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7/05 12:49:32
Name 밥과글
File #1 8610909530_486616_3fe89ad40939322c614e069798a359f3.jpg (32.9 KB), Download : 396
File #2 제목_없음.jpg (79.3 KB), Download : 388
Subject [일반] 멀티탭에 에어컨 꽂아두신 거 아니죠? (수정됨)




제가 부산 기장 근처에 사는데

얼마 전 기장 쪽 아파트에서  안타까운 사고가 있었습니다.

맞벌이 부부가 일하러 간 사이에 에어컨 콘센트에서 화재가 발생해 9살, 6살 딸 둘이 사망했어요.

애들 덥지 말라고 에어컨을 켜주고 외출하셨을텐데 너무 안타깝습니다.  애들은 다 죽고 부모만 남았으니 어떤 심정일지 헤아릴 수가 없네요.

스탠드형 에어컨은 무조건 벽 콘센트에 직접 연결해야 됩니다.  멀티탭 안됩니다.  옛날엔 흔하게 당부했던 말 같은데 최근에는 뉴스 등에서 들어본 기억이 없네요.  몇 년 전에 저희 집에 에어컨 설치할 때도 방문 기사분이 그런 주의는 주신 적이 없고요.  에어컨 전용 콘센트와 설치 자리가 마련된 아파트가 많아져서 일 수도 있고,  인버터형 에어컨이 옛날 에어컨보다는 전기를 덜 먹는 편이라 인식이 해이해진 것일 수도 있고...

흔한 사이즈의 거실 에어컨이 최대 2200W 정도 소비하는데 요새 멀티탭은 못해도 3000W 정도씩 허용하니까 바로 불이 나진 않겠죠.  사실 220v 에 16a 멀티탭 규격이 가장 흔하니까 3000w 라는 것도 안전하게 낮춰서 표기한 것이고 3500w 소비까지는 버틸 겁니다.

그럼 2200w 를 소모하는 에어컨을 멀티탭에 꽂아도 안전할까요 ? 아닙니다.  멀티탭의 전체 허용전력이 넉넉하다 해도 한 구멍,  한 구당 허용전력은 보통 훨씬 낮게 본다고 하네요.

멀티탭의 규격이 16A 인 경우 220v X 16A 를 해서 허용전력을 3500W 정도로 표기하지만 멀티탭의 한 구, 한 구멍당 허용전력은 10A 정도로 봅니다... 220V X 10A = 2200W

간당간당하죠?  멀티탭에 에어컨 꽂지마세요.   스탠드형 에어컨은 아마 멀티탭에 꽂는 경우가 드물 거라고 생각됩니다만



요새 벽걸이형이나 창문형 에어컨 같은 거 컴퓨터방에 설치해놓는 분들 많을텐데 그런 환경에선 멀티탭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죠.  조그마한 에어컨이라 전기도 많이 안먹을 것 같고요

근데 그것도 경우에 따라 안전하지가 않습니다.

특히 구멍마다 온오프 스위치가 달린 형태의 멀티탭이 제일 위험합니다.  그냥 큰 스위치 하나만 있는 멀티탭보다 한 구멍 당 허용전력이 엄청 낮다고 봐야 합니다.  아이디어 제품인 척 하지만 사실 별 쓸모도 없는 쓰레기입니다.  전기제품 관련 이만한 쓰레기도 찾기 힘들듯 합니다.

멀티탭의 전체 허용전력에 비해 한 구멍당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은 훨씬 낮은 경우가 많습니다.  위에 설명했다시피 16A 멀티탭 기준 10A 까지가 최대라고 보는데

구멍마다 스위치가 할당된 멀티탭의 경우 한 구당  5a 정도로 보는게 좋다고 합니다. 즉 1100W

종류마다 다르겠지만 벽걸이형 에어컨이 먹는 전력이 대략 600~ 1200w 사이...이미 사고 났죠?   창문형 에어컨의 소모 전력은 750w~1200w 사이라는데 얘도 간당간당하죠.  위험해 보입니다.

