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9/18 19:03:41
Name nerrd
Subject [일반] 몽환적인 해외음악 플레이리스트
지극히 개인적인 취향으로 써내려감을 밝힙니다.
최대한 최근 음악 위주로 그나마 잘 알려진 곡으로 너무 난해하지 않은 음악들을 소개해볼까합니다.
사이키델릭이나 몽환적인 음악을 하는 밴드/아티스트를  팀마다 한 두곡씩 추천해볼까 합니다.
굳이 장르에 연연하지 않았습니다. 스포티파이나 애플뮤직에는 거의 다 있는 음악들입니다.
 음악감상을 위해 헤드폰이나 이어폰을 껴주시길 바랍니다.

1. Tame Impala




이 사이키델릭 락 밴드는 호주 출신으로 작년 Currents 앨범이 나오기전부터 굉장히 유명했는데
작년을 기점으로 메인스트림에 들어갔다고 볼정도로 앨범도 많이 팔리고 비평단들에게도 평가가 좋습니다.
이번 앨범은 팝적인 요소를 사이키델릭에 잘 섞었다는 평입니다.
이 앨범은 개인적으로도 100번 이상 듣지 않았나 생각할정도로 질리지 않습니다. 

2. Frank Ocean




흑인음악 관심있으면 한번쯤 들어봤을 프랭크 오션입니다.
새로 앨범이 나왔는데 명작이라고 평가 받는 'channel ORANGE' 와는 다른 느낌이지만 버금간다고 생각합니다.
딱히 몽환적인 음악을 일부러 하는 아티스트는 아니지만 에코를 많이 쓰고 비트가 강하고 깊이 파고듭니다.

3. Father John Misty




평범한 사랑노래같지만 충분히 몽환적이고 멜랑콜리합니다. J. Tillman 이라는 본명으로 활동하다
Father John Misty라는 컨셉을 잡고 활동하는 싱어송라이터입니다.
가사가 대놓고 사회비판적이고 평범하지 않은게 매력입니다.


4. Grimes



인디계에서는 예전부터 인기가 많았는데 이번 앨범을 기점으로 좀더 메인스트림스러워졌다고 봅니다.
언제나 평단 평가는 탑급입니다.
개인적으로도 이번 앨범 나오고 흥미가 생겨서 예전것도 들어보고 있습니다. 
통통 튀지만 난해한 자기 색깔이 뚜렷한 아티스트입니다.

5. Jamie xx



유명할대로 유명한 인디락밴드 The xx의 수장입니다.
솔로로 나온 음악들이 저한텐 더 맞는거 같네요. 
이분 라이브도 몇번 봤는데 항상 기대이상이었습니다.
Far Nearer 은 이 글에서 소개한 곡들 중에서 가장 좋아하는 곡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6. Jesse Lanza



이런 음악이 지금 포스트 알앤비가 가야할 방향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글에서 인지도는 제일 없지만 이분 안뜨는 이유는 외모가 아닐까 생각할정도로 음악은 좋습니다.
새 앨범이 따끈따끈하게 나온걸로 압니다.

7. Flume



지금 영미권 일렉트로닉 음악씬에서는 제일 핫한 아티스트중의 하나일겁니다.
EDM, 다운템포, Future bass 등등 한 장르에 얽매이지 않습니다.
이 플레이리스트에서 제일 애정이가는 아티스트기도 합니다. 
사운드 디자인적인 면에서 감탄하면서 들을수 밖에 없습니다.

8. Kendrick Lamar



현재 미국 힙합씬에서 이견없이 원탑인 래퍼입니다. 
굉장히 소울풀하면서 몽환적이면서 카리스마있습니다. 스토리텔링와 사회적인 메시지를 최고의 래핑으로 녹여냅니다.
별 설명이 필요없습니다. 켄드릭 라마만 파도 현재 본토 힙합씬의 반을 들었다고 볼수있습니다.

9. Duke Dumont 



일렉신에서 유명한 '딥하우스'스러운 음악을 만드는 dj/프로듀서입니다.
캐쥬얼하게 딥하우스스러움에 입문할수 있는 음악들입니다. 
유투브 조회수만 봐도 대중적으로도 이미 굉장히 유명하다는걸 알수 있습니다.

