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11/21 10:23
모터의 역기전력 또는 역기전압을 아신다면 더 쉽게 이해하실수 있을거 같습니다.
회생제동은 모터의 역기전압(모터가 회전하면 발생되는 전압)이 인버터(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가 출력되는 전압보다 높을 경우, 전류는 전압이 큰곳에서 작은곳으로 흐르기에, 모터에서 인버터쪽으로 전류가 흘러 전류를 배터리로 다시 가져오는 형태입니다. 구동을 할때는 반대로 인버터에서 내보내는 출력 전압이 모터의 역기전압보다 크기에 전류의 방향은 인버터 -> 모터로 가게 되는 형태구요
22/11/21 10:39
회생제동 레벨이 올라간다 = 회생제동 량을 늘린다로 해석한다면
회생제동의 양이 증가한다면 모터가 가지고 있는 회전에너지를 전기 에너지(회생제동양)으로 가져오는것이기 때문에 회전에너지가 작아지게 되어 브레이크와 비슷한 효과를 가져오게 됩니다. 제가 브레이크쪽은 잘 모르지만 브레이크는 회전 에너지를 마찰 에너지로 변환한다면 회생제동은 바퀴가 가지고 있는 회전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회생제동의 레벨은 회전 에너지를 얼마나 전기에너지로 변환할지에 대한 레벨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22/11/21 10:52
https://blog.naver.com/lagrange0115/220756524390
https://blog.naver.com/lagrange0115/222282084192 저도 잘 모르는 상황이라서 현직자분의 대답을 원하시는 분한테는 많이 모자랄 거 같지만 그래도 찾아보니 괜찮은 게 나와서 한번 보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PWM 제어 비스무레하게 사용하는 거 같습니다. PWM이 켜지는 순간마다 부스트 컨버터를 이용해서 강한 전압의 역기전력을 발생시켜서 회로에 전류가 반대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것 같아요. 그러면 아마 이 PWM의 스위칭 빈도를 조절하면 회생제동의 강도도 조절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