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10/25 16:23:34
Name 퀘이샤
Subject [일반] 너무 늦게 쓰는 한달짜리 미국 여행기(스압)
https://ppt21.com/freedom/101996?divpage=21&sn=on&keyword=%ED%80%98%EC%9D%B4%EC%83%A4

작년 8월에 썼던 글인데, 자년 9월말 미국가서 11월초 한국 다녀왔습니다.
회사일은 어떻게 풀리는 듯 했으나 제주도까지 가서 많은 내상을 입고 프로젝트가 중단되어 우연찮게도 세상에서 제일 돈 많이 버는 몇번째 회사의 투자콩고물을 먹는 프로젝트에 참여하게되었습니다. 일견 잘 풀린 듯도 하나 AI거품이 언제 갑자기 꺼질까 두려운 마음이 드는 것도 사실입니다. 직접 경쟁자들을 비교할 수는 없으나 미국 여행에서 느낀 바와 간접적으로 외국 경쟁자(국가, 기업)들과 비교해보면 한국이 분명히 가지는 강점이 있습니다.

주말에 여유가 생겨서 챗지피티한테 물어서 사진 링크가능한 사이트에 사진을 올리고, 사진 중심으로 1년전 기억을 더듬어 봅니다.
누군가에게는 흥미로운 사진이나 지점이 있을 수 있을 것이라 봅니다. 이게 뭐야 하시면 주르륵 내리시면 됩니다.
부동산, 주식 보다는 대중성이 있지 않을까 싶네요.

IMG-6847.jpg
미국현지 요구사항, 어머니의 참기름/들기름, 등등 한가방 싸서 미국갈 준비합니다.

IMG-6849.jpg
마일리지로 갈 때 이코노미, 비니니스인데 (돈을 더 냈나?) 다리뻗는 이코노미 자리를 구했습니다.
10시간이 넘으니 이건 축복입니다.

매형이랑 저랑 술을 좋아합니다. 술 관련 사진이 좀 있네요.
IMG-6851.jpg
저급 위스키에 훈연향을 입히는 칩들입니다. 드라마틱하지는 않은데 뭔가 좀 달라집니다.

IMG-6875.jpg
미국도 무조건 장작불은 아닙니다. 가스불로 분위기 내고 와인인데,,, 저 멀리가 바닷가 골프코스로 유명한 그 페블비치입니다.

IMG-6884.jpg
미국 위스키를 (좋아하지 않지만) 값을 좀 더 치르면 품질은 확실히 나아집니다. 어느 정도 선에서는 취향으로 갈리는거죠.

IMG-6889.jpg
전날 과음 후 아침 라운드인데 매형이 장난인지 블러디메리를 해장으로 건네주시네요.
두모금째부터 블러디메리에 빠졌습니다. 마트에 가니 덕용으로 팔더군요.
(토마토, 보드카, 후추, 베이컨, 스테이크소스같은 뭔가 등등이 섞였습니다. 미친 조합인데 이게 됩니다.)

IMG-6992.jpg
캘리포니아와 네바다 경계에 있는 오락실에서 돈 따서 고든램지 식당을 갔습니다.
일단 헬키친 값과 연기가 나오는 퍼포먼스  말고는 칵테일은 실망이었습니다.

IMG-7028.jpg
캘리포니아 특산품 사다주기로한 분이 있어서 케이머스 골라봤습니다.
좀 큰 리쿼샵을 가보면 정말 이곳이 천국(어마어마한 다양성) 이다 싶더군요. 전반적으로 한국보다는 싸지만 애매한 가격대도 잇습니다.

IMG-7163.jpg
마지막 21번째 라운드를 이글바인에서 전반 2오버라는(블루티, 첫음보는 구장) 미친 경기력을 보였으나,
그늘집 알콜은 후반을 망가지게 하죠. 시작은 블러디메리입니다. 시장도 가능하고 해장도 가능~

IMG-7204.jpg
귀국직후 앞날을 걱정하는 동기들과 마신 막걸리 사진이 있네요.
호불호 나뉘나 저는 해창이 너무 좋습니다.