멀티탭을 사용하실 때에는 무조건 스위치 하나짜리 형태를 사용하시는게 안전하고
구멍 숫자는 오히려 4개 이상인 게 좋은데 4구 이상에서만  과부화 차단 기능이 의무화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3구 이하에서도 과부하 기능을 장착한 제품들이 있습니다. 근데 의무 장착이 아니라서 확인후 사용을 권장 합니다

1. 스탠드 에어컨에 절대 멀티탭 쓰지 말 것
2. 벽걸이형, 창문형 에어컨에 16A,  큰 스위치 하나만 달린 튼튼한 멀티탭을 쓸 것.   스위치 여러개 달린 멀티탭은 그냥 추방하자
3. 과부화 차단 기능은 4구 멀티탭 이상에서만 의무화 되어있다.  잘 확인 후 사용하자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김삼관
25/07/05 12:50
수정 아이콘
에어컨은 아니고 제습기를 베란다에서 쓴다고 멀티탭에 연결하는 경우 있는데 주의하는게 좋겠네요... 다행히 5개짜리에 하나만 꽂아 사용하고 있었군요..
밥과글
25/07/05 12:54
수정 아이콘
제습기는 진짜 많이 먹는 애도 500w 정도라 그렇게 신경 안쓰셔도 될 거에요. 사실 그냥 평범한 가전품이나 다름이 없습니다.

에어컨 동생 같아서 많이 먹는다 상상하게 될 뿐...날씬한 친구입니다
김삼관
25/07/05 12:58
수정 아이콘
오호.. 안심하게 되는 댓글 감사합니다.
25/07/05 12:55
수정 아이콘
이케아 1구 연장선은 괜찮으려나요?
작은방 벽걸이 에어컨하고 부엌 김치냉장고가 1구 연장선에 연결되어있는데.. 걱정이네요..
밥과글
25/07/05 13:16
수정 아이콘
1구 연장선도 16A 규격일겁니다. 제일 흔하니..그럼 220 X 16 계산법으로 허용용량이 똑같이 나오는데... 멀티탭은 멀티탭 설계상 한계로 구당 실질 허용 전력이 적게 나오는건데 1구 연장선은 괜찮을 것 같네요.
1구 연장선도 과부하 차단 기능이 있는 제품이 있을텐데 불안하시면 이케아 측에 문의해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koppla 인가 뭔가 하는 제품이납품되고 있을 겁니다
죠르디
25/07/05 12:58
수정 아이콘
투인원이라 실외기는 벽연결, 스탠드는 공업용 2구에 로청이랑 연결해놨는데 괜히 걱정되네요
밥과글
25/07/05 14:51
수정 아이콘
실외기가 전원을 거의 다 먹는데 벽 연결이니 괜찮을 겁니다
실외기랑 스탠드 실내기랑 전원이 하나로 연결된 제품이 꽤 있는데 그게 위험하죠 멀티탭에 꽂으면
조랑말
25/07/05 12:58
수정 아이콘
온오프스위치 멀티탭에 대한 평가가 충격적이네요. 안 쓰는 전력구는 꺼둘 수 있어서 안전하다고 생각했는데...

고전력 가전에만 해당하는 의견인가요, 일반 전자제품(휴대폰충전, 컴퓨터, 전기밥솥 등) 도 해당할까요?
밥과글
25/07/05 13:24
수정 아이콘
(수정됨) 고전력입니다. 가정용 컴퓨터나 휴대폰 충전까지는 상관 없는데 전기밥솥은 벽걸이 정속 에어컨급으로 전기를 많이 먹어서 좀 위험해보여요

일반 멀티탭이면 넉넉하고도 남지만 온오프스위치 제품에 밥솥은 좀...

