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10/18 22:36
몇 개냐고 물어본 문제니까 답을 쓸 떄 특별히 단위를 언급하지 않았다면 당연히 숫자만 써도 그 단위가 생략 되었다고 여기는 게 자연스럽습니다. 답을 15 라고 써도 15 개를 의미한다고 받아들일만 한데 채점이 너무 야박 하네요. 만약 문제가 "답이 몇 개인가?"가 아니라 "답이 무엇인가?"라고 물어봤다면 15 개만 답으로 인정하는 게 그나마 납득이 가네요.
22/10/18 22:37
정확히 발문이 "~~~인 개수는?" 이라면 숫자만 쓰는 것이 맞습니다. 고교 교과서나 모의고사 등에 나오는 문제들을 봐도 그렇구요.
22/10/18 22:43
답변 감사합니다
심지어 주관식 2문제가 개를 안쓰면 틀린 걸로 되어서 10.5점이 떨어졌다네요 그런데 같은 반에 개 안쓴 애들이 많다네요 그러다보니 이의신청자가 많을 거 같아 나설 필요는 없어보이네요;;
22/10/18 22:59
이의신청자가 많을 것 같아도 정식 절차는 밟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 절차 자체가 학교와 학생 모두에게 좋은 증빙자료가 되거든요. 저도 현직에 있는데, 예전에 이의신청 처리 건으로 교육청까지 올라갔다가 학교가 크게 데인 뒤로, 아무리 사소한 건이라도 문제나 답에 의심가는 상황이라면 정당한 이의신청 절차를 거쳐서 교사의 대응 과정을 기록해놓을 것을 학교 차원에서 권장하고 있습니다. 학교 입장에서도 이런 문제로 교육청까지 올라가는 것은 꺼려하거든요. + 이의 신청시 적절한 근거를 제시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교과서나 수능을 예로 들어서요.
22/10/18 22:46
개수를 물어봤다면 15도 답이 된다 생각합니다.
갑자기 중학교 영어 주관식 Subject 답인데 S가 5처럼 보인다고 틀렸다던 미X 영어선생 생각나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