10. Diplo



요새는 비욘세 MIA 마돈나 앨범도 프로듀싱하는 메가 프로듀서입니다.
EDM신에서는 큰형님입니다. 레게나 트립합쪽도 잘하고 트랩도 잘하고 못하는게 없다고 봐야합니다.
미국에서 클럽이나 페스티벌에서 몸값은 최고입니다. 몽환적인 느낌도 굉장히 잘 표현합니다.
Major Lazer나 Jack U로 활동할때도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9/18 19:14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좋아하는 장르인데 다 들어봐야겠네요~
김재경
16/09/18 19:48
수정 아이콘
저랑 겹치는게 상당히 많으시네요 허허
tame impala를 혼자 타메라고 부르는건 함정
SigurRos
16/09/18 20:57
수정 아이콘
선추천하고 천천히 감상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flawless
16/09/18 22:24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즐겁게삽시다
16/09/19 01:14
수정 아이콘
오앙 넓게 들으시네요.
추천해주신 음악들 감사히 듣겠습니다.
16/09/19 01:29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론 몽환하면 스카보로 페어였는데 없군요 흑
흑설탕
16/09/19 04:10
수정 아이콘
저도 몽환적인 느낌의 음악을 좋아하는데, 그 시작을 라디오헤드로 해서 그런지 브릿팝 쪽에서 몽환적인 느낌이 나는게 좋더라구요.
nicedream의 초반부분이라던지 no surprise 같은 그런 느낌말이죠.
라디오헤드야 워낙 폭넓은 인지도가 있으니 그나마 좀 인지도가 덜한 keane 의 음악을 하나 추천드리고 싶네요.
keane 의 walnut tree 라는 곡인데.. 멜로디와 어우러지는 보컬이 몽환적인 느낌을 더욱 살려줍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THzJsylwOL8
16/09/19 05:08
수정 아이콘
저도 몽환적인 느낌의 음악은 라디오헤드로 입문했을정도로 좋아합니다.
In Rainbows 는 특히 많이 듣고 좋아했던거 같습니다.
원더월
16/09/19 09:31
수정 아이콘
지금 파더존미스티 들으면서 일하고 있었는데..
이번앨범은 들어도들어도 안질립니다
그리고 테임임팔라는.. 제 최애 밴드에요ㅠㅠ
라이브한번 듣고 죽으면 여한이 없겠네요
16/09/19 10:00
수정 아이콘
테임 임팔라는 라이브로 볼기회가 얼마전에 있었는데 지르질 못했습니다 ㅠㅠ
https://youtu.be/Gn-jnUu5hp8
이게 최신 풀공연인데 들을때마다 왜 안갔을까 후회가..
원더월
16/09/19 10:23
수정 아이콘
오 처음듣는 페스트네요
못본영상인데 감사합니다
라이브접한 사람 열이면 열 극찬을하니..
16/09/19 13:10
수정 아이콘
몽환적인거는 영국 사람들이 잘만들더군요. uk dance chart에 항상 있는 딥한 느낌의 곡들...
duke dumont 10월에 내한한다고 해서 가보려고요 흐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28] jjohny=쿠마 25/03/16 16579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301251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55579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58275 4
104130 [일반] 새롭게 알게된 신선한 유튜브 채널 추천 [7] + VictoryFood4713 25/04/29 4713 7
104129 [일반] 나의 세상은 타인의 세상과 다르다는 걸 [23] + 글곰4723 25/04/28 4723 31
104127 [일반] PGR21 대표 덕후들의 모임☆ 덕질방 정모 후기 (움짤있음) [34] + 요하네스버그5072 25/04/28 5072 36
104126 [일반] SK텔 해킹 사태에 대응한 보안 강화 요령 [33] + 밥과글9147 25/04/28 9147 18
104125 [일반] 종말을 마주하며 살아가기 [34] 잠봉뷔르7243 25/04/28 7243 18
104124 [일반] 역대 최악의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 사고 [67] 나미르10095 25/04/28 10095 8
104123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3) - 미완의 꿈, 제무왕 유연 2 [3] + 계층방정2129 25/04/27 2129 4
104122 [일반] 심히 유치하지만 AI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11] Love.of.Tears.4540 25/04/27 4540 0
104121 [일반] [팝송] 알레시아 카라 새 앨범 "Love & Hyperbole" 김치찌개3296 25/04/27 3296 0
104120 [일반] [독서 에세이] 정치의 종이 되는 생각 없는 과학 (『20세기 소년』) [5] 두괴즐3925 25/04/26 3925 8
104119 [일반] 일본 정부부채는 정말 심각할까? [53] 기다리다10218 25/04/26 10218 7
104118 [일반] 최근 chatGPT와 함께 놀다가 마지막에 나눈 대화 [35] Quantum219955 25/04/25 9955 6
104117 [일반] 미 공군의 A-10 썬더볼트 II는 올해 한국에서 철수합니다 [58] Regentag10121 25/04/25 10121 0
104116 [일반] 트럼프-달러패권 그 뉘앙스은 어떻게 잡는가 [20] Q-tip6946 25/04/25 6946 2
104115 [일반] 아래 간짜장 글을 보고 써보는 글입니다. [18] 덧물7340 25/04/25 7340 0
104114 [일반] 조금 다른 아이를 키우는 일상 9 [7] Poe4249 25/04/25 4249 23
104113 [일반] 챗gpt와 함께 읽는 "희랍어시간" [1] 아빠는외계인4397 25/04/24 4397 3
104112 [일반] 숙박앱에서 저에게 사기를 치려고 했던 것 같습니다? [18] 국힙원탑뉴진스9403 25/04/24 9403 3
104111 [일반] (스포일러 포함) 영화 <야당> - 빠르다... 진짜 빠르다!! [22] Anti-MAGE7945 25/04/23 7945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