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01/14 13:47:22
Name 삭제됨
Subject [일반] 왜 벨기에의 식민지였던 곳은 네덜란드어가 아닌 프랑스어를 쓸까? - 콩고민주공화국을 중심으로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StayAway
20/01/14 13:51
수정 아이콘
크킹에서 플랑드르 공작을 해보신 분들은 알겠지만 플랑드르는 초보자에게 적극 추천하는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죠.
쿠크다스
20/01/14 14:21
수정 아이콘
유로파에서 플랑드르를 얻으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백년은 반란의 땅이죠..
FRONTIER SETTER
20/01/14 18:47
수정 아이콘
하지만 노스퀴토들이 배를 만든다면 어떨까요
aurelius
20/01/14 13:52
수정 아이콘
잘 봤습니다. 좋은 글 감사 드립니다 :)
뚜루루루루루쨘~
20/01/14 14:22
수정 아이콘
닉에서 오는 신뢰감이!!
회사라 사진이 많아 바로는 못 읽지만 선추천 드립니다!
20/01/14 14:24
수정 아이콘
닉글일치...
20/01/14 15:01
수정 아이콘
(수정됨) 하... 파트리스 루뭄바라는 이름이 나오니까 정말 감정이 복잡해집니다. 자주 기억하려는 이름이면서도 자주 까먹게 되더군요. 언급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프란츠 파농과 함께, 탈식민주의를 이끌었던 프랑스 (언어) 학계의 지식인이라고 부를 수 있는 인물이었지요. 둘다 조금만 더 오래 살았어도, 피지배-독립에서 시작하는 나라들을 위한 정신적인 가이드를 적어줄 수 있었을텐데 참 아쉽습니다. 이 두 사람이 해방된 조국에서, 독립 이후의 국가를 다루는 글을 쓰려고 했다는 것은 우연이 아닐 겁니다. 한 명은 병사로 한 명은 암살로... 저는 만일 이 책들이 완성되었다면 한국도 분명 엄청 혜택을 봤을거라고 생각해서 더 아쉽네요.
프란츠 파농이야 프랑스령 식민지에서 교육을 받았다쳐도 루뭄바는 왜 프랑스어가 모국어였는지 궁금했는데 이런 사정이 있었군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블루투스 너마저
20/01/14 16:51
수정 아이콘
(수정됨) 포 고 문
콩고 독립국민, 원주민이 아닌 유럽인종, 유색인종 거주민 및 콩고 국민들에게 1908년 11월 15일 부로 콩고독립국을 구성하는 영토의 주권을 벨기에가 갖게된다는 사실을 알리게 되어 영광입니다.

보마, 1908년 11월 16일
결석인 부총독님을 대신하여
식민지 감독관
길랑
동굴곰
20/01/14 16:51
수정 아이콘
씨게 세탁 돌린 나라.
레오폴드 2세는 히틀러, 스탈린이랑 동급에 놔도 할 말이 없을 인간.
20/01/14 16:52
수정 아이콘
요즘 토전사로 유럽 근세사 맛보고 있는 중이라 이런 유럽 근현대사 글보니 더 반갑네요.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꼬마군자
20/01/14 17:56
수정 아이콘
잘 봤습니다!
처음 알게 됐는데 흥미롭네요.
부질없는닉네임
20/01/14 19:44
수정 아이콘
닉값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재밌게 읽었어요.
푸른등선
20/01/15 01:09
수정 아이콘
잘봤습니다. 19세기까지 프랑스어는 일종의 양반들이 쓰는 고급진 말이고 나머지 독일어 네덜란드어 등등은 삼류 아랫것들의 언어라는 인식이 유럽 각국 엘리트들의 생각이었군요..(아, 독일어는 아닌가요? 유럽에서 양반귀족하면 프랑스 오스트리아가 떠오르는데 오스트리아도 게르만이니까?? )
브리니
20/01/15 08:18
수정 아이콘
역사글 너무 좋아요.. 생각이 흐르는 중에 역사를 즐기는건 잔혹한 일인가 하는 물음이 되뇌입니다. 나은 방향으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겠거니하는 혼자만의 명분을 가져봅니다.과연?
달과별
20/01/15 11:2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원래 네덜란드어권이었던 브뤼셀의 프랑스어화도 비슷한 과정을 거쳐 이루어집니다. 네덜란드어 명칭과 프랑스어 명칭이 아예 상이한데서 눈치를 채신분들도 많겠지만 접점이 없이 분리되서 살다가 네덜란드어 화자들이 참다 못해 자녀의 모국어를 프랑스어로 바꾼 경우죠.

