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7/19 21:10
싱크도 세라믹(비슷한 거?) 있습니다.
화이트 싱크볼 검색해보시면 나올 거에요.. 우선 완전 세라믹은 잘못 떨어뜨리면 깨지고/금이 갈거고.. (무쇠 주물 냄비나 압력솥..) 세라믹 비슷한 애는 음식에 따라 물이 듭니다. (김치 / 카레) 가볍고 / 변색 없고 / 안깨지고 - 스테인리스 장점이죠
22/07/19 22:02
저희집은 플라스틱입니다. 재질이야 그렇다쳐도 색깔은 왜 죄다 은색일까? 싶은 의문은 저도 있네요. 뭐 단가가 비싸고 수요가 없으니 그럴테지만.
22/07/20 09:00
곰팡이나 물때가 생기지 않습니다.
칫솔컵도 플라스틱 쓰면 곰팡이와 물때가 금방 생기는데 스테인리스는 그런 거 거의 없죠. 사기(세라믹) 재질로 된 것들도 나오는데, 이건 설거지하다가 떨어뜨리기라도 하면 그릇이 깨지기 쉽기에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스테인리스 재질을 많이 쓰는 것 같아요.
22/07/20 13:35
요즘은 세라믹 같은 인조대리석을 많이 쓴다고하네요. 그만큼 단가가 비싸다고...
처가댁 씽크대 교체할려고 견적 받았는데 스텐은 저렴한데 인조대리석부터는 단가가 확 올라가길래 인조대리석이 좋은가요 했더니 1) 다양한 컬러 2) 훌륭한 내구성 3) 우수한 가공성 4) 용이한 보수, 관리 표면과 내부가 균일한 무공질이기 떄문에 손상이나 스크래치에도 복구가 가능합니다. 등등 있다고 하네요. 그런데 인조말고 천연 더 비싸다고...
22/07/20 15:24
천연대리석은 물이 잘 들어서 관리가 정말 빡셉니다... 물 한 번 들면 답이 없고요.
화장실에 천연 대리석 쓴 고급 아파트도 싱크대는 그냥 스댕 쓰더라고요.
22/07/20 17:40
도기 제질 씽크대도 요즘 많이들 쓰시죠.
이케아 스타일로 된거.. 다만 관리가 좀 힘들고요 대신 외관상 스텐보단 더 이쁘긴하지요. 몇번 고객들이 요청해서 설치해드렸는데 개인적으로 선호하진 않습니다. 다만 여성분들은 선호하시더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