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10/21 21:31:18
Name 바람돌돌이
File #1 그림3.png (407.0 KB), Download : 928
File #2 그림4.png (933.1 KB), Download : 929
Subject [정치] 돈을 번 아파트, 돈을 못 번 아파트 분석 (수정됨)




서울 아파트 가격은 추석전에 화제가 되었지만, 이번 정책 영향으로 당분간 잠잠해 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부동산을 이야기 하다보면 제가 체감하는 것과 다른 체감을 가진 분이 많으신 것 같아서 데이터로 이해해보려고
자료를 만들어봤습니다.

부동산 가격이 최고점이었던 21년도에 구매했을 때 부터 비과세 2년을 기준으로 22년도와 23년도에 각각 구매했을 때를
나눠서 자료를 만들어 봤습니다.

분석대상 아파트는 서울 30평대 아파트이고 데이터소스는 서울시 데이터입니다. 아마 전수 데이터일 겁니다.

21년도에 구매한 경우에 평균 수익률은 8.2%인데 이건 상방이 뚫려 있어서, 중간값은 3.0% 입니다.
4년동안 3%라서, 취등록세만큼도 수익이 안났습니다.

22년도에 구매한 경우에 평균 수익률은 12.3%, 중간값은 6.7% 입니다. 취등록세 3% 생각하면, 3년투자해서 3.7-9.3% 벌었습니다.
전체의 1/3은 물론 수익률이 30% 이상 인데, 절반정도는 마이너스 수익률입니다.

가격이 확 빠졌던 23년도에 구입한 경우에는 평균 29.6%의 아주 높은 수익을 봤습니다. 중간값도25.9%이고, 마이너스 수익인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수익 금액 기준으로 보면, 아파트 팔아서 5억이상 버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확률적으로 보면 매수자의 20%도 안되는 것 같습니다.

구입연도별 수익금액을 겹쳐서 보면 재밌는데, 결국 아파트는 가격이 급락한 후에 사는게 수익률을 더 높게 만듭니다.
그리고 투자 구입액별로 재미있는 결과가 보이는데, 살때 비싼게 나중에 수익률이 더 높습니다.
그리고 제가 사는 가격대의 아파트인 10억 이하의 아파트는 수익률이 낮습니다. 결국 부동산으로 큰 돈 벌려면, 비싼 아파트를 아파트 가격이 하락 한 후에 사는게 유리합니다.

혹은 마지막 그래프에서 보듯이, 아주 싼 아파트를 사는 것도 수익률이 높습니다. U 패턴이죠. 다시 생각해보면 아마 분양가 같아 보이는데 원 자료를 봐야겠네요.

그리고 되게 중요한 건데, 영끌 하면 수익률이 안좋습니다. 어차피 비싼 거 사는 사람들이 돈버는 시장이라서, 굳이 따라가봐야 리턴이 안좋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lightstone
25/10/21 21:42
수정 아이콘
21년 패닉바잉해서 피본 사람도 많죠...
바람돌돌이
25/10/21 21:45
수정 아이콘
좋은 가격에 사는게 제일 중요하다는 걸 데이터로 보이는 것 같습니다. 비싸진 걸 비싼 가격에 사면, 좋을게 없죠.
마라떡보끼
25/10/21 21:54
수정 아이콘
제가 사는 지역은 22년 고점을 회복 못하고 아직도 빌빌 거리고 있네요 그래도 수도권이랑 붙어있는 지역이고 지방도시 치고 꽤나 큰 도시인데 대장 아파트라고 불리는곳도 현시세가 고점대비 15프로 정도 낮아요
그래서 그런가 요즘 서울 집값으로 떠들석한데 저같은 지방민은 별로 체감이 안되더라고요
바람돌돌이
25/10/21 21:58
수정 아이콘
서울 내에서도 마지막 그래프처럼 U자형입니다. 실제로 돈을 벌었다는 건 구입 당시에 10억 이상 아파트 들로 보입니다. 아니면 23년도에 산 사람들은 높은 수익률을 경험하고 있겠죠. 그리고 큰 돈을 번 사람들은 전체 구입자들의 20% 정도이고, 이 사람들이 산 매물은 비싼 고가 아파트들입니다. 제가 어차피 살 수 없는 자산이라서 가격이 오르거나 내리거나 별 상관없죠.
VictoryFood
25/10/21 21:59
수정 아이콘
??? : 훌륭한 아파트를 더 훌륭한 가격에 사면 그게 가치투자입니까?
바람돌돌이
25/10/21 22:01
수정 아이콘
좀 더 단순화 시키면 서울에서 가격 순으로 순서를 매긴다음에 상위 30% 이내에 속한 것을 사는데, 사는 가격이 전년도 보다 떨어졌을 때 사면 됩니다. 경제위기는 주기적으로 오고, 서울 아파트 가격도 5-10년에 한번씩 조정을 줍니다.
아이군
25/10/21 22:37
수정 아이콘
엄밀히 말해서 전국 집값은 아직도 보합권이죠.(상승전환을 시작한)
더 세게 말하면 수도권 빼면 아직도 하락 중이라는 거...
https://www.imaeil.com/page/view/2025101615314648170

그러니깐 엄밀히 말하면 부동산 상승이 문제가 아니고, 수도권 집중이 문제인 겁니다.

이걸 또 다르게 표현하면 이렇습니다. 부동산으로 돈 버는 시대는 끝났다. 지방은 아예 말이 안되는 이야기고, 경기도도 레버러지 생각하면 목숨 건 돈벌이 입니다. 그래도 주식 적립보다 벌이가 나쁘구요

오직 서울 집값 만 오르는 겁니다. 서울 집은 돈을 벌기위해 사는 물건이 아니고 돈을 벌어서 사는 물건인거죠.
25/10/21 22:46
수정 아이콘
그걸 수도권 '집중화'라고 부르기도 뭐해요.
정확하게 말하면 '집중된 수도권' 이죠.

전국민의 절반 이상이 서울경기인천에 사는데,
수도권만 빼고 이야기한다는 전제가 성립이 안 됩니다.
슬래쉬
25/10/21 22:41
수정 아이콘
19년도에 산 나 자신 칭찬해...
근데 현재 가격에서 샀을때 들어간 비용, 세금 등등 빼면 남들이 보는 만큼은 아니라는 ㅠ
25/10/21 23:04
수정 아이콘
저도 비슷한데 사실 집이니까 깔고 앉는거긴하죠.
이전에 비트코인 사서 버텼으면야 더 벌었겠지만 버틸 수 없었을겁니다.
슬래쉬
25/10/21