요즘 한국에도 전세계 먹거리가 거진 다 있죠. 하지만 미국에서 먹는 김치와 한국 김치는 차이가 좀 있습니다.
다양성의 미국이니 음식 사진이 좀 있네요.
IMG-6857.jpg
IMG-6859.jpg
코스트코가서 산 고기 집에서 구으면 아래처럼 되더군요.
숙련이 좀 필요한데, 밖에서 사먹는 것보다 맛있고 비용도 절감되더군요.
백야드가 없는 한국에서는 리버스시어링(오븐 활용)이 최선아닌가 싶습니다. (불향은 포기)

IMG-6865.jpg
조카 등교시켜주니 그 길에 빠리바게트가 있네요. 슈크림빵 2.79불입니다. 오픈런입니다.  한국빵 쌉니다.
(누나 의견이 미국 물가도 어마어마하게 오르고 있다네요. 저게 1년 전이니 지금은 더 올랐겠죠...)

IMG-6876.jpg
2018년이던가 어마어마한 감돔이었던 성게가 작황의 문제인지 씨알이 너무 작더군요.
그래도 저만하면 입안가득 성게향이 넘쳐납니다. (쓴맛나는 경우가 없다는 점도 장점 같습니다.)

IMG-6951.jpg
매형은 365일 매일 먹을 수 있다는 인앤아웃 햄버거입니다.
품질유지 때문에 서부에만 몰려있다는데 가장 안정적인 미국의 맛인 듯 합니다.
별도 요청하면 빵대신 양상추로 만들어주는데, 두번다시 먹을 맛은 못됩니다.

IMG-6955.jpg
대충 현금개울 정도의 이름을 가진 오락실에서 돈따서 먹은 요리인 듯 합니다.
고기, 새우는 예상치고, 아스파라거스가 뭐 그리 굵고 실한지 놀라웠습니다.
고추(피망?)류를 익히는 가니쉬는 영상에서 자주 보여주는데 풋고추 장아찌가 더 어울릴 듯 합니다.
근데 크림들어가 메시포테이토가 정말정말 대단하더군요. 레시피 물어보고 싶었지만 참았습니다.

IMG-6959.jpg
피시소스 활용한 소스에 찍어먹는 동남아식 고기,,, 사진 그대로인데 "잘" 익혔더군요.
"수육+새우젓"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는데 사람들 입맛과 먹는 방식이 공통점이 다 있나봅니다.

IMG-6964.jpg
미국에서 잘 먹는데 섬유질이 부족하여 너무 화장실에서 힘들었습니다.
누나랑 모닝글로리(공심채) 한단씩 사서 파스타처럼 먹었습니다. 이후 쾌적해졌습니다.
저기 들어간 그 공심채소스를 사왔어야 하는데,,,

IMG-6975.jpg
공심채를 먹었으니 고기를 또 먹습니다. 미니양배추 맛있습니다.

IMG-6994.jpg
고든램지 식당 시그니처 메뉴입니다.
패스츄리같은 빵에 고기가 들어가잇는데 조리실에서 저렇게 자른다고 피똥 쌌을 것 같습니다.
맛은 보이는대로인데, 미국 음식이 선?이 굵어서인지 저런 플레이팅에 다들 감동하더군요.

IMG-7019.jpg
타호를 다녀오는 길에 배가 고파서 중간에 어느 도시에 가서 시킨 소고기 볶음입니다.
30불 언더였던 것 같은데, 미국에서 사먹은 음식 중에서 베스트입니다.
뻑뻑한 양념에 적당한 지방의 제육볶음 느낌인데, 소고기에 소스맛도 훌륭합니다.
태국, 베트남 둘 중에 하나이지 싶은데, 다시 찾아가고 싶네요.

