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1/30 22:41
프로 겜블러 정도 말고 또 있을까요...?
그냥 하시던 일 계속 잘 이어가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스1 전 프로들 보면 아프리카 방송 말고는 딱히 뭐 공통적으로 겹치는 직업 없어요.
22/01/30 22:52
스스로를 잘 관찰해보세요.
보통 사람은 자기자신한테 가능성이 있는 것 중에서 꿈꾸기 마련입니다. 또한 나이에 따른 직업도 있는 것이고요. 40대에 아이돌이나 운동선수를 꿈꿀 수는 없는 노릇입니다. 본인이 관심 있는 분야에서 잘할 수 있는 걸 찾아보세요. 다만 게임에 빠지신 걸 봤을 때, 웹소설, 웹툰, BJ 등 어느 정도 센스와 끝을 보는 성격이 드러나는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습니다. 위 세 가지는 부업으로도 가능하고요. 만약 한다면 올인은 하지 마세요.
22/01/30 23:01
그냥 잘했던 게임 방송이나 유튜브 하면서 돈버는게 가장 머리 쓸 필요도없고 편하죠. 그러다 프로쪽 인맥이랑 만나서 가끔 아는체 해주면 오오 예전에 이런일 있었대 하면서 네임드 되는거고
22/01/30 23:47
(수정됨) 저도 겜에 미쳐있었다가 지금은 아예 다른 일을 하는데
특정업무라기보단 한자리에 오래 앉아있던 습관때문에 공부하기 편했습니다.
22/01/31 03:10
(수정됨) 제가 글쓰신 분과 대충 비슷했는데... (게임하면 랭커or입상)
개인적으로 투자 추천드립니다. 투자와 게임이 굉장히 비슷한 면모가 많습니다.
22/01/31 09:55
저도 게임만 하다가 투자하는 케이스인데 실력이 도움된다기 보다는 게임하면서 길렀던 양질의 정보를 골라내는 능력이 도움이 되는것 같습니다. 어떤 한 게임을 최단기간에 고수반열에 오르기 위해선 한발빠른 정보의 습득과 선별능력이 중요하니까요.
22/01/31 11:10
제주위에 겜잘러는 손재주와 디테일에 집중하는 능력이 있어서 조립 도색 개조 이런쪽으로 살리던데 키보드마우스 컨트롤이 좋으니 그럴수도 있겠다는 생각 들더라구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