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7/20 01:00
도수치료+필라테스 병행 딱 한 달만에 정상이 되었습니다! 도수치료사분이 이렇게 목 근육이 타이트하게 뭉쳐있는 사람은 처음봤다고 했습니다. 그냥 전문가를 찾아가심이..
22/07/20 01:22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제가 거북목으로 2번 정도 고생했었는데 두 번 다 모니터를 높혀서 해결했습니다. 대략 모니터 중앙이 제 이마정도 오는 높이로 높여서 몇 달 작업을 하다 보니 많이 좋아지더군요. 그렇다면 아마 2번이 맞지 않을까 싶습니다만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이라..
22/07/20 01:30
저도 목 관련 동영상 찾아보곤 하는데.
최근에 유퀴즈에 나오셨던 정선근 서울대 교수 영상 보고 따라하고 있습니다. 이분의 말씀이 정답인지는 모르겠지만. 결론만 말하면 목은 척추위생(목을 뒤로 젖히는)이 유일한 방법 목 당기기 하지 말라고.. (멕켄지가 목 당기라고 했는데. 틀린거니 하지 말라고) https://www.youtube.com/watch?v=S_U_Eml4JiY&t 허리는 멕켄지 신전동작(허리를 뒤로 젖히는). 엎드려서 하는 것도 있긴 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s8FvqAuuiZw 유퀴즈 영상입니다. https://youtu.be/PUDvv9BiUG8 설사왕 님이 말씀하신 모니터 높이는 것도 영상에 있네요. https://www.youtube.com/watch?v=YXijPuhtg3I
22/07/20 07:31
서울대 재활의학과 교수님보다 더 좋은 의견이 있기도 쉽지 않을겁니다.
목을 옆으로나 앞으로 꺾는건 더 안좋은 행위이고 무조건 뒤로 젖히기만.. 허리랑 동일한 원리더군요. 경험해본바로는 확실히 낫습니다. 어설픈 사람들이 추천하는 근력운동 이런거보단 저같은 환자들한텐 확실한 효과가 있습니다.
22/07/20 02:04
턱당기기는 하지 마시구요, 요추 전만 자세를 따라해보세요.
위에 유퀴즈 나온 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 교수님이 백년 목 (& 백년 허리) 책 낸 것도 있고 개인 유튜브도 운영하시니 한 번 보세요. 개인적으로 턱당기기 자세가 일자목 만든다고 생각합니다.(턱당기면서 목을 뒤로 당기는 동작이 목의C커브를 일자로 만드는 듯함)
22/07/20 04:45
일자목(거북목)과 밀접하게 같이 생기는게 굽은등과 승모근 올라오는거라고 생각하거든요
목쪽보다는 포인트를 상체 자세를 펴주는쪽으로 잡아보는게 어떨까요 굽은등을 펴주는쪽으로 운동을 할때 자연스럽게 턱도 안쪽으로 살짝 들어가게 되있더라구요 무리하게 턱을 넣을려고 하는것보단 등과 가슴을 펴주는운동쪽이 승모근에도 도움이 되고 목에도 부담이 덜가서 추천드립니다 운동법은 뭐 워낙 유튜브에 많이 나와있어요
22/07/20 08:21
근육이 워낙 복잡해서 사람마다 해결방법이 달라 이것저것 계속 시도해야 합니다.
제가 효과 본 방법은 아래 3가지 입니다. 턱걸이 / 베게 없앰 / 모니터 높임
22/07/20 08:49
라운드솔더 굽은등이 제일 직접적으로 영향이 크더군요. 위에 말씀대로 단순이 거북목만 보지 마시고 허리 가슴부터 올바르게 자세 잡으시면 거북목도 같이 잡힐겁니다.
22/07/20 09:20
저도 7년 이상 목으로 인해 고통받고 있어 참으로 많은 곳도 다니고 글쓴이님 처럼 유튜브니 책이니 공부도 많이 해봤습니다. 그리고 저도 글쓴이님과 비슷한 지점에서 혼동이 오더라구요.
저도 전문가는 아니기 떄문에 이런 의견도 있다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먼저 일자목이랑 거북목은 좀 차이가 있습니다. 일자목이면 목의 c자 커브가 없이 곧게 선 형태이므로 턱을 당기는 것은 일자목을 가속화하고 디스크가 튀어나오게 할 수 있으므로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거북목이라면 말그대로 목이 몸의 중심에서 앞으로 빠진 것이기 떄문에 턱을 당겨 목을 몸의 중심으로 가져오는게 맞는데 보통 저와 같이 특정부위가 아픈 사람들은 빨리 낫고 싶은 마음에 어떤 동작이 좋다고 하면 그 동작을 과하게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거북목에는 턱당기기다 하면 그거만 주구장창 하다가 거북목에서 일자목으로 진화하는 경우도 있구요(그게 접니다) 또 거북목과 일자목이 동시에 있는 경우도 있으니 그걸 먼저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되고 이것을 확인하고 나서 운동을 하든 생활 환경을 바꾸든 해야합니다. 저도 이거 찾아보고 하면서 후두하근이 타이트 하니 삼각근을 풀어줘야 하니 등 운동을 통해 잡아줘야 하니 너무 많은 정보를 접했었는데 그런 부분보단 내 상태를 파악하고 생활습관에서 먼저 손을 봐보시는 것도 좋지 않을까 마 그리 생각합니다.
22/07/20 10:03
겉으로 비슷해보여도 기전이 다른 경우가 있을 수 있어서 본문같이 의견이 갈리는 게 아닐까요?
몸을 보기 전엔 최고 전문가여도 확신할 수 없는거라 직접 찾아가는 게 맞지 않나 싶습니다. 그리고 온갖 사람들이 설쳐도 역시 신체에 대한 최고 전문가는 의사이긴 한 것 같습니다.
22/07/20 11:04
사람의 몸 체형은 다 다릅니다
태어날때부터 사람의 피지컬이 다 제각각인데 규격화 시킬수가 없습니다 이럴땐 이게 정답이다라는건 존재하지 않습니다 님의 몸에 맞는 처방을 찾는게 답입니다 목의 문제일수가 있지만 목이 아닌 다른 부위의 문제를 해결하면 해결될수도 있습니다 자동차로 비유한다면 앞 타이어에 문제가 발생해서 타이어를 교체했는데도 계속 타이어 문제가 발생합니다 알고보니 타이어 문제가 아니라 앞쪽 서스펜션의 문제여서 그걸 해결하니 타이어 문제가 발생하지 않더라가 될수있고 자동차 뒷쪽의 문제라서 자동차 뒷쪽의 문제를 해결하니 해결될수도 있습니다 다양한 접근법들이 있으니 그걸 하나씩 다 해보면서 찾아가는걸 권합니다 이거 안되었으니 그거 엉터리다 가 아니라 그게 님에게 맞는 처방이 아닌겁니다
22/07/20 15:48
일단 목 자체만 보면 정성근 교수가 추천하는 운동 + 생활습관 교정 꾸준히 하는게 젤 좋구요 정말 튼튼한 목을 원하면 골반 허리 어깨 전부 교정들어가야 됩니다. 개인이 하기에는 교정운동 찾아서 하기보다는 요가+수영+코어 운동 3종 세트로 하는게 낫다고 생각합니다. 운동 못할정도면 병원가고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