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8/09 11:26
밥 하자마자 얼린 밥이요! 10시간 보온해두면 그만큼 맛이나 식감이 떨어져서..
바로 얼린 밥이 그나마 수분이나 밥알 상태가 보존이 된 상태로 해동해서 먹을 수 있어서 맛있습니다
22/08/09 11:41
메이커들은 최대12시간이내를 추천하는데 실제로 맛을 유지하는 5~6시간 정도가 한계라고 하죠.
게다가 전기밥솥 보온 전기세가 장난아니죠. 어지간한 냉장고보다 훨씬 전기 많이 먹습니다. 고로 소분해서 잠깐 식힌후 바로 냉동하는게 밥안에 수분을 그대로 가두어 둘 수 있어 맛이 더 낫습니다.
22/08/09 11:44
음..저희집은 평일에 집에서 밥을 잘안먹다보니 항상 밥해서 1인용 용기에 담아서 얼려놓는데 전자렌지에 돌려보면 금방한 밥이나 크게 차이가 없어서 괜찮더라구요 밥솥에 오래 놓으면 밥솥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밥이 누래지거나 마르면서 별로 더라구요
22/08/09 11:54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얼린 밥 다시 물 부은다음 30~60초 데우는게 더 갓 지은 밥처럼 되더군요 보온밥은 퍼석퍼석.
22/08/09 12:00
얼린밥의 압승입니다
대학교 신입생일때 멋도 모르고 한번에 많이해서 보온밥으로 먹었는데, 자취 경력 쌓이고는 먹을만큼만 하거나 그냥 얼려둡니다 엄청 따지진 않지만 보온밥 수분이 날라가서 별롭니다
22/08/09 17:05
얼렸다가 먹는 것을 추천 합니다.
단, 단시간내에 먹는 다면 냉장으로 먹는 것도 괜찮고요. 그리고, 맛과는 다른 개념인 전기밥솥 전기 사용량으로 접근해 볼 수도 있습니다. 전기밥솥 전기 사용량이 엄청 납니다. 전기밥솥 밥 지을때 에어컨 처음 작동할때의 절반 수준인 900~1000W 전기 먹고, 보온은 에어컨 일반 작동시의 절반인 100W 가량 먹습니다. 10시간 보온이면 하루 5시간 에어컨 켠것과 동일한 전기 사용량입니다. 요즘 같은 여름 전기 사용량이 많을 때는 전기밥솥은 밥만 하고 보관은 냉장이나 냉동으로 하는 것을 추천 합니다. 아~ 물론 밥은 식혀서 넣어야 냉장고 전기도 덜 먹겠고요.
22/08/10 02:28
본문 질문에 대한 답은 아닌데 가족과 같이 살아서 집밥은 어머니께서 해주시는 밥을 먹고 있고 그래서인지 밥을 먹으면서 이게 갓 지은 밥인지 어제 한 밥인지 신경써본 적도 없고 차이를 느껴본 적도 단 한 번도 없는데 밥 맛 차이를 느끼신다는 분들이 많아 제 미각에 충격받고 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