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11/06 20:57
MonoGame/FNA/XNA, SDL, SFML 등을 베이스로 만든 커스텀 엔진을 쓰는 게임도 있고, Godot 등을 쓰는 것도 있고, 그 외에도 여러 타입이 있지만,
Baba Is You https://www.gamedeveloper.com/disciplines/road-to-the-igf-hempuli-oy-s-i-baba-is-you-i- Celeste https://celestegame.tumblr.com/tools Dead cells https://deepnight.net/games/motion-twin/dead-cells/ Papers, Please https://forums.tigsource.com/index.php?topic=29750 Stardew Valley https://community.playstarbound.com/threads/game-development-and-engine-decision.25210/#post-989009 Undertale / Deltarune https://undertale.com/deltarune-update-092020/ 그런 평가 기준이라면 Unity가 거의 모든 면에서 압도적 1위이기 때문에, 다른걸 찾는게 큰 의미가 없습니다. Unity는 1인 개발에서도 가장 흔히 쓰이고, 그보다 조금 더 규모 있는 게임(예: Cuphead, Gris, Hollow Knight, INSIDE, Ori and the Blind Forest 등)에서도 마찬가지이며, 가면 갈수록 더 그렇게 되고 있습니다. 가령 INSIDE 제작사의 경우 전작 LIMBO에서 쓰던 자체 엔진을 버리고 Unity로 넘어갔습니다.
21/11/06 21:06
상세한 살명 감사합니다. 유니티로 간단한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본 결과.. 제가 만들려는 2D 게임에는 지나치게 과하단 결론을 내렸습니다. 툴 쓰는 것보다 그냥 코드로 하는 게 낫겠더군요. 편의성이란 것이 툴의 지원 기능 같은 게 아니라 코딩하기 불편하지 않음 정도라서요.
아무래도 답은 스스로 정해놓은 것 같아요. 상세한 답변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