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11/03 15:50
저도 비슷합니다
퇴근길에 항상 너무 졸려서 오늘은 꼭 집에가자마자 밥먹고 씻고 자야지!!! 라고 생각하지만 집에만 가면 초롱초롱 해집니다 그리곤 1~2시에 눈을 감죠...
22/11/03 15:57
10시 30분 ~ 11시 사이에 침대에 눕습니다.
핸드폰이나 얘기 좀 하다 12시 이전에는 잠드는 거 같고 아침엔 7시 20분에 일어납니다. 근무시간에 졸리거나 그런건 없어요.
22/11/03 16:34
살빼고 운동하기 전엔 평균 7시 반
후엔 6시간 반 정도 잡니다 평일에 적게 자고 휴일에 채우는 건 시간이든 체력이든 효율이 떨어져서 평일에 최대한 자려고 합니다
22/11/03 16:40
평일에는 새벽2-3시에 자서 8-9시에 일어나고 주말은 새벽5-6시쯤에서 자서 낮 12시-1시쯤에 일어납니다
5-6시간정도로 굉장히 규칙적인거 같아요!
22/11/03 16:53
저는 누워서 스마트폰 하는 습관 버리고 수면 효율이 어마어마하게 올라갔습니다.
컴 끄면 불끄고 누워서 스마트폰하다가 자곤 했는데, 이제는 컴 끄면 의자에 앉아서 스마트폰 좀 보다가 불 끄면 스마트폰도 충전기 꼽아놓고 바로 잡니다. 예전에는 1시간 일찍 누워서 스마트폰 좀 하다가 자면 똑같겠지~라고 생각했는데 아예 다르더라구요. "불끄고 누우면 바로 잔다" 라는 습관이 드는게 수면의 질에서 큰 차이가 있는 것 같습니다.
22/11/03 17:08
적정 수면 시간은 개개인 다 다릅니다.
9시간 이내 수면에도 졸린거면 수면부족이에요. 몸 상하기 전에 더 주무세요. 그런데 9시간 이상 주무시고도 졸리면.. 육체적, 정신적으로 뭔가 불편한게 있다는 겁니다. 이때는 병원을 가셔요.
22/11/03 17:53
최소 6시간 이상 잘려고 하고, 평균 7시간 이상 자려고 합니다
정말 특이한 사람 제외하고 하루 6시간 미만 수면이 이어지면 사람이 맛이 갑니다 이건 뇌과학 연구로도 나와있는 결과고, 암막커튼, 스마트폰 off 등 수면 방해요소 제거하고 하루 8시간이상 푹 자면 몸 상태가 많이 좋아지죠
22/11/03 19:54
수면 시간 보다 더 중요한게 깊은 수면입니다.
8시간 잤는데 꿈을 꾸거나 중간에 깨는 것보다 7시간 쭈욱 자는게 낫다고 합니다.
22/11/03 21:20
1시 취침 ~ 6시 기상
홈 오피스로 일하는데 아내보다 먼저 일어나서 아이들 (학교에서 먹을) 간식 챙기고 간단하게 먹을 아침 차려놓고 둘째 학교 데려다주고 다시 돌아오네요. 첫째는 아내가 출근 길에 데려다주고. 처음에 힘들었는데 하다보니 익숙합니다. 아 중간에 고양이 아침도 챙겨줍니다 크크
22/11/04 03:18
자는 시간도 중요한데 잠의 질도 너무너무 중요합니다.
햇빛을 많이 못 보시는 것 같으면 비타민 d챙겨드시고 마그네슘같은것도 수면에 도움을 준다고 하니까 한번 알아보시는걸 추천드려요..
22/11/04 08:44
코골이 있으신분들은 수면검사 받아보시고 양압기 쓰시는거 추천합니다. 저는 8시간 자는 삶이 목푠데 자꾸 6시간 정도 자고 깨서 문제네요. 피곤해서 더 자고 싶은데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