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1/02 21:51
묻어가는 질문이긴한데... 3차맞으면 거기서 끝이 아니고 또맞아야되나요?ㅠㅠ
28일에 예약이긴한데 저도 참 맞아야될지 고민 많이됩니다ㅠㅠ
22/01/02 21:54
현재까지 나온 정보로는 5~6개월 후에 맞아도 충분하지 않나 싶습니다. 저는 3차(부스터샷)을 맞은지도 벌써 2개월이 지났는데.. 개인적으로 백신 접종에 굉장히 긍정적인 스탠스를 갖고는 있지만서도 바로 다음달에 또 맞을필요까지야 있나 싶은 생각이 드네요.
22/01/02 21:58
저는 맞아야한다면 최대한 지연해서 맞으려구요
굳이 3개월마다 맞아야할 필요성도 없는데 쓸데없이 왜.. 싶네요. 솔직히 2회접종만하면 끝일거처럼 말해서 맞았는데 3차 부스터샷 안맞으면 일상생활 불가능하게 백신패스 유효기간 걸어넣은거도 어이가없구요.
22/01/02 22:03
면역저하가 아니라면 저도 현재까지 데이터 기반해서 5~6개월 후 접종을 권하는데, 오미크론이 우세종이 되는 시기를 고려해서 바뀔 수 있다 정도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22/01/02 22:13
지금이 코로나 피크상황이라고 판단된다면 3개월 되는 즉시 접종하는게 맞을 것 같은데 개인적으로는 아직 피크가 아닌 것 같습니다. 즉 다른나라 상황을 보면 분명히 이번보다 훨씬 큰 오미크론발 피크가 올 것 같은데 지금 맞아뒀다가 그때 백신효과 떨어지는 것 보다는 그때쯤 맞아서 면역력 최상으로 버텨보려 합니다.
구체적으로는 지금은 정부에서 거리두기 시행하고 있는 시점이어서 더 확산할 확률은 낮은 것 같고 실제로도 서서히 줄어들고 있죠. 반대로 언젠가는 거리두기가 풀릴텐데 그때 이후 오미크론 피크가 올겁니다. 그때가 마지막 고비이지 않을까요. 그래서 저는 거리두기 풀리는 시점을 접종해야 되는 시점으로 생각중이예요.
22/01/02 22:22
전 5개월텀 마다 맞을 계획입니다 12월 초에 얀센에 이은 화이자 맞았는데 계획 대로면 4월 중에 맞을 예정입니다
이건 뭐 젊은 이들 이야기고 나이 드신분은 역시 본인 판단에 따라 다르겠으나 4개월 전후로 맞아야 될것 같긴합니다.. 물론 바이러스가 약화 된다면 텀이 길어지거나 안맞을수도 있겠죠
22/01/02 22:26
저도 5~6개월차에 맞을 생각입니다. 가족 말고는 접촉을 거의 안해서요. 가족이 있다면 접종 기간 편차를 두는게 나을 수도 있겠다 싶네요.
22/01/02 23:00
6개월 후에도 90% 이상 유지라는 말도 있고, 70%대 후반이라는 말도 있고 그렇더군요.
나이가 70넘은 사람이라면 모를까, 50대 정도만 되어도 중증 예방 효과가 70% 이상이면 확률적으로 너무 희박한 수준입니다. 한국에서 말하는 감염이라는걸 과연 감염이라고 해야할지가 의문이긴 하지만 아무튼 요즘 말하는 감염 기준으로 볼때, 미국 IHME 연구소에 따르면 오미크론 감염자의 90% 가량은 무증상입니다. 전파력이 매우 높다는건 요즘 말하는 감염 기준에서의 얘기인데, 그 기준에서 보더라도 매우 약한 경향입니다. 접종률 30% 미만인 남아공의 상황을 보면 매우 약한 것이 분명합니다. 최근 영국의 상황을 볼때도 20만명 확진에 사망자 50명 수준이라, 오미크론 등 코로나 변이들이 아예 없는 일반적인 상황에서 일상적으로 나오는 수준일 수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 최근 1주간 확진자 수가 이전 주에 비해 3.5배 가량이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사망자는 7% 가량 감소합니다. 사망의 경향과 중증화 경향이 비스무리하다고 본다면, 1/4 정도 약해진 셈입니다.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오미크론 감염시 재감염 위험은 1/14, 델타 감염 위험은 1/4 수준으로 줄어듭니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고령층이 아닌 경우에는 직업 특성상 맞지 않을수가 없도록 강제되는 특수한 분들에 한해 접종이 필요할듯 합니다. 제약사 및 많은 나라들의 권고사항이 6개월이기도 하니 그 기간은 반드시 지켜야 하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3개월이면 효과가 최상일때고, 거기서 두어달 지나도 최상 혹은 최상에 아주 가까운 수준입니다. 어떻게 생각해도 권고사항을 어길 이유가 단 하나도 없죠. 게다가 그 권고라는건 7개월이 되면 효과가 없다는 것이 이유가 아니라, 특수한 상황에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 6개월이라는 점 또한 감안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그런데 현재 오미크론을 볼때 그 '특수한 상황'이라는 것 또한 지금은 성립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