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7/03 20:29
무슨 모니터를 생각하시는지는 모르겠지만 말그대로 보이기만 하면 되는거라면 용산쪽 업자한테 사는게 싸요. 4년전인가 32인치 5만원에 업어왔었네요.
22/07/03 20:34
전 컴퓨터 모니터 중소기업 제품만 사용 중인데 크게 고장도 없고 잘 쓰고 있습니다. 현재 제품은 7년쯤 됐고 전에 있던 제품도 7년쯤 썻네용.
22/07/03 20:50
전 32인치 LG 보급형 모니터를 몇년 전에 샀는데
당시에도 나온지 2~3년 지난 모델이다보니 중소기업 모니터와 가격 차이도 별로 안나고 화질 약간 아쉬운거 빼곤 잘 쓰고 있습니다 그리고 TV는 작년에 중소기업 껄 샀는데 캘리브레이션 하라고 하는대로 했는데 사람들 피부가 심슨처럼 표현되어서 2주 넘게 고생해서 사람 피부색 비스무리하게 맞춰놓은 기억이 나네요 한번 개고생을 해보니 왜 대기업 제품을 사라고 하는지 뼈저리게 느꼈습니다
22/07/03 20:50
1년 이상 사용할거라면 메이커 제품이 낫습니다
1~2년까지는 메이커 제품이나 중소기업 제품이나 별 차이 못느끼는데 몇년 사용하다 보면 색감차이나 기타 등등 확실히 차이가 있습니다
22/07/03 21:23
한성 모니터 한 3년인가 멀쩡히 잘 쓰는 중인데
뭐 돈 있으면 당연히 더 좋은 모니터를 쓰는 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각자 상황에 맞게 형편에 맞게 구매하는 거죠 어떤 물건이든
22/07/03 21:28
중소기업 모니터가 정말 다 그렇게 못쓸 물건이라면 한성이나 크로스오버 같은 회사가 이만큼 성장하기는 커녕 진작에 시장에서 퇴출되었겠죠. 만족스럽게 쓰고있는 사람은 말이 없고, 불만인 사람은 목소리를 높이니 그런 착시효과가 발생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22/07/03 21:56
한성꺼 uhd 32인치 쓰고 있습니다. 4년 됐네요.
처음 온 게 문제가 있어서 교환받았고 아직 쓰긴 합니다. 사소한 문제(갑자기 꺼졌다가 켜짐.. 반복 같은)가 있긴 해도 자주 있지는 않아서 또 사기도 귀찮고 해서 쓰긴 합니다만, 다음에 살 때는 좀 비싸도 언급하신 대기업제품들 사려고 합니다.
22/07/03 22:13
크로스오버 몇년 전에 사서 잘 쓰고 있습니다. 초기 불량 아니면 나쁘지 않습니다. 만족스럽지 않은 점이 있긴 해도 그만큼 싸니까 용서가 됩니다.
22/07/03 22:30
예전에 크로스오버 썼는데 2년에 한 번씩 고장났어요.
하루에 컴퓨터를 상당히 오래 쓰는 편인데 보드가 나가더라고요. 한 번은 고치고 다음엔 폐기했습니다. 그럼에도 가성비는 나쁘지 않았는데 지금은 lg 씁니다.
22/07/03 23:11
(수정됨) 그냥 아주 간단하게 정리해서
dell/hp-LG samsung-Philips Alphascan 요기까지가 그나마 추천할만하고 그 밑으론 아수스 기가바이트 msi>>>>>(넘을수없는 4차원의 벽)>>>>>>>벤큐 이하 요 정도 보시면 됩니다. 알파스캔까지는 as도 괜찮은 편이고 아수스 긱바 msi는 뽑기운이 작용하는 편인데 첫 제품 양품으로 잘 뽑으면 괜찮은 편이고 벤큐 이하로는 뽑기운+보증기간 이내라도 그냥 고장나면 보증 기대말고 버리는 제품 정도로 보시면 됩니다. 개인적으로는 정말 미친듯이 돈이 없다가 아닌이상 아수스/긱바/msi까지만 타협하시길 권하고 벤큐 이하급이라면 가급적 말리고싶네요. 얘네들은 초기불량이든 사용중 고장이든 걸리면 말 그대로 그냥 [답이 없습니다] 특히나 벤큐는......... 진짜 내가 돈이 많아서 뭐 잘못걸리면 그냥 그돈 버리면 되지 이런 정도가 아니라면 웬만하시면 거르세요. qc&as가 거의 핵폐기물급입니다.
22/07/04 00:15
예전에 크로스오버 27인치를 샀는데 모니터 버튼이 개판이라 끌 수도 없습니다.
그래서 저는 알파스캔 이하로 안 내려갑니다. 알파스캔만 3개째 쓰고 있네요.
22/07/04 07:05
랜드로버 차량도 두대 뽑아야한다는 말이 있잖아요. 이것도 똑같다고 봐요. 모든 제품이 다 불량나면 시장에서 퇴출됐겠지만 그정도는 아니니 아직까지 잘 팔리는거겠죠. 중소기업 제품들을 골랐을 경우 불량걸릴 확률이 높고 걸렸을 때 개고생 할 가능성을 염두해둬야하니까요.
22/07/04 08:12
벤큐 27인치 FHD 모니터 7년동안 쓰고있네요..