IMG-7025.jpg
밥 챙겨주는데 지친 누나랑 멕시코식당가서 브런치로 먹습니다.
저게 브런치입니다. 브런치,,, 일부 미국 사람들의 덩치가 이해되더군요. (고기 대충 250~300g)
사워크림? 그리고 토마토, 살사 요런 조합의 멕시코 소스가 은근 중독성이 있더군요.

IMG-7073.jpg
IMG-7075.jpg
공심채로도 고기는 힘들다하니 랍스터를 곁들여 봅니다. 오버쿡은 안됩니다. 그럼 정말 맛있습니다.
맛있다고 했더니 미니양배추 또 가니쉬네요. 저날 와인도 좋았는데 기억이 가물합니다.

IMG-7156.jpg
분명히 괜찮다고 간 햄버거집일 겁니다. 파이브가이즈였나? 뭐였나?
햄버거는 이제 그만~

IMG-7186.jpg
한국으로 돌아오는 길에 다른 음식 다 제치고 빨리 라면 끓여달라고 했습니다.
적당히 익은 김치까지 있으니 살 것 같더군요.

미국은 자동차의 나라입니다. 어찌어찌 한국에서는 못타본 차들이 있네요.
IMG-6856.jpg
500~600 마력 정도로 기억하는 M5 입니다.
누나는 차고만 차지한다고 뭐라 하지만, 가끔 서킷을 즐기는 매형에겐 남바완 애마더군요.
밟으면 우렁찬 배김음과 함께 쭉 달려줍니다.

IMG-6881.jpg
매형친구 포르쉐 전기차인데 123마일이네요. 전혀 부담이 없었습니다.
근데 이상하게도 솔직히 빠르다, 안정적이다 말고는 어떤 감흥이 없더군요.

IMG-6916.jpg
첫 보름간 제가 탄 미아타입니다. 저 골프백은,,,

IMG-6919.jpg
겨우 이렇게 싣고 가야합니다.

IMG-6921.jpg
소프트탑 열면 이뿝니다.

IMG-6922.jpg
생각없이 열고 탔다가 햇빛에 타죽을 것 같아서 저렇게 운전했습니다.
다행히 검문을 받지 않으나 히스패닉 아저씨들이 신호받을 때 말걸어주네요.

IMG-6969.jpg
사연이 있어 차를 얻어타야했는데 F150 전기차 프렁크에는 골프백이 들어갑니다.
실내도 광활하기 이를데 없더군요. 근데 미아타보다 가지고 싶은 욕심은 안들더라는,,,

IMG-7094.jpg
마지막 3주간 제가 탄 포르쉐입니다. 전기차 포르쉐 형님이 그냥 타라고,,,

IMG-7099.jpg
한등급 위라는 911을 잡는 카이만이라는데, 달려야죠. 유명한 드라이브코스를 찾아갑니다. (한국 유명산 느낌,,, 억지로,,,)
엔진이 뒤에 있고, 좌우폭이 넓은데 낮으니 아무리 돌려감아도 문제없더군요. 게다가 수동이니 더 재미납니다.

IMG-7108.jpg
드라이브코스는 냉전시대 태평양을 건너오는 미사일 조기에 감지하기 위한 기지가 있는 은엄햄?인가 그런 산입니다.
지금은 기지 운영을 안해서 저 같은 드라이버들이 좋아하는 길이 된 듯 하더군요.
랩타임을 재보고 싶었는데, 내리막은 미아타가 이걸 것 같기도 합니다.

IMG-7120.jpg
포르쉐도 골프치러 갈 때는 갑갑합니다.

IMG-7133.jpg
작년 글에서 1번국도 말씀해주셔서 달렸습니다. 빅서 멋있더군요.

IMG-7146.jpg
샌프란시코에서 LA쪽으로 내려가면 중간에 멋진 풍광이 막 나옵니다.

