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9/28 14:18
정품인증은 한대만 될 겁니다. 설치자체는 가능하나, 1대는 정품인증 없이 쓸 수 밖에 없을겁니다.(불법이긴 한데, 개인 대상은 단속을 거의 안하니, 그냥 쓰시든지, 깔끔하게 한개더 구매하시든지 해야 할 겁니다.)
21/09/28 14:48
저도 1PC 1라이선스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데스크탑용 하나 노트북용 하나 이렇게 두 개 샀습니다.
그런데 전에 쓰던 노트북이 맛이 가려고 해서 새로 사고 노트북용 윈도우를 설치 후 인증을 받았는데, 기존 노트북의 인증이 바로 풀리지는 않더군요. 어차피 기존 노트북은 쓸 생각이 없어서 신경 안 썼습니다만... 안 쓰고 처박아 놓은 지가 몇 달이 돼서 지금도 안 풀렸는지는 모르겠습니다.
21/09/28 16:18
따로 샀어도 COEM(DSP) 버전을 샀으면 단일 PC에 귀속되는 것이고, FPP나 ESD 버전은 PC를 바꿔가며 설치가 가능하지만 이것도 동시에 1대까지 입니다. 다만 이건 라이센스상 허용되는 사용의 범위가 그러하다는 것이고, 정품인증 자체는 일반적으로 됩니다. 키 하나를 가지고 연속으로 수십대의 컴퓨터에 설치하면 막히는데, 연속으로 두어대 정도 혹은 텀을 두고 그 이상의 컴퓨터에 설치하면 정품인증이 계속 됩니다. 원래는 다른 컴퓨터에서 못 쓰는 DSP 버전도 일반적으로 설치 및 인증이 되는건 마찬가지고, 심지어 FPP는 연속으로 설치하다 막힌 경우에도 그때 뜨는 전화번호에 전화해서 변명하면 보통 열어줍니다. 여러 대에 설치한 경우 다른 컴퓨터의 정품인증이 항상 바로 해제되는 것은 아니고, 시간을 두고 풀리는 경우가 있는데 안 풀리는 경우도 많습니다(풀려도 사용 자체는 가능).
정품인증이 된다고 해서 라이센스에서 허용한다는 것은 아니고, 단속반에서 나왔을 때 단속하는 방식을 기준으로 한다면, FPP/ESD 보유시에는 일반적으로 설치를 무슨 키로 했든 FPP/ESD 갯수 >= 윈도가 설치된 PC 갯수면 통과고, COEM/DSP는 보유 갯수 자체는 여유가 있더라도 구체적으로 뭐로 설치했는지까지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21/09/28 20:08
괴담이 아니라, 1개 사셨으면 1개 쓰시면 됩니다. 2개 쓰시려면 2개 사시면 되고.
정품인증은 그냥 기술적인 절차일 뿐, 인증이 된다고 그게 정품이라는 보증도 아니고, 인증이 안된다고 그게 정품이 아니라는 뜻도 아닙니다. 볼륨라이선싱 제품처럼 애초에 여러 대에 사용하도록 나온 제품이 아닌 이상 여러 PC에 설치하시면 어느쪽에서든 인증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