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12/05 12:21:46
Name Regentag
Link #1 https://news.hada.io/topic?id=7956
Subject [일반] 삼성 안드로이드의 앱 서명키가 유출되어 멀웨어에 사용 (수정됨)
삼성 안드로이드의 앱 서명키가 유출되어 멀웨어에 사용되었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https://news.hada.io/topic?id=7956
====

• 개발자의 암호화 서명 키는 안드로이드 보안의 핵심요소
• 구글 안드로이드 보안팀에서 올린 글에 유출된 키들에 대한 설명이 있는데, 일부 키가 삼성/LG/Mediatek 소유의 키임
• 심지어 이 키들은 "플랫폼 인증서 키" 라서 거의 루트 접근에 가까움
  - 시스템에 "android" 앱을 인증하는데 사용 하는 키임
  - 이 "android" 앱은 권한이 높은 사용자 ID인 "android.uid.system" 으로 실행되어 사용자 데이터 액세스 권한 및 시스템 권한을 보유함
  - 이 인증서로 서명된 모든 앱은 안드로이드 OS에 대해서 같은 수준의 권한으로 실행이 가능

• 유출된 삼성의 키는 삼성페이, 빅스비, 전화 앱 등 약 101개에 이르는 페이지에 있는 수백개의 앱들에 사용되었음
• 심지어 삼성은 오늘까지도 해당 키를 교체 하지 않았음
• 얘기가 더 이상한 것은, APKMirror 설립자가 말하길 VirusTotal에서 해당 키로 서명한 멀웨어는 2016년 것이라는 것
====

앱 서명(코드 서명)은 어떤 실행파일에 인증서로 “서명”하여 이 프로그램이 올바른 개발자(기업)가 배포한 것임을 인증하고, 체크섬을 활용하여 변조가 없음을(무결성) 보장할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https://ko.m.wikipedia.org/wiki/코드_서명

즉 단말기에서는 삼성의 인증서로 서명된 앱은 삼성이 배포한 것이므로 믿어도 된다고 판단되는거죠.

국내에서 코드 서명 인증서의 유출사건은 간간히 있어왔고, 2016년 관련 대책이 논의된적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보안SW 코드서명 인증서 유출 사고 경험담 : 시사점과 대응책은 무엇?] (이유지 | 2016년 4월 29일)
https://byline.network/2016/04/1-137/

한국전자인증은 유출방지 캠페인도 하고 있네요.
[한국전자인증,코드사인 인증서 유출방지 캠페인 실시](2019년 August 8일)
https://cert.crosscert.com/한국전자인증코드사인-인증서-유출방지-캠페인-실/

캠페인의 방향은 “EV 인증서를 도입하라”인 것 같지만요. (EV 인증서는 발급 비용이 비쌉니다.)

한편, 이 문제에 대하여 질의하자 삼성은 다음과 같은 답을 보내왔다고 합니다.
"삼성은 갤럭시 기기의 보안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2016년부터 해당 문제를 인지하고 보안패치를 진행하였으며, 현재까지 해당 취약점과 관련된 보안 사고는 알려진 바 없습니다. 항상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장치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는것을 추천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아케이드
22/12/05 12:44
수정 아이콘
정말 요즘 삼성 왜 이럴까요...
22/12/05 12:45
수정 아이콘
애초에 키 관리를 저렇게 하면 EV 인증서 할애비가 와도 못박을탠대 말이죠 크크
삼성정도 되는 회사가 키 관리를 저렇게 허술하게 하는게 이해 안되네요.
22/12/05 13:03
수정 아이콘
아침에 보긴 했는데 생각이 많습니다.

저정도면 적어도 기존 기기는 몰라도 어느시점 이후 기기의 키는 바꾸든 뭘 했어야 하지않나 싶은데
똥진국
22/12/05 13:21
수정 아이콘
어느 순간부터 아무 생각이 없는 삼성이 되버렸군요
삼성이 누군가에게 약점을 잡힌건지 뭔가 자포자기한듯한 운영을 하는 모습입니다
이재용을 두들겨 패고 싶습니다
22/12/05 13:53
수정 아이콘
요즘 삼성은 혁신이 사라진 느낌은 있네요
내부적으론 치열하게 연구 하겠지만
페스티
22/12/05 14:06
수정 아이콘
한심한 모습만 보여주는 것을 보면 불안합니다
단비아빠
22/12/05 15:11
수정 아이콘
유출된 키를 사용했다는 그 멀웨어가 뭔지 이름조차 못밝히는 시점에서 신빙성이 팍 떨어지는데요..?
구지 못밝힐 이유가 하나도 없는데..??
조메론
22/12/05 15:14
수정 아이콘
동감해요.
기사도 그냥 주장일 뿐이고, 이걸로 삼성 욕할 일인가 싶네요.
타카이
22/12/05 15:37
수정 아이콘
구글 보안팀인 프로젝트 제로팀 발표를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현재 스파이웨어 업체에서 위 취약점으로 개발한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는데 앱이 특정되면 더 확산될 수 있으니 그부분은 가릴 수 있죠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11467

제로데이 취약점이니 위험한 게 맞습니다
단비아빠
22/12/05 15:50
수정 아이콘
(수정됨) 멀웨어 이름이 특정된다고 해서 멀웨어가 더 확산될 이유는 하나도 없습니다
타카이
22/12/05 15:54
수정 아이콘
저의 짧은 생각으로 오프라인이 아닌 온라인 세상에서 범죄 툴 제작이 가능한 판매자가 알려지면
해당 제작자를 대상으로 한 의뢰가 늘 개연성이 있지 줄어들거라고는 생각되지 않네여
Regentag
22/12/05 15:56
수정 아이콘
“사인 키가 유출되었다”와 “유출된 키가 멀웨어에 사용되었다”는 2가지 주장이 나온 것인데, 일단 유출 자체는 사실인 것 같습니다. 삼성의 입장도 유출을 부정하진 않았고요.