구글에 전기밥솥 소비전력 검색해보시고 벽걸이 에어컨 소비전력 검색해보세요 깜짝 놀라십니다
조랑말
25/07/05 13:30
수정 아이콘
당장 바꿔야겠네요...2인가구에 백미쾌속만 하다보니 운이 좋았나봅니다. 너무 감사한 글입니다.
25/07/05 13:01
수정 아이콘
유용한 글 감사드립니다.
25/07/05 13:05
수정 아이콘
4구 이상이니까 4구짜리부터 차단 기능이 의무화인거죠? 온오프스위치 따로있는 멀티탭은 진짜 조심해야겠네요
밥과글
25/07/05 13:27
수정 아이콘
네 4구부터 입니다. 3구 2구 제품도 요새는 차단기능 달린 거 많이 나오는데 의무가 아니라서 한 번 체크하고 구매하셔야 됩니다.
如是我聞
25/07/05 13:10
수정 아이콘
멀티탭 늘 쓰면서도 잘 몰랐네요. 가르쳐 주셔서 고맙습니다.
VictoryFood
25/07/05 13:12
수정 아이콘
온오프 스위치가 누전차단기능도 있는 건줄 알았는데 아닌가 보네요.
안녕!곤
25/07/05 13:12
수정 아이콘
저희는 스마트콘센트 중간에 하나 연결한게 불탄적 있어서, 그냥 전원 꺼지고 말았는데 불 나는게 남얘기가 아닌거 같습니다
혜정은준은찬아빠
25/07/05 13:14
수정 아이콘
에어컨 실내기도 크게 전력을 소모하나요? 용량 큰 선풍기 정도로 생각하고 있었는데요...
밥과글
25/07/05 13:35
수정 아이콘
네 맞습니다 에어컨 전력소모 8할 이상은 실외기입니다. 근데 실외기 전원과 실내기 전원이 1개로 합쳐져 있어서 구분하는게 무의미한 제품들이 많았습니다. 요즘 나오는 커다란 스탠드 에어컨들은 실외기 전원이 따로 있는 경우가 많지만요
마리아 호아키나
25/07/05 13:22
수정 아이콘
고용량 멀티탭 검색해보면 많습니다. 이번에 제방에 에어컨 달면서 구매했습니다.
샤르미에티미
25/07/05 13:28
수정 아이콘
그 고용량 멀티탭도 전문가 말씀에 의하면 문제가 있습니다. 간단히 이야기해서 사기라고 하고 크게 다를 건 없다고 하네요.
우리아들뭐하니
25/07/05 13:30
수정 아이콘
창문형 에어컨 정도는 괜찮겠죠? 생각보다 적게 먹는것같긴하던데
밥과글
25/07/05 13:48
수정 아이콘
제가 본문 쓸 때 벽걸이 에어컨이랑 창문형 에어컨 소비전력을 정확히 몰라서 대충 검색했는데
창문형 에어컨이나 벽걸이 에어컨이나 요즘 제품들은 소비 전력이 상당히 작네요. 창문형 에어컨이 보통 효율이 낮다보니 의외로 고성능 벽걸이 제품보다 전기를 더 먹는 경우도 있고요

창문형이 괜찮냐 라기보다는 소비전력으로 판단하시는게 정확할 것 같습니다. 700~800w 정도면 충분히 안전하지 싶습니다

본문에 쓴 내용이랑 차이가 많이 나서 수정을 좀 해야겠네요
25/07/05 13:4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예전에 멀티탭 수명이 최대 2년이라는 소리듣고 깜짝 놀랐던 적이 있어요.
집도 그렇지만 회사에서도 2년 지났다고 멀티탭 바꾸는걸 들어본 적이 없거든요.
집에 있던 5개의 멀티탭은 최소 5년, 심지어 15년 넘은 것도 있더라고요.
그래도 왠지 잘 돌아가는거 버리기가 아까워서 오래된 멀티탭은 가벼운 충전이나 상시 돌아가는 제품(공기청정기) 정도에만 사용 중이고,
고출력 제품(pc본체, 건조기 등)은 멀티탭없이 벽콘센트에 직접 꽃아서 사용하는 정도로 쓰고 있는데 이제 슬슬 다 바꾸긴 해야겠네요..
25/07/05 13:45
수정 아이콘
개별 스위치 있는게 오히려 허용전류 낮다는걸 처음알았네요.
밥과글
25/07/05 14:13
수정 아이콘
스위치만 몇 개 더 추가한 정도가 아니라 아예 설계가 달라져서 어쩔 수가 없다고 하네요
25/07/05 13:56
수정 아이콘
산업용으로 검색하면 제대로 된 고용량 멀티탭 나옵니다.
디자인은 별로지만 성능은 쓸만합니다
밥과글
25/07/05 14:05
수정 아이콘
산업용 고용량 멀티탭 특 = 개별 스위치 달린 제품 절대 없음. 시사하는 바가 있죠!
이시온
25/07/05 13:56
수정 아이콘
개별 스위치 이야기가 궁금한데 혹시 관련 자료를 더 찾아볼 수 있을까요?
밥과글
25/07/05 14:01
수정 아이콘
사실 숨겨진 얘기도 아니고 멀티탭 사시면 설명서에 한 구당 허용전력이 따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개별 스위치 제품이나 통합 스위치 제품이나..

