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06/30 13:00:04
Name 두괴즐
Link #1 https://brunch.co.kr/@cisiwing/12
Subject [일반] 문학소녀를 만난 꿈 없던 소년은 (첫사랑 이야기) (수정됨)
문학소녀를 만난 꿈 없던 소년은
-첫사랑의 프로파간다



  다른 애들이 한창 대입 준비의 정점을 향해 갈 때, 나는 연애를 시작했다. 2001년의 겨울이었다.



좋은 대학을 가야 한다는 것을 알았다. 십팔 년 동안 들어왔던 것이다. 좋은 대학은 몇 개 없고, 인간은 너무 많다. 그런데 왜 가야 한다고 했더라?



십 대 시절의 사랑은 도를 넘기 마련이다. 심지어 첫사랑이었다. 비밀 연애가 될 수 없는 동네 연애는 곧 부모에게 발각되었고, 투옥과 탈옥이 반복되었다. 꿈이 없던 내게 여자친구의 꿈은 프로파간다가 된다. 그녀는 문학소녀였다.



투옥이 되었을 때는 문학을 읽었고, 탈옥을 했을 때는 영화를 봤다. 시와 소설은 졸렸지만, 영화는 두근댔다. 컴퓨터 게임과 만화책, 바보가 되는 축구와 중2병 환자에게 허락된 유일한 마약인 록 음악에 빠져있던 내게 새로운 영토가 열렸다. 세계는 넓고 볼 건 많다.



좋은 대학을 가야 한다는 것은 알았지만, 거기서 뭘 공부해야 하는지는 몰랐던 부모님은 나의 입시에 개입하지 못했다. 그저 “내가 왜 이렇게 고생을 하냐? 다, 너 잘 되라는 거 아니냐? 나는 공부하고 싶어도 못 했는데, 너는 왜 이러냐?”라는 타박을 해왔고, 그건 정당했다. 남들보다 일찍 시작해서 남들보다 늦게까지 일하시던 부모님은 대학 구경도 못하셨던 분들이었다. 그러나 나의 전전두엽은 충분히 성숙되지 못했고, 나는 이해했음에도 통제하지 못했다. 우리의 오랜 조상이 그러했듯 십 대 후반은 원래 짝짓기를 해야 하는 시기이기도 한 것이다. 그래서



한국어문학과에 진학했다. 나는 꿈이 없었고, 문학은 졸렸지만, 여자친구는 문학소녀였다. 그러니까



첫사랑은 왜 아름다운가? 첫사랑은 왜 시들지 않는가? 첫사랑은 왜 병 속에 들어간 신 같은가?



첫사랑이 아름답고, 시들지 않고, 병의 신이기 위해 끝나야 한다.



누구나 가기 싫지만 누구든 뺄 수 없는 곳이 군대다. 나는 아무나였기에 속절없이 가야 했다. 그렇게 국군이 되어 탄약창으로 갔고, 나의 님은 세월을 이기지 못하고 물 건너갔다. 군인에게 까마득한 세월은 님에게도 마찬가지의 세월이다. 그러지 말라고 했지만, 나의 곁에서 식민지의 백성 같이 살았던 그이는 독립이 필요했다. 물 건너간 님은 빼곡한 엽서를 보냈지만, 나는 할 말을 잃었다.



설마 했던 그이도 말을 잃어갔고, 그만큼 엽서는 무안해졌다. 빈 엽서의 여백에는 채울 수 없는 공백이 차기 시작했고, 그 시절이 나의 계급을 키웠다. 전투력을 거의 잃은 병장이 되었을 때, 물 건너 세계시민이 된 첫사랑의 마지막 엽서가 왔다. 초대장이었다.  



세계시민으로의 초청이었지만, 나는 조선의 고지식한 상놈이었다.



학교에 돌아와서 보니, 아-

나는 국문학도였다.

국문학도라고? 어쩌다가…

낙동강은 흐르고 나는 오리알이었다. 정말이지, 정말로.



그리고 계절은 돌고 돌아



십오 년의 강물이 흘렀다. 오리알이던 예비군은 오리가 되어 민방위 대원이 되었다. 그 오리는 새로 낙동강으로 흘러들어온 오리알들 앞에 쭈뼛대며 서 있다. 그러고는 떠든다. 아주 뭐, 잘난 척을 한다. 정말이지, 정말로 인생은 알 수가 없고, 도통 모르는 것이다. 문학소녀를 만난 꿈 없던 소년은 선물 받은 문학을 졸린 눈을 비비며 읽었다. 읽어도 별 감흥은 없었고, 이해도 잘 되지 않았지만, 그건 숙제였고, 그녀는 과외선생이었다. 그랬는데, 그랬던 바보축구는 이제 문학을 가르치는 오리가 되었다.