다음 링크에서는 Google 엔지니어가 밝힌 멀웨어의 목록이 있긴 한데 어떤게 삼성의 유출된 키가 사용되었는지 명시하진 않았네요.
https://www.xda-developers.com/android-oem-key-leak-samsung-lg-mediatek/
도라지
22/12/05 17:54
수정 아이콘
그럼 인지한 즉시 업그레이드를 하라고 권고했어야 하는데, 이 건 관련해서는 권고사항을 못봤네요.
좀 특이한 대응이긴 하네요.
타츠야
22/12/05 17:12
수정 아이콘
삼성의 변명을 믿는다면 이미 배포된 모든 앱들의 서명키 변경을 하기 어려우니 해당 서명키로 signed 된거 외에 다른 보안 체크를 추가한 것으로 보이네요. 그리고 그 로직은 삼성이 커스터마이즈한 안드로이드 하위 레이어에서 동작하는 것 같고.(그래서 최신 SW로 업데이트를 유지하라고 코멘트)
처음엔 말이 안 된다 생각했지만 다른 한편으론 서명키라는게 100% 안전하게 보관된다는 보장은 아무도 할 수 없어서 (최근에 토요타도 GitHub에 몇 년동안 보안키를 보관...). 그리고 구글쪽에는 이미 노티가 되어서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도 추가 조치를 한 걸로 보이구요.
타츠야
22/12/05 19:46
수정 아이콘
댓글 추가합니다.
오늘 뉴스로 NHN에서 운영중인 페이코도 서명키가 뚫렸네요.
'천만 페이코' 서명키 유출 넉달이나 뚫린 것 몰랐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055720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30] jjohny=쿠마 25/03/16 38101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7] 오호 20/12/30 315108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9316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75719 4
105218 [정치] 한국 미국 관세협상 [2] 만우691 25/10/16 691 0
105217 [정치] '이재명 사건' 3월 28일부터 봤다던 대법원…공식문건엔 4월 22일 [33] 베라히3174 25/10/15 3174 0
105216 [정치] 이재명 선거법 대법원 파기환송심 위법? [19] 삭제됨1929 25/10/15 1929 0
105215 [정치] 보유세 인상에 반대하는 이유 [35] 유동닉으로2124 25/10/15 2124 0
105214 [정치] 미국주식, 금, 그리고 대치은마 아파트 [74] 사업드래군6794 25/10/15 6794 0
105213 [일반] 금 1돈 85만원까지 올라 [52] 손금불산입6127 25/10/15 6127 0
105212 [일반] 우리는 어째서 인문학 '따위를' 공부해야만 하는가 [43] 솔로몬의악몽3716 25/10/15 3716 31
105211 [정치] 범여, 3+3+3년 전세 개갱신 ‘임대차법’ 발의…시장선 "나라 말아 먹을 법" [258] petrus9685 25/10/15 9685 0
105210 [정치] 5선 이상민 의원, 별세 [30] 빼사스6524 25/10/15 6524 0
105209 [정치] 임대주택 이야기. 36m^2, 44m^2 [21] nearby2622 25/10/15 2622 0
105207 [정치] 수도권 15억 넘는 집, 이제 주담대 4억 이상 안 나온다 [10·15 부동산대책] [494] 윤석열12464 25/10/15 12464 0
105206 [정치] 캄보디아 내 한국인 대상 범죄 관련 뉴스들 [96] 전기쥐6921 25/10/15 6921 0
105205 [정치] (아이디어) 주택연금을 받으면 종부세를 깍아주자 [18] VictoryFood3056 25/10/15 3056 0
105204 [정치] 왜 민주당이 집권하면 서울 아파트값이 급등할까? [345] Hydra이야기16179 25/10/14 16179 0
105203 [일반] 스파르타 전사의 삶을 알아보자 [23] 식별6148 25/10/14 6148 16
105202 [일반] ??? : 전원 구조 준비 완료되었습니다 [58] 라주미안8694 25/10/14 8694 0
105201 [정치] [단독] 서울 전역+분당·과천, 부동산 규제지역 유력(오늘 중앙일보 1면) [355] petrus15283 25/10/14 15283 0
105200 [일반] 영포티론에 대하여 – 40대 남성은 20대 여성을 욕망해도 되는가 [136] 솔로몬의악몽9274 25/10/14 9274 11
105199 [일반] 댄스 필름 촬영을 이어오면서의 소회. [19] 메존일각3470 25/10/14 3470 2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