한국전기안전공사 에서 실험한 결과도 있고요. 여기 실험에 관한 뉴스도 있네요

https://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88114
개념은?
25/07/05 13:59
수정 아이콘
저는 그 차단기 있는 고전력 멀티탭 쓰긴합니다
김피탕맛이쪙
25/07/05 14:00
수정 아이콘
요즘 고용량 누전차단기 달린 멀티탭도 나오던데 이런건 어떤가요?
밥과글
25/07/05 14:11
수정 아이콘
사실 저도 전기 전문가는 아니라서 잘 모르겠습니다. 일단 저도 현대일렉에서 나온 고전력 멀티탭을 쓰긴 하는데요 . 전체 허용전력을 넘지 않는 거랑 한 구당 허용전력을 넘지 않는 거 두 개가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25/07/05 14:40
수정 아이콘
뉴스에서 저는 개금동이라고 봤는데 기장인가 보네요 안타깝습니다ㅜ
밥과글
25/07/05 14:46
수정 아이콘
충격적이게도 개금동 기장 둘 다 입니다

비슷한 사고가 일주일 사이 두 번 났어요

자녀들 둘 사망한 것까지 똑같습니다..
FlutterUser
25/07/05 15:22
수정 아이콘
헐…
조랑말
25/07/05 15:42
수정 아이콘
아...
동쪽의소나무
25/07/05 14:49
수정 아이콘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사고난 아이들이 너무 안타깝네요.
25/07/05 15:05
수정 아이콘
사고 뉴스 보면서 안타까와서 끝까지 못보았는데 이것이 원인이었나 보군요.

좋은 정보글은 추천입니다.
25/07/05 15:15
수정 아이콘
저는 주택이든 사무실이든 왜 이렇게 콘센트를 적게 만드는지 이해가 안 가요...
멀티탭 사용을 강제하는 셈이잖아요.
콘센트 하나하나마다 멀티탭을 다 꽂아서 써도 모자라고...
그렇다고 멀티탭을 안쓸 정도가 되려면 방을 빙 둘러서 콘센트를 수십 개 만들어야 할 거 같기도 하지만...
지금 5평 정도 되는 제 작은 사무실 하나에 10구 멀티탭 5~6개 정도를 쓰고 있나...
switchgear
25/07/05 15:34
수정 아이콘
님 말씀이 정답입니다. 미국 전기안전규정에는 6피트 표준 전원선을 가진 전기제품은 연장선 없이 사용할수있도록 콘센트 간격이 최대 12피트가 되도록 설치하라고 되어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콘센트가 아예 없는 벽들이 수두룩하죠.
우스타
25/07/05 15:50
수정 아이콘
(수정됨) 미국은 가정에 240V가 공급되지만 어찌되었건 소켓에서 나오는 게 120V라서 더더욱 멀티탭/익스텐션코드가 죄악시되는 점도 있죠.
한국에서도 콘센트 수를 좀 더 늘리는 것은 맞다고 봅니다. 멀티탭을 최대한 안 쓰는 게 낫죠.