IMG-7141.jpg
그런데 낙석 때문인지 길이 막혔어요. 작년에 어느 회원분이 알려주셨는데,,, 그래도 가보자 하고 막힌 곳까지~
누나, 매형이랑 좀 멀리 갈 때는 무조건 누나 렉서스였습니다. 저런 비좁은 차들은 혼자 타는거죠.
그래서 저는 저런 비좁은 차를 사지는 않을 듯 합니다. (세컨으로 갖고 싶습니다.)

미국은 총의 나라입니다. 50년 살면서 총을 못쏴봤습니다. (바이크 사고로 크게 다쳤습니다.)
식당하시는 매형친구분이랑 또 친해졌습니다. 오락실에서 따서 뽀지 챙겨줘서 그럴 수 도 있습니다만, 정말 잘 챙겨주신 형님입니다.
어느날 총을 쏴보자고 하시네요.
IMG-7040.jpg
만원짜리 콜트 공기총 기억나시죠? 그 모델 맞습니다. 아주 클래식한 모델이더군요.
뒷편의 경찰이 주로 쓴다는 글록은 저한테 안맞았습니다. 조기교육이 중합니다. (역시 콜트야~)

IMG-7042.jpg
이런 총도 집에 있습니다. 절대 미국에서 나쁜 짓 하면 안될 것 같더군요.

IMG-7043.jpg
주마다 다른데 캘리포니아는 시건장치해서 옮겨야 합니다.

IMG-7050.jpg
형님 집에서 기본교육(구조, 파지법, 자세, 안전교육 등) 받고 주윤발이다 생각하고 당당하게 한 라인 잡고 쐈습니다.
분명히 권총 쏴본 사람이라고 하네요. 과녁지를 보고서,,,

IMG-7056.jpg
옆에 미국 할아버지께서 연발사격시 어깨가 들리는 자세를 지적해주시면서 자기 총을 쏴보라시네요.
아래 까만 총인데 구경이 작습니다.

IMG-7057.jpg
자세교정 원포인트 레슨에 구경이 작으니 반동도 적겠죠. 결과는 좁아진 탄착군입니다.
자기 총을 빌려주는게 일반적이지는 않을 듯 싶은데, 할아버지 눈도 안좋을 듯 하여 야광 과녁지 답례로 넉넉히 드렸습니다.
사람사는 곳 다 똑같은 면도 있네요. (동양인이라 그런지 30대 자기 아들뻘인 줄 알았다고,,,)


신상노출 안될만한 사진 중에서 보니까...
IMG-6905.jpg
2인카트가 그린 근처까지 갈 수 있습니다. 저렴하고 잔디좋고 티오프간격 널널하고 너무 좋습니다.
입양된 한국 할아버지, 그 아내분 할머니와 다시 만나서 한국 골프용품을 드리니 싸온 도시락 나눠주십니다.
돈벌고 은퇴한 백인 기술자가 10년도 넘은 골프채 쓰면서 제 골프채 관심을 보입니다. 돈 많아도 아끼더군요.
인도에서 온 기술자와 단둘이 라운드하다가 마지막 라운드에서 골프치고 떠나는 백인이 차창문을 열고 욕을 하더군요.
(인도인 피부색이 구별이 되더군요) 제가 차번호 기억(회원제라)해서 문제삼으려니 말립니다. 자주 겪는다면,,,
카스트제도 물어보니 인도 시골은 아직 강하지만 대도시는 그렇지 않다고 하네요. 당하는 것에 맞서지 못하는 것이 그것 때문인지 묻지는 못했습니다.
다양한 업종의 한국인을 만났습니다. 확실히 기반이 좀 있는 상태에서 자리잡은 분들이 상황(이라고 하겠습니다)이 낫더군요.
하지만 기회의 나라인지라 돈으로 한정하면 힘들게 자수성가한 분들도 많았습니다.
대부분 2세 교육과 직장 등 자리잡는데 정말 고민을 많이 기울이고 있더군요.

IMG-7160.jpg
아직 트럼프 집권 전이었던터라,,, 화장실 관련해서 특이하게 구분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PC에 대한 피로감은 어느 정도 느껴지더군요.