현재 벨기에 프랑스어권 왈롱 지역의 쇠락을 목격하려면 공항이 있는 샤를루아만 가봐도 됩니다. 동유럽 수준의 슬럼 도시니까요.

그래도 불어권이나 네덜란드어권이나 같은 나라는 나라인게, 앤트워프 도시개발만 봐도 막장으로 유명한 벨기에 불어권이랑 전혀 다를게 없어요. 로테르담을 지은 네덜란드랑 비교된달까요.
유럽마니아
20/01/15 12:23
수정 아이콘
보충설명 감사드립니다. 앤트워프도 꼭 가보고 싶은 도시지요. 브뤼셀은 지나쳐보긴했는데..ㅠ
달과별
20/01/15 13:40
수정 아이콘
브뤼셀과 분위기가 다른 도시는 아니라고 하면 느낌은 오실 겁니다.

https://www.thetimes.co.uk/article/https-www-thetimes-co-uk-edition-weekend-a-weekend-break-in-antwerp-belgium-fbz8wf7w6-fbz8wf7w6

이렇게 아름다운 광장 한두개가 있고 나머진 이렇죠.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Antwerp_Tower_from_Leysstraat.jpg
내설수
20/01/15 20:06
수정 아이콘
1차 세계대전에서 독일군과 터키군이 적국의 언어인 프랑스어로 대화했다는 사례가 있을 정도니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29] jjohny=쿠마 25/03/16 25995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306695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0382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64040 4
104459 [일반] [팝송] 테이트 맥레이 새 앨범 "So Close To What" 김치찌개259 25/07/06 259 0
104458 [일반] 오징어게임 시즌 3 감성평 (스포일러 없습니다.) [23] 성야무인2236 25/07/05 2236 2
104457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12) - 뒤늦은 깨달음, 경시제 유현 (4) [2] 계층방정1165 25/07/05 1165 2
104456 [일반] 멀티탭에 에어컨 꽂아두신 거 아니죠? [77] 밥과글8087 25/07/05 8087 32
104455 [일반] 자존감은 어떻게 생기는가 [10] 번개맞은씨앗2966 25/07/05 2966 10
104454 [일반] 트럼프의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A)"이 미국 의회를 통과했습니다. [147] 전기쥐12532 25/07/04 12532 7
104453 [정치] 박선원 "멀쩡한 드론통제차량 폐차 시도…증거인멸 정황" [152] 로즈마리13643 25/07/04 13643 0
104452 [정치] 북극항로, 대왕고래와 같은 대국민 사기극이 될 것인가? [45] 삭제됨7789 25/07/04 7789 0
104451 [일반] 정부 "SKT 위약금 면제해야…안전한 통신 제공 의무 못해" [63] EnergyFlow7881 25/07/04 7881 0
104450 [일반] 조금 다른 아이를 키우는 일상 18 [10] Poe2846 25/07/04 2846 18
104449 [정치] [한국갤럽] 李 대통령 직무수행평가 65% [59] 철판닭갈비7881 25/07/04 7881 0
104448 [일반] 현대 기아는 중국 시장에서 부활할 수 있을까? [40] 깃털달린뱀6384 25/07/04 6384 4
104447 [정치] 문화부 장관은 왜 안뽑는걸까요? [31] 방구차야7986 25/07/04 7986 0
104446 [정치] 김민석 국무총리 인준안 통과 (국민의힘 표결 불참) + 초선의원의 표결 실수 [249] Davi4ever12464 25/07/03 12464 0
104444 [일반] 사회와 심리 : 중간자 [9] 번개맞은씨앗3436 25/07/03 3436 1
104443 [일반] 입대 1주년, 휴가 복귀 전 써보는 글 [29] No.99 AaronJudge3861 25/07/03 3861 10
104442 [정치] 바보야, 문제는 교육이야 [105] 휘군7731 25/07/03 7731 0
104441 [정치]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 전원 탄핵 반대파? [45] 철판닭갈비8223 25/07/03 8223 0
104440 [정치] 이재명 대통령 취임 30일 기념 기자회견 [47] 물러나라Y9776 25/07/03 977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