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3/13 22:00
교과서적인 대답은 업무 전문성 때문이겠죠.
부서는 여럿 있을 수 있지만 결국 올라가다보면 사장은 한 명일테니까요. 하나의 사장이 전혀 다른 생태를 가진 사업부 전체를 모두 이해하고 힘쏟는 건 힘드니 상대적으로 소홀해지는 부분이 생길 수 있겠죠. 성장 가능성 큰 사업부라도 주력 사업부에 가려져서 빛을 못받을 수도 있는 거고.
22/03/13 22:16
윗분들 말씀대로 워낙 이유가 여러가지이겠지만 주요 이유를 몇가지 뽑자면
1. 재무재표 분리/개편 - 상대적으로 건전한 사업만 쪼개서 신용도나 리스크를 관리, 불확실하거나 불안정한 사업을 분리하여 대출 용이, 추후 문제시 매각 또는 부도 처리. 2. 상장 또는 매각 - 자본 마련을 위한 쪼개기 상장이나 추가 대출, 특정 사업부분을 중장기적으로 매각할 계획이 있는 경우 3. 상속 및 절세(탈세) - 모회사와 자회사를 만들어 두면서 주기적으로 가치평가를 통해 주식 교환, 신주 발행 등을 통해 상속
22/03/13 22:23
하나의 회사로 매출액이 높아지게 되면 세무당국의 감시(?)도 철저해지고, 중소기업으로 받는 혜택도 줄어들게 되어서
같은 업종이라 하더라도 매출액이 높아지면 자연스럽게 회사를 나누는 경우가 생기더라구요.
22/03/13 22:52
가끔 망하라고(부문 및 직원 정리) / 팔아버리려고 도 있습니다.
중소기업 개발회사 중에 법인 여러개 차리고 각자 플젝하다가 가망없어보이는 법인 망하라고 말려버리는 것 처럼요..
22/03/13 22:54
완전히 망해버리는 경우는 좀 드물고
연봉 조절하고 (보통 성과급 삭제) 처우 안좋게 만들면 원래 연봉 높던 고연차들은 알아서 나가고… 새 연봉 테이블로 뽑은 낮은 연봉 받는 신입들이 채우고 나면.. 현상 유지만 겨우 하거나 점점 나빠지는 회사로 남는거죠..
22/03/13 23:58
(수정됨) 한 회사가 업종을 여러 개 가지고 있으면 단일스탭조직이 각 사업의 특성들을 모두 꿰고 있어야 하는데 굉장히 비효율적이죠
회계는 회계대로 내부회계 통제가 어렵고, 자금은 자금대로 각 사업별 수지관리가 어렵고, 기획은 기획대로 여러 사업의 전략을 짜야 하고.. 법무는 법무대로 각 사업마다 다르게 걸쳐있는 소관법령들을 포괄적으로 검토해야 하고, 감사는 감사대로.. 구매는 구매대로.. 경영진도 그 모든 분야의 전문가가 아니구요.
22/03/14 03:49
업종별로 규제나 세율이 다른경우도 많습니다. 환경오염유발업종은 규제가 쎈데 다른 업종이 같은 법인으로 묶여 그 규제를 같이받을 이유가 없죠. 그리고 우리나라의 경우 법인 규모별로도 적용받는 법률이 다르기 때문에 법인 규모를 마냥 키우는게 꼭 유리하지는 않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