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11/22 20:23
작년에 주식 시작했으면 상승폭이 컸던 기술주를 탔을 확률이 높은데
금리 상승에 따라 영향이 큰 종목들이라서 국장이나 미장이나 상관없이 거의 다 50% 이상씩 빠지긴 했죠
22/11/22 20:58
s&p를 샀으면 마 5는 힘들구요.
나스닥을 샀으면 마 10이 힘들어요. 개별주나 3배수 레버리지 사셨으면 뭐.... 마 30은 충분히 가능하구요. 잡주는.... 말을 아끼겠습니다.
22/11/22 21:01
애플만 해도 마10이 넘게 빠졌고 그외 마소 구글 아마존 등등 전부 작년대비 마20이 훨씬 넘게 빠졌는데 무슨소리입니까
테슬라 메타 엔비디아부터는 이것보다 훨씬 처참한걸요
22/11/22 21:05
이런 말 하긴 뭐 하지만...
제 주식이 그런걸요...(...) 현 시간 기준으로 s&p 3%, qqq -4% 입니다. 환율 고려 안하고 순수하게 달러 기준으로는 s&p 1.37%, qqq -5.32%네요.
22/11/22 23:17
글쓴 분은 작년 고점대비로 물으신 것 같은데 QQQ도 400 까지 갔다가 지금 281 입니다. -33% 정도 됩니다.
S&P 도 -25% 정도 되구요. 환율 감안하면 더 방어가 되긴 하는데 얘네도 좀 빠지긴 했죠 ㅠ
22/11/22 21:01
솔직히 -30 -40까지 가는정도면 우량주가 아닌 기술주나 성장주를 탔을가능성이 높습니다.
만약에 윗분말대로 슨피나 qqq같이 지수추종을 샀으면 손실률이 크지않을겁니다. 아마 기간에 따라서 환율땜에 +인 경우도 있을걸요?
22/11/22 21:26
많습니다..당장 삼전, 카카오, 네이버,LG생건등 고점에서 산 사람들 수두룩하죠. 게다가..불장이다 보니 지금 더 먹어야한다는 생각에 현금비중없이 고점에서 산 분들도 많죠.
22/11/22 21:45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11220/110861975/1
[올해 연령별 주식 성적표 봤더니…10대가 1위·20대는 꼴찌 왜?] 2021-12-20 코스피 기준 작년 7월 최고점 찍고 12월까지 적당히 내린 상황에서도 평균수익률이 0% 에 근접하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리고 작년 12월 코스피는 대충 3000 이었고, 현재 코스피는 2400입니다. 평균적으로 대부분 코스피/코스닥 지수를 그대로 추종한다치면 손절친게 아니고 존버중이라면 대부분 -20~30% 는 찍었다고 봐야하고, 개별주식 몰빵같은거 하면 -50% 은 가뿐하죠.
22/11/22 23:46
상당히(라고 쓰고 정말 스스로도 답답할 정도로) 보수적으로 분할 매수 했음에도 불구하고 국장은 KT&G, 삼성전자 정도만 수익 구간이고,
미장은 금융권 대략 -5%, 그 외 -10~20% 수준인 상황입니다...만, 그나마 미장은 환율이 급등하면서 어찌 저찌 상각이 이뤄지는 수준입니다. 만약 욕심 조금 부리면서 함부로 들어갔다면 -30%은 너무 쉽게 이뤄졌을 장이라고 생각합니다. 아우... 내가 미쳤지, 왜 미국 모기지 관련 ETF를 들어가서... 흙흙
22/11/23 00:40
주변에 물린사람이 좀 있긴 합니다. 저는 겁이 많아서 그런가 작년 초에 조금씩 시작해서 대충 본전이네요. 걍 다 팔고 적금 드는 게 이익일듯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