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7/08 19:33
(수정됨) 1점만 내면 되는 상황에서 주자가 3루에 있으면 단타로 기록됩니다.주자가 홈까지 1루만 진루하면 끝나기 때문이죠.
주자가 1,2루에 있는 경우 끝내기친 타자가 어디까지 진루하느냐에 따라 단타 , 2루타 이상으로 나뉩니다. 끝내기 홈런은 예외지만 끝내기 홈런치고 동료의 방해로 2루를 안 가서 단타로 인정 받은 경우도 있습니다.
22/07/08 19:33
(수정됨) 비어있는 칸과 끝내기 주자가 들어가는 순간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론적으로는 2루타, 3루타 다 가능하다는 거죠. 물론 사이클링이나 다른 기록이 걸려 있지 않다면야 그 상황에서 무리해서 뛰는 선수는 거의 없을테지만요.
22/07/08 21:25
KBO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야구규정집을 보면
9.06 단타·장타의 결정 (e) 9.06(g)의 경우를 제외하고 최종회에 타자가 끝내기 안타로 자기 소속팀이 승리하는 데 필요한 득점을 얻었을 경우 그에게는 결승점을 올린 주자가 진루한 것과 같은 수의 루타수만 기록한다. 더욱이 타자주자는 실제로 그 수만큼의 베이스를 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부기] 5.05 및 5.06⒝⑷ 각 항의 규정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타자에게 여러 개의 안전진루권이 인정되는 장타가 허용되었을 때도 이 항은 적용된다. [주] 타자는 앞서 말한 것과 같은 수의 베이스를 정규로 터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최종회에 2루주자를 두고 타자가 원 바운드로 펜스를 넘어가는 끝내기 안타를 쳤을 경우 타자가 2루타를 얻기 위해서는 2루까지 규정대로 달리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주자 3루 때 타자가 이와 같은 안타를 쳤다면 2루까지 달리더라도 단타만 기록한다. 즉, 끝내기 주자가 홈까지 남은 베이스만큼 타자의 기록이 인정될 수 있습니다만, 타자가 주루플레이를 끝까지 했을 경우만 인정됩니다. 참고로 저기 (g)항은 끝내기 홈런을 쳤을때만 전부 다 인정한다는 항목입니다.
22/07/08 21:34
결승득점 주자 3루 -> 1루타
결승득점 주자 2루 -> 2루 밟으면 2루타, 아니면 1루타 결승득점 주자 1루 -> 2루 밟으면 2루타, 3루 밟으면 3루타, 아니면 1루타 홈런은 누의공과만 없으면 어떤 상황에서도 인정됩니다.
22/07/08 21:37
위에 댓글에 설명이 잘 되어있네요. 이 이유 때문에 끝내기 확정되어도 열심히 뛰어서 2루 밟은 다음에 세레머니 맞는 타자들도 많다고 들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