어쩌다 보니, 그렇게 됐다.



조선의 고지식한 상놈은 세계문학론을 가르친다. 글로벌시대인 것이다. 그러니 올해 내게 세계문학론을 배운 오리알들은 곧 나는 오리가 될 것이다. 물 건너간 세계시민의 일원이 되어, 어디든, 그렇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페스티
23/06/30 13:35
수정 아이콘
그야말로 첫사랑이라는 글이네요. 재미있게 잘 읽었습니다
두괴즐
23/07/01 13:29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23/06/30 15:37
수정 아이콘
이과생들이 쓰는 보고서같은 글들만 읽다가 이글을 읽으니 정말 신세계네요.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두괴즐
23/07/01 13:29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반항하는인간
23/06/30 23:35
수정 아이콘
두!
괴!
즐!
두괴즐
23/07/01 13:31
수정 아이콘
두? 괴? 즐?
larrabee
23/07/01 06:55
수정 아이콘
이문세의 옛사랑이 생각나는 글이네요
두괴즐
23/07/01 13:30
수정 아이콘
이제는 그 시절의 감정이 다 휘발되어 아득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옛사랑>은 참, 명곡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9122 [일반] 한국에서 추방되었던 파키스탄 노만 근황의 근황 [120] 10220677 23/07/03 20677 8
99121 [일반] 지난 9년간 자동차보험 의료비 중 한방 비중 변화 [64] VictoryFood16189 23/07/02 16189 19
99120 [일반] 불안과 선택의 순간. [17] aDayInTheLife9526 23/07/02 9526 16
99119 [일반] 현행 벌점 부여 방식에 대한 잡설 [77] StayAway10991 23/07/02 10991 16
99118 [일반] 일뽕이 인터넷에서 문제시 되는 이유가 무엇일까? [121] 헤일로12313 23/07/02 12313 1
99117 [일반] 연년생 자매 육아, 요즘은 그래도 살만합니다. [48] 착한아이9733 23/07/02 9733 41
99116 [정치] 김건희 일가 땅 쪽으로 계획 튼 고속도로 종점…특혜 의혹 [87] 빼사스14844 23/07/02 14844 0
99115 [일반]  6월 무역수지, 16개월만에 흑자 전환, 한전 3분기 흑자전망 [28] dbq12311275 23/07/02 11275 6
99114 [일반] 캣맘(대디)이 설치한 집들을 신고해봤습니다. [41] 아이스베어11730 23/07/02 11730 34
99113 [일반] 2년만에 다시 달리기 시작했습니다 [22] insane9145 23/07/01 9145 11
99112 [일반] 교회는 어떻게 돌아가는가:태신자 초청(대형교회편) +다 놔두고 옮긴 이유 [14] SAS Tony Parker 8831 23/07/01 8831 3
99111 [일반] 펩 과르디올라는 어떻게 지금 이 시대의 축구를 바꿨는가. [25] Yureka8635 23/07/01 8635 28
99110 [정치] 이동관 홍보수석실, 국정원에 정부 비판 인사 ‘여론 조작’ 지시 [60] 베라히13363 23/07/01 13363 0
99109 [일반] 신해철 노래 가사로 이미지 만들기 [1] 닉언급금지6938 23/07/01 6938 4
99108 [일반] 소곱창 집에서 화상을 입어서 치료비 배상 청구를 했습니다. (후기 1) [62] 광개토태왕11834 23/07/01 11834 2
99107 [일반] 고속도로 1차로 정속주행 차량 8월부터 범칙금.gisa [84] VictoryFood9838 23/07/01 9838 6
99105 [일반] 애플 오늘의 기록 [21] 렌야7258 23/07/01 7258 1
99104 [일반] 영화 귀공자 의외로 괜찮았던 후기 [23] Wicked5959 23/07/01 5959 0
99103 [일반] 탈모약이 아니라 치매 치료제? 현대약품 혼입 사고 [5] The Unknown A8155 23/07/01 8155 0
99102 [정치] 수산물 먹자 캠페인을 실천 중인 국민의힘, 오늘 특식 먹방을 찍었습니다. [87] 검사15295 23/06/30 15295 0
99101 [일반] 문학소녀를 만난 꿈 없던 소년은 (첫사랑 이야기) [8] 두괴즐6077 23/06/30 6077 11
99100 [정치] 현우진 세무조사 / 한동훈 딸 MIT 입학 [239] 동훈25233 23/06/30 25233 0
99099 [정치] "야당 의원은 오지 마세요"…국토부 녹취 파문 [67] 지구돌기14604 23/06/30 1460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