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10/15 10:15
70넘기면 해상도(FHD, UHD)는 UHD로 가시는게 맞고, 디스플레이 종류(OLED, QLED등등)는 각자 취향에 맞추시는걸로...
브랜드는 사실 좀 비싸긴 해도 삼성 엘지가 젤 낫습니다. 결국 패널은 삼성 엘지 제품 갖다 쓰는데, 대체로 중소기업은 가격에 맞춰서 패널 급도 좀 떨어져서.. 조만간 블랙프라이데이 시즌이긴 한데 이젠 TV해외직구도 좀 시들하긴 한 것 같네요.
21/10/15 10:53
오전~오후에 거실 자연 채광을 많이 하면서 TV 로 드라마 등을 볼거면 삼성,
밤에만 & 영화/게임 같은걸 많이 보면 LG OLED 로
21/10/15 11:16
삼성 QLED : LED 가 기본기술이라 밝기를 최대로 올려놔도 번인 걱정도 없고 밝기 때문에 빛반사를 적게 경험함
LG OLED : OLED 는 숙명적으로 번인이 문제라 자동적으로 밝기를 최대로 올리지 못해서 햇빛을 받았을 경우 화면이 덜 밝아서 빛반사를 많이 경험하게 됨 + OLED 의 강점 중 블랙 표현이 최고라서 거기에 맞는 영화/게임을 즐기면 최대의 효과를 누릴수 있음 정도로 요약할 수 있겠죠.
21/10/15 11:24
저도 이렇게 알고 있습니다. 암막 커튼 있거나 밤위주 사용이면 oled가 품질은 최고인데 가격이 매우 비싸고 빛반사 심한게 단점입니다. 삼성엔 oled가 없고 lg보다 좀 싸고요.
21/10/15 12:00
낮 or 티비쪽 빛이 대부분 밝음 (조명 거의 ON/채광 많음) -> 삼성(=QLED라인)
밤 or 티비쪽 빛이 대부분 어두움 (조명 거의 OFF/채광 적음) -> 엘지(=OLED라인) 돈이 많다 - 마이크로LED ?
21/10/15 14:11
암실 비슷하게 만들어놓고 OLED 쓰고 있습니다. IPTV가 주 용도라면 OLED의 진가를 다 발휘하기 어렵기 때문에 가격 대비 만족도가 떨어진다고 생각합니다. 블루레이 디스크 등 고화질 소스가 있는 경우라면 OLED의 의미가 좀 더 있으며, 다른 분들이 말씀하신 시청환경(특히 조도)도 고려할만한 부분이라다고 생각합니다.
해상도는 당연히 UHD(4K라 표기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상이어야 하겠고, 매장에서 삼성 QLED vs. LG LCD(나노셀) 구도로 비교해서 고르시면 좋을 듯합니다.
21/10/15 16:48
85인치 삼성 Qled로 다나와에서 제일 싼 제품 사면 될 것 같습니다. 300~350만원 정도..
일반 티비 시청 위주라면 화면 크고 기본에 충실한 보급형이 짱입니다. 엘지는 최고지만 가성비와는 거리가 멀지 말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