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8/24 22:24
(수정됨) 지수가 100일때 콜옵션 97.5의 가격이 4라고 칩시다. 프리미엄이 1.5정도 붙어있는거죠.
지수가 101으로 오르면 어떻게 될까요. 프리미엄이 1.2로 감소하더라도 4.7정도 되겠죠. 만기가 많이 남았다면 프리미엄이 더 높으므로 변동성은 작고, 반대로 만기가 아주 임박해있다면 프리미엄이 극도로 줄어있으므로 변동성이 커집니다. 만기가 아주 촉박할때의 변동성은 어떨까요. 3시간쯤 남은 상황이라면 지수가 102.5일때 콜102.5의 가격은 0.5쯤 하려나요. 지수가 한 15분새 0.5%쯤 급등해 103이 되었을때 프리미엄이 0.47정도로 줄어들면 콜102.5의 가격은 0.97가 되죠. 100%가까이 변동합니다. 지수가 101.5로 1%쯤 빠지면 콜102.5는 결제 가능성이 매우 낮아지면서 가격이 많이 빠지겠죠. 장마감에 가까울수록 0.01에 점점 더 가까워집니다. 현재 지수에서 멀리있는 옵션일수록 변동성이 크고, 가까이 있을수록 작습니다. 지수가 100일때 콜옵션105가 0.4쯤 되는 상황에서 지수가 106으로 급등하면 콜105의 가격이 만기가 얼마나 남았느냐에 따라 보통 2~4쯤 하겠죠. 지수가 100일때 콜옵션 90이 12~13쯤 한다고 치면, 지수가 106으로 급등해서 콜90 가격이 18으로 오른다면 상승률은 한 50% 정도가 되겠죠. 105와 90의 상승률 차이가 많이 나죠.
21/08/24 23:00
옵션은 기초 자산의 가격을 직접 거래하는 것이 아니라 거기에 붙은 프리미엄을 거래합니다.
예를 들어 주변 시세가 11억 인데 10억에 들어갈 수 있는 아파트 분양권이 있다고 치죠. 분양권의 프리미엄은 말하자면 1억+a 입니다. 만일 주변 시세가 11억에서 12억이 된다면? 프리미엄은 1억+a 에서 2억+a 가 되겠죠. 즉 기초 자산이 10% 변할 때 프리미엄은 2배가 되었습니다. 콜/풋 옵션의 뻥튀기도 같은 원리입니다.
21/08/24 23:43
옵션은 위에분들이 잘 설명해주셨구요.
선물의 경우 금액을 전부 내는게 아니라 증거금만 내고 거래합니다. 예를들어 지금 미니 코스피 지수 선물을 산다고 하면 412.48(오늘종가) * 5만원(거래 승수) = 2062.4만원이 필요하지만.. 선물 거래는 증거금 5.7%만 내면 되기 때문에 117.55만원으로 거래가 가능합니다. 117만원으로 2062만원의 주식을 산것같은 효과를 낼 수 있죠.
21/08/24 23:55
설명이 잘되어 있어서 쓸데없는 이야기 해보자면
투자에 정답은 없겠지만 지수선물 거래하시려면, 일단 etf에 kodex 200이랑 인버스로 시도 해보시고 얼마나 수익 나는지 검토해보세요. 그 다음 내가 레버리지 얼마만큼 해도(?) 괜찮은지 계산해 보세요. 보통 그거 계산하다 보면 옵션이 얼마나 위험한지 감 잡을수 있고, 돈 빌려서 투자하는 게 더 수익을 내는 방법이기도 하지만 확정적으로 망하는 길이 될 수도 있다는 게 눈에 보이게 될거예요.
21/08/25 04:18
(수정됨) 주식을 사는게 아니라 주식 1주를 살 수 있는 "권리"를 사고파는것이기 때문에 기준가에 따라서 휴지조각이 되거나 대박이 되거나 합니다. 전체적인 기대값은 수수료때문에 -구요. 기대값으로 따지면 복권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살수록 손해지만 대박나는 사람이 가끔 있는 정도죠. 개념을 이해하시는데는 주식기본서 하나 사서 보시면 됩니다. 위에서도 많은 분이 설명해주셨고...
경제에 좋은 점으로는 기관에서 주식 등락에 따른 위험을 헷지하는 용도로 많이 거래하고요. 무서운점으로는 멋모르고 들어가는 개인들의 돈 따먹는 알고리즘들이 실시간으로 진을 치고 있습니다. 단일 상품의 거래량이 많지 않기 때문에 매수 매도가를 본인이 임의로 정해서 해야하거든요. 개인이 정확한 가격을 제시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조금이라도 호구가격에 올리면 알고리즘이 바로 채갑니다.
21/08/25 10:40
그리고 선물이랑 선물옵션은 다른겁니다. 콜옵션이 심하게 오르내리는건 증거금 때문이 아니고 행사가와 매매가의 격차 때문에 발생합니다. 잘못이해하신것 같아 남깁니다.
21/08/25 11:53
레버리지 / 인버스 / 선물 / 코인은 인생 망하기 딱 좋은 지름길입니다
워뇨띠 같은 사람이 매우 극히 예외인거지 대부분은 워뇨띠 반대편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