뽑기가 좋았나보았나 싶은데 막상 쓰면 그냥 저냥 쓸만 합니다 오른쪽 아래 핫픽셀이 그냥 슬플뿐 ㅠㅜ
22/07/04 08:22
qc/as 경험한 사람들은 뭐.. 일단 삼엘델 중 하나 선택하긴 하죠. 저도 직장은 중소기업, 집은 엘지와 삼성모니터로 맞췄는데, 직장에서 짬 좀 차고 나서 제 돈으로 삼성모니터 사서 배치했어용.
22/07/04 09:15
CRT 이후에는 알파스캔 -> 벤큐 사용하고 있는데.. 둘다 제품 자체는 좋습니다.
벤큐 모니터는 7년째 아무 문제 없이 잘 사용하고 있어서 A/S는 경험 해 보지 못했는데.. 위에 달린 댓글 보면 AS는 별로인가 보네요. 알파스캔도 오래도록 고장이 안나 A/S는 경험 해 보지 못했어요. 고장났을때는 이젠 바꿀때 됐지 라는 생각이 들도록 오래 썼으니.. AS 평 자체는 좋더라고요. 단지 A/S 센터가 한군데 뿐이라 가까이 살지 않으면 택배로 보내고 받아야 해서 시간이 좀 더 걸리긴 할꺼에요.
22/07/04 09:34
사정상 모니터를 여러 메이커에서 쓰는중입다.
삼성, LG, 알파스캔, 크로스오버, 벤큐, 와사비망고 등등 쭉 있는데. 중소기업, 대기업 모니터 모두 한번도 고장난적 없었어요. 와사비망고 얘는 65인치 티비도 쓰고있는데 5년째 고장한번 없네요. 확실히 모니터는 LG가 제일 괜찮습니다. 24인치 27인치 32인치 모니터 하나씩 있는데, 색감이나 눈 피로도나 베스트라고 느껴집니다. 크로스오버는 42인치(?) 커브드 모니터 쓰고있는데, 겜하다보면 눈이 아립니다. 그래서 이것저것 HDR 같은 옵션 먹이면 좀 나은데, 겜상에서 어두운 곳 이동하면 아예 안보여요 -_- 비추. 삼성이 스탠다드 하긴한데, 제눈에는 색감이 LG 대비해서 좀 별로입니다. LG께 비싼 이유가 있긴 있어요. 알파스캔, 벤큐는 무난합니다. 색감도 좋고 가격도 괜찮고 잘쓰고있는 중입니다.
22/07/04 10:09
모니터는 모르겠고, 티비는 확실히 대기업 제품이 좋았어요.
부팅속도부터 화면전환 속도, 안정성, 수명, 색감, 밝기 등.. 근데 뭐 가격차 만큼 대기업제품이 좋냐.. 이건 또 아니고. 다만, 핫픽셀은 대기업이나 중소기업이나 한번도 경험해본적 없습니다..
22/07/04 10:48
같은 스펙이어도 화질차이랑 마감차이가 제법나서 중소기업 몇번 사보고 모니터는 무적권 대기업 제품만 사용합니다
오래 사용하면 가격차이 큰 것도 아니에요.. 만족도에 비교하면....
22/07/04 17:03
(수정됨) 일단 LCD 패널에도 등급이 있습니다. 그 등급을 가르는 여러 기준들 중에, 개인적으로 일반 소비자가 가장 크게 체감할 수 있는 부분이라 함은 고장 발생률보다는 아마도 감마 그래프, 밝기, 이에 영향을 받아버리는 색 밸런스 문제를 꼽을 수 있겠습니다.
등급이 떨어지는 패널일수록 밝기를 높이다보면 감마가 틀어진다거나, 화밸이 망가지면서 채도가 빠진다거나... 별에 별 일이 다 생깁니다. 제조사가 명시한 최대값이 아니라 5할에서 7할부터 시작하는데도 그렇습니다. 이런 제품들은 공장 보정으로도 한계가 있습니다. 심지어 뻥파워마냥 뻥스펙도 있습니다. 특히 최대밝기. 최대값이 300cd인 제품이 실측해보면 200cd정도가 최대치라거나... 문제는 이 밝기가 사용자 체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라는 점입니다. 그래서 뻥스펙 빼고, 최상품은 아니지만 어느정도 보정으로 커버 가능한 LCD 패널들이 있겠지요. 이들이 (정직한) 중소기업 가성비 라인의 타겟이 됩니다. 대단위로 떼와서 자체 조정 한 번 더 거치고, AD보드에 여러가지 편의사항, 부가옵션 등을 넣어서 경쟁력을 높이는 타입들 말입니다. 당연히 일반적인 고장과는 별개의 사안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패널 특성과는 무관하게 중소기업 제품들이 더 자주 고장난다고 느껴진다면, 그 때는 완제품으로서의 모니터를 생각해보셔야 합니다. 모니터는 제품 특성상 자체 발열이 상당한 편입니다. 그런데 설계가 조악하여 발열 해소가 안되는 와중에 내부 보드들은 또 집약적이라면...(혹은 저품질이라면) 당연히 더 쉽게 고장나겠지요. 요즘은 모르겠으나 과거에는 이러한 경우가 더러 있었습니다. 특히 파워보드를 내부에 겸하고 있는 제품들은 어쩔 수 없이 더 그랬겠지요. 따라서 정말 다양한 경험담 있겠지만... 거칠게 한 마디로 정리하자면 결국 품질 차이로 귀결될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그 차이는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기본 프리셋에서 멀어질 수록 크게 느껴질겁니다.
22/07/06 11:00
삼성 한개, 엘지 한개, 중소기업 여러개 사용했지만 사용하다 고장난 건 엘지가 유일했습니다. 중고시업 제품이 그렇게 쓰레기라면 이렇게 많이 팔릴 리가 없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