IMG-7188.jpg
실커 잘 놀고, 잘 먹고 마시고 놀았으니 현생으로 돌아와야죠.
샌프란시코공항이 작아서인지 1등석 비행기는 없어서 비지니스 살짝 윗등급 티켓 구해서 편하게 귀국했습니다.
테이블별, 구장별, 시간별 등등 블랙잭 게임조건이 달랐는데,
하이리밋 인도 딜러와 1:1 에서 합이 맞았는지 잘 되더군요. 덕분에 팁도 넉넉히 줄 수 있었습니다. (술이 좀 취하니 대략 로우카드 안 빠졌을 때는 신호를 주더군요.)
작년 글에 의견주신 부분 대부분 참고하고 활요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대략 이제 정년 채우고 1등석으로 아내와 함께 뉴욕으로 가서 샌프란시스코에서 돌아오는 여행을 꿈꿔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10/25 16:36
수정 아이콘
여유가 느껴지네요
저도 일생에 미국 한번 가볼까 싶네요
잘봤습니다!
25/10/25 16:38
수정 아이콘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총과 골프, 고기와 햄버거라니 좋은 미국 여행 하셨네요.^^
이코노미에서 살짝 더 길거나 넓은 좌석 (항공사에 따라 프리미엄 이코노미 정도로 불리는) 이 가격대 성능비로는 가장 좋더군요. 당연히 돈되면 비즈니스나 일등석이지만요.
인앤아읏도 맛있고, 중국식당에서 파는 볶음요리도 맛있지만, 역시 한국인들은 가끔 라면에 김치를 먹어줘야...
텔로네스
25/10/25 16:40
수정 아이콘
재밌네요. 잘 봤습니당 미국 한번 가봐야하는데 ㅠㅠ
살려야한다
25/10/25 18:02
수정 아이콘
완전 남자의 여행이군요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5/10/25 19:52
수정 아이콘
자동차 고기 햄부거 총 오락실... 완전 미국 그 자체... 한 수 배워갑니다
어니닷
25/10/25 20:20
수정 아이콘
와~ 도박 좋아하고 먹는것이 인생의 전부인 제 입장에서는 너무 좋은 여행인데요~
퀘이샤
25/10/25 20:31
수정 아이콘
Ca지노에 대해서는 솔직히 적기가 부담스러운 부분이 있습니다. 속인주의이고 이곳 게시판의 엄격한 원리주의?를 따지는 분위기 고려시,,,

