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8/30 10:18
경량을 선택하시는거라면 엄청난 그래픽작업/영상작업/고성능 게임등을 하려고 구매하는건 아니실테니
가격이 상관없으면 i7 가면 됩니다. 아주 옛날에는 코어나 쓰레드를 나눠서 급차이를 두긴 했지만 최근엔 i5 대비 클럭/캐쉬만 늘린게 i7 이라 평범한 웹서핑/문서/영상시청 작업등에서 i5 / i7 간 차이를 느끼긴 상당히 어렵습니다. 어차피 고성능 다쓰기 전에 노트북이 발열때문에 클럭제한을 걸어버리니까요.
22/08/30 10:19
노트북은 구체적인 모델명으로 리뷰를 찾아보셔야 됩니다.
노트북은 설계에 따라 같은 cpu도 성능차이가 많이 나고 성능역전도 자주 되거든요. 그런데 1240p와 1260p는 코어갯수는 같고 클럭과 캐시차이라서 일반적인 용도에서는 체감이 없을 확률이 매우 높긴 합니다.
22/08/30 10:21
유의미하게 더 좋은지 알려면 teragram님이 노트북으로 뭘 할건지 알아야 합니다.
당연 스펙상 i7이 더 좋은거 맞고요. 그러나 경량모델은 배터리가 적게 들어가고 펜리스거나 있어도 작아서, 그리고 그럼에도 소음이 적어야 하기 때문에 tdp가 낮습니다. 고로 전력을 최대한 끌어쓸 수 있는 데스크탑과 달리 경량 노트북에서는 i7이 가성비 떨어지는 것도 맞고요. 여기서 teragram님이 노트북을 간단한 워드작업이나 인터넷 서핑, 동영상 스트리밍에만 쓰실거면 i7은 오버스펙입니다. 조금이라도 i5보다 i7이 그래도 '유의미'하게 좋아서 샀다라고 주장하려면 최소 유투버라서 동영상 인코딩을 부지런히 돌리는 환경이여야 할겁니다. 이러면 i7 경량 노트북이 야외에나 카페에서도 작업할만한 휴대성을 지닌 '서브 노트북'으로서의 가치가 있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