앱을 쓰신다면 토스증권 탭에 가서 가입하고 40만원 넣고 주식모으기로 [하루에 천원]씩만 [VOO] 라는걸 사도록 설정하세요. - 금액 키우기는 절대 금지
25/02/07 00:00
원금손실 위험이 있어서 자신이없으시다면 예적금만으로도 충분합니다. 남들이 이걸로 저걸로 투자성공했다는 말에 흔들리실 필요 없고 처음엔 예적금부터 천천히 시작하세요.
요새는 인터넷에서 검색해도 한번에 은행별 예적금상품 이율 다 확인 가능합니다. 다만 이것저것 우대금리가 포함되다보니 실제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몇개의 은행 및 상품을 먼저 고르신 다음에 해당 은행어플 설치하셔서 실제 이율 확인/비교하셔서 가입하세요. 만약 이 방법도 어려우시다면 현재 사용중인 은행 (급여통장) 에서 가장 이융 높은 예적금상품으로 가입하셔도 차이가 아주 크진 않을거에요.
25/02/07 00:14
그정도 근로소득이 있으시다면, 어설프게 재테크 하시는 것보다는 소비를 조절하는게 최고입니다.
아끼신만큼 큰 돈이 모이실거에요. 예금도 크게 신경쓰실 거 없고, 일단 목돈(1~2억)을 모으시고 생각하세요.
25/02/07 08:46
모든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습니다. 목표 금액 전까지는 그냥 적금 하시는게 맞아요. 일부 정말 5년 이내 안써도 되는 돈 있거나, 나는 손실 감수해도 돼라는 생각 아니시면 투자는 어설프게 들어갔다가 잃고 나옵니다.
25/02/07 10:41
222 본인도 경제관념이 좀 부족한 거 같다고 인정하시니 아내분 결정에 힘을 실어 주면 좋을 거 같아요 지금 상태에서 굳이 선택지를 늘릴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25/02/07 10:31
꼬딱지만한 금액으로 투자해봤자 벌어도 꼬딱지만큼 법니다 ㅜㅠ
처음에는 무조건 예.적금입니다. 시드를 일단 키우고 투자를 시작해서 수익이 나도 의미가 있지 쥐꼬리만한 돈으로 투자 시작하면 수익나도 체감이 안되서 결국 선물이나 원금손실의 위험성이 큰 것들 건들였다가 다 날립니다...
25/02/07 10:48
정기 예금/적금으로 4년 모으세요.
1년 5천 모을 수 있는 적금(여러개 나눠서 넣더라도 원금 보장되는 적금으로) 5천 모으면 정기 예금으로 전환 (이자율 보고 1년/3년 등 정하시고요.) 이렇게 5천씩 4년 모으면 2억 몇백 모일겁니다. 2억은 아파트 들어가는데 쓰시고, 이자로 나온 몇백은 그동안 고생하셨으니 여행 가시거나 좋은 가전 사는데 쓰세요.
25/02/07 11:15
혹시 주식을 하시더라도 우선 100만원 가지고
1억이다 생각하고 하고 싶은거 1년 정도 다해보시면 나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줍기도 해보고 손절도 해보고 물타기도 해보고 개잡주도 사보고 등등.. 결국 투자공부보다 중요한 건 자기 자신의 성향을 정확히 아는거라고 봐요. 10프로 올랐을때 팔고 싶어 안달이 나는지 30프로 내려갔을때 화가나서 일에 지장이 있다던지 하루종일 MTS를 보고 일희일비 한다거나 그런거요.
25/02/07 13:48
(수정됨) 무적권 예적금+파킹통장 그냥 통장에만 두셔도 됩니다. 통합 자산 관리 어플 잘 나와있으니 이용하세요. 원화채굴 잘 하시는 분인이 일단 주담대로 레버리지 땡기시고 그 이후에 투자 고민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월급 여윳돈의 절반 정도는 적금. 절반 정도는 파킹통장으로 모으다가 3천만원 모이면 신협에 비과세 3천 혜택 보고. 그 이상은 금리 좋은 저축은행에 분산예치 하시면 됩니다.
25/02/07 15:25
2억정도를 모으실거라면 무조건 예금, 적금입니다.
주식은 큰돈으로 시작하는 것도 아니고 괜시리 주식 신경쓰시면 본업도 소홀해 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