2018년인가는 태양의 서커스 곁들여서 라스베가스를 갔는데(정확히는 산호세 공항에서 라스베가스, 라스베가스에서 LA공항으로 와서 A380 일등석 타기 위해서) 이번에는 캘리포니아의 네이티브아메리칸(인디언의 다른 표현이겠네요)이 운영하는 가까운 곳을 갔습니다. 미국에서  인디언 배려하는 차원에서 자치지구에 Ca지노가 허용되나보더군요. 영종도 인스파이어도 그 계열의 자본입니다. 확실한 것은 라스베가스보다 조건은 살짝 나쁘고, 규모는 작을 수 밖에 없더군요. 그래서 네바다 경계지역으로 가봤는데 스키 관광지라 바가지 분위기로 더 조건이 안좋았습니다. 하지만 이겼죠.(운이 따랐습니다) 포인트 쌓는다고 이메일 주소로 카드 만들었는데 메일 호텔방 준다는 메일만 쌓이고 있습니다.(소득대비 미국사람들 손이 작더군요. 중국은 반대로 큰 데,,,) 하지만 블랙잭이라면 지구상에서는 미국입니다. 즐거웠습니다.
+ 25/10/25 22:19
수정 아이콘
그건 안 하셨나요 크크 그것만 있으면 100프로 미국인.듯 저가 위스키라뇨 기본 등급입니다 기본!
퀘이샤
+ 25/10/25 23:51
수정 아이콘
그거 한 이야기만 듣도 주별로 풀린데도 있으나 참았습니다. 사실 데킬라에서 많은 감동을 받았습니다. 유기농 블루아가베, 아네호급, 경우에따라 오크통 숙성까지 하면 비슷한 값의 스카치보다 나은 경우가 많더군요. 히스패닉이 많아서일 수도 있으나, 데킬라라 매력이 충분한 술이더군요.
파프리카
+ 25/10/25 23:25
수정 아이콘
미국에도 파바가 있네요?? 미국땅 한번도 안밟아본 촌놈 입장에서 정말 흥미롭게 잘 읽었습니다. 언젠가 한번은 가보고 싶네요.
퀘이샤
+ 25/10/25 23:54
수정 아이콘
저도 신기방기해서 들어갔습니다.
홍콩반점(전세계 매출 1위 지점이라나,,,)하시는 분과 3쿠션 한국간판 달린 당구장에서 친 기억도 있네요.
한국문화에 대한 프리미엄? 정말 조금은 있는 듯도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7] 오호 20/12/30 315911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70189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76828 4
105287 [정치] 보이지 않는 유권자/정치참여자가 된 그룹들 [1] 유동닉으로151 25/10/25 151 0
105286 [일반] 올해 5급 공채시험 수석/최연소 등 면면들 [19] 흰둥2758 25/10/25 2758 2
105285 [일반] 자동차 '페달 오조작 방지장치' 2029년부터 장착 의무화 [15] 굄성3170 25/10/25 3170 4
105284 [일반] 너무 늦게 쓰는 한달짜리 미국 여행기(스압) [11] 퀘이샤1690 25/10/25 1690 5
105280 [일반] 안녕하세요. 자유게시판 운영위원 마르코입니다. [9] 마르코4118 25/10/25 4118 40
105278 [정치] 김어준이 이번 부동산 정책에서 의외로 조용한 이유? [197] petrus8005 25/10/25 8005 0
105277 [일반] 부고니아(지구를 지켜라 리메이크) 감상평 [6] 흰긴수염돌고래3166 25/10/25 3166 5
105276 [일반] 실생활에 체감될 듯한 '다크패턴' 규제정책 [22] 오컬트5093 25/10/25 5093 15
105275 [정치] [속보] 이상경 국토차관 사의표명 [190] petrus11466 25/10/24 11466 0
105274 [일반] 한국은 인재 보호가 가능하고 해외 주요 인력을 스카웃할 수 있을까? [103] 성야무인6591 25/10/24 6591 9
105273 [일반] 웹소설에서 생각나는 주인공과 인물들. ( 스포성 글들 주의 ) [12] 일월마가3081 25/10/24 3081 4
105272 [일반] 반도체 천조국 달성! [13] 삭제됨3956 25/10/24 3956 0
105271 [일반] 이제는 아예 언급도 안되는 과거의 코스피 황제주이자 우량주 [51] 이게무슨소리5140 25/10/24 5140 0
105270 [일반] 재미있는 현대차그룹과 LG그룹의 시가총액 3위 경쟁.jpg [28] 시나브로2981 25/10/24 2981 0
105269 [정치] 미국 의존도 감소 위해 광폭 외교중인 캐나다 근황 [59] 크레토스6911 25/10/24 6911 0
105268 [정치]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이 모두 반영된 첫 갤럽 조사가 떴습니다. [368] 전기쥐9546 25/10/24 9546 0
105267 [일반] 인본주의와 개고기 [8] likepa1876 25/10/24 1876 14
105266 [정치] 재건축업계의 슈퍼스타(?)가 본격적으로 움직이기 시작했네요. [48] petrus5519 25/10/24 5519 0
105265 [일반] 추진중인 3차상법개정, 자사주소각 그리고 우선주 [37] 퀘이샤8755 25/10/23 8755 2
105264 [정치] 갤럽 조사상 처음으로 주식 투자 선호 비율이 부동산 투자를 앞질렀습니다. [294] 마라떡보끼13271 25/10/23 1327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