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6/23 10:16
회사 사정에 의해라는 말이 붙는 걸 보니 개발 방법론을 선택하는 등의 권한은 없으실 거 같지만...
최근 읽은 책 중에서는 'Software engineering at Google 구글 엔지니어는 이렇게 일한다'가 가장 좋습니다. '실용주의 프로그래머 20주년 기념판'도 일부 관련 주제들이 있구요, '개발 7년차, 매니저 1일차'도 좋습니다. 기술적인 쪽을 더 볼거냐, 팀 매니지먼트쪽을 더 볼거냐에 따라 좋은 책은 정말 많습니다. 행운을 빕니다.
22/06/23 23:20
22/06/23 23:21
글 수정 버튼이 동작을 안 해서 추가로 코멘트 달면 회사에 Project 관리 툴이 없다면 Confluence와 JIRA로 관리해보시면 정말 편합니다.
22/06/24 14:36
PL(Project Leader) 이라는 것이 회사마다 다르고 프로젝트 마다 달라서 어떤 것이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네요.
1. 만약 상급개발자 역할이나 Architect 등 기술적인 관점에서 Project 에 대한 의사 결정에 관여한다면 대부분 경험빨로 뭔가 해야 합니다. 이러한 상황이라면 일단 "Clean Architecture" 라는 책을 추천드립니다. 2. Project Manager 와 개발자 사이의 의사소통 채널의 역할이 중시된디면 톰 드마르코의 책들이 유용할 지도 모릅니다. "피플웨어"나 "Slack" 이라는 책이 이에 해당합니다. 3. 실질적으로 Project Manager 의 역할을 해야 한다면 급한대로 "시간관리 전략"이라는 책을 추천드리는데, 정식 PM 을 하려면 Project Management 관련 교육을 받는 것이 더 좋습니다. 참고로 "시간관리 전략"은 "시스템 관리자를 위한" 이라는 부제는 붙어있지만 Project 관리하는 측면에서도 생각해볼 점이 많습니다. 개발자에서 관리자로 가는 과정에서 가장 괴로운 것은 참고 서적들이 "이렇게만 하면 된다"에서 "이렇게 하면 안된다" 류로 바뀝니다. 수 년간 생각하는 과정이 바뀌어야 해서 결국 이론은 참고일 뿐이고 몸으로 부딛치면서 깨달아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