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4/08 17:10
(수정됨)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55&aid=0000965127
[누적 확진자 1,500만 명 육박…'재감염' 확률 알아보니] 2022.04.07 덴마크가 오미크론 대유행 때 확진자 180만 명을 두 달간 추적했습니다. [1천739명이 또 감염됐는데 89%는 백신 미접종자였습니다.] -> [0.1%] 나이별로 보면 10대가 23%로 가장 많았고, 대부분 30세 미만이었습니다. 연구팀은 오미크론은 델타보다 고령층의 재감염이 극히 드물다고 밝혔습니다. 진짜 언론들 짜증나네요. 기사 제목에 표시해줄수도 있는걸 거참 크크 아무튼 해외 기준으로도 0.1% 인데 [백진 미접종자] 이고, 그럼 대충 [0.05%] 잡고, 우리나라는 더 낮을테니 [0.02%] 정도? 아직 격리중이니까 아이들이 칭얼대건 말건 규칙은 규칙이니 지켜야한다고 해주시면 됩니다. 우리나라에선 현재까지의 공식 발표 기준으론 1200만명 중 재감염 추정자가 346명이라고 합니다. [0.003%] 너무 낮아서 재조사가 필요해보이긴 하구요.
22/04/08 17:28
일단은 영통으로 버텨봐야겠네요
저희 애기도 걸렸을 때 너무 외로워 했어서 잠시 멍청한 생각을 했었습니다.. 답변 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22/04/09 01:23
오미크론 감염 후 완치자는 다시 오미크론에 감염될 확률은 극히 낮습니다.
괜히 해외 입국시에도 감염 후 완치 증명서 보는게 아니에요.
22/04/09 04:32
아마도 똑같은 오미크론에 감염될 확률이 높지는 않을 겁니다. 하지만 감염 후 획득하는 자연 면역은 사람마다 얻을 수 있는 면역의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알 수가 없고, 연구 결과도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요는 정답은 알 수 없고, 재감염의 가능성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습니다. (이딴 대답이라 죄송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