+ 게다가 미국은 어지간한 집은 HVAC 시스템 하에 냉난방이 따로 묶여있다보니 더더욱 관련 위험성이 적고요.
switchgear
+ 25/07/05 16:58
수정 아이콘
그렇죠 냉난방 회로는 원칙적으로 아예 분리하죠.
Yi_JiHwan
25/07/05 15:21
수정 아이콘
에어컨을 부득이하게 멀티탭연결을 하는 경우를 대비해 고출력이 가능한 멀티탭을 항상 사는 편입니다
에이치블루
25/07/05 15:31
수정 아이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25/07/05 15:41
수정 아이콘
바로 고출력 멀티탭 구매
ArcanumToss
25/07/05 15:49
수정 아이콘
아이고... 부모님들 심정이 어떨지.... ㅠ.ㅠ
아이들은 얼마나 고통스러웠을지...
+ 25/07/05 17:04
수정 아이콘
전기나 이런 지식들도 긴급 문자 같은데 좀 넣어서 전국민이 볼수 있게 안내해줬음 좋겠네요 애초에 멀티탭제품을 kc인증이랑 개별접지 안된 제품은 시장에 출하가 안되게 막음 좋겠는데 공산주의 사회도 아니고 그건 좀 힘드려나 모르겠네요
앗잇엣훙
+ 25/07/05 17:23
수정 아이콘
선이 짧으면 멀티탭이 아니라 연장선이 있습니다. 1구짜리. 근데 1구치고는 선이 꽤나 굵은거 사용해야합니다.
몰라몰라
+ 25/07/05 17:53
수정 아이콘
제가 바로 며칠전에 멀티탭에 꽂아본 사람입니다. 이 글이 조금만 더 일찍 올라왔더라면…
갑자기 에어컨 전원이 안들어오길래 에어컨 고장인가 하고 봤는데 집에 굴러다니던 4구짜리 멀티탭을 가져다 다른 콘센트에 연결했는데 잘 작동하더라구요. 에어컨옆 콘센트에 문제가 생긴것 같아 내일 고치기로 하고 일단 멀티탭으로 다른 콘센트에 연결해둔 상태였습니다. 당연히 들은 풍월은 있어 멀티탭 용량 확인하고 4구짜리지만 에어컨 하나만 연결해둔 상태로요.
근데 한 2~30분쯤 지났나 갑자기 펑 소리가 나더니 플라스틱타는 매캐한 냄새가 나더군요. 황급히 에어컨을 끄고 봤더니 역시나 멀티탭에서 냄새가… 뭔가 불안해서 계속 신경쓰던게 그나마 다행이었습니다. 절대 용량큰 전자기기는 멀티탭에 연결 마시길..
+ 25/07/05 18:14
수정 아이콘
휴 다행입니다!
우상향
+ 25/07/05 18:09
수정 아이콘
몇 년 전에 고향집에 에어컨 가동하니까 차단기가 내려가더군요. 왜 그런가 싶어서 콘센트 살펴봤더니 3구 ㅗ 모양 콘센트에 tv랑 공유기에 에어컨까지...
콘센트에서 빼고 보니까 3구 콘센트 에어컨 전원 꼽는 부위가 녹아있었습니다. 화재날 뻔 했죠. 콘센트 용량에 대한 안전 교육이 널리 알려지지 않은 것 같습니다. 부모님도 그렇고 저도 이런 경험 없었으면 별 생각없이 계속 물려썼을 겁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29] jjohny=쿠마 25/03/16 25965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306679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0359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64015 4
104457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12) - 뒤늦은 깨달음, 경시제 유현 (4) 계층방정166 25/07/05 166 0
104456 [일반] 멀티탭에 에어컨 꽂아두신 거 아니죠? [51] 밥과글5075 25/07/05 5075 26
104455 [일반] 자존감은 어떻게 생기는가 [5] 번개맞은씨앗1650 25/07/05 1650 5
104454 [일반] 트럼프의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A)"이 미국 의회를 통과했습니다. [130] 전기쥐11108 25/07/04 11108 7
104453 [정치] 박선원 "멀쩡한 드론통제차량 폐차 시도…증거인멸 정황" [151] 로즈마리12925 25/07/04 12925 0
104452 [정치] 북극항로, 대왕고래와 같은 대국민 사기극이 될 것인가? [45] 삭제됨7631 25/07/04 7631 0
104451 [일반] 정부 "SKT 위약금 면제해야…안전한 통신 제공 의무 못해" [63] EnergyFlow7656 25/07/04 7656 0
104450 [일반] 조금 다른 아이를 키우는 일상 18 [10] Poe2755 25/07/04 2755 17
104449 [정치] [한국갤럽] 李 대통령 직무수행평가 65% [59] 철판닭갈비7703 25/07/04 7703 0
104448 [일반] 현대 기아는 중국 시장에서 부활할 수 있을까? [40] 깃털달린뱀6253 25/07/04 6253 4
104447 [정치] 문화부 장관은 왜 안뽑는걸까요? [31] 방구차야7855 25/07/04 7855 0
104446 [정치] 김민석 국무총리 인준안 통과 (국민의힘 표결 불참) + 초선의원의 표결 실수 [249] Davi4ever12343 25/07/03 12343 0
104444 [일반] 사회와 심리 : 중간자 [9] 번개맞은씨앗3397 25/07/03 3397 1
104443 [일반] 입대 1주년, 휴가 복귀 전 써보는 글 [29] No.99 AaronJudge3823 25/07/03 3823 10
104442 [정치] 바보야, 문제는 교육이야 [105] 휘군7659 25/07/03 7659 0
104441 [정치]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 전원 탄핵 반대파? [45] 철판닭갈비8164 25/07/03 8164 0
104440 [정치] 이재명 대통령 취임 30일 기념 기자회견 [47] 물러나라Y9732 25/07/03 9732 0
104439 [정치] 최근 제일 찌질한 뉴스, 윤석열 "10분~20분은 늦을 수 있다" [71] lightstone11717 25/07/02 11717 0
104438 [일반] 일상의 슬픔. [3] aDayInTheLife3390 25/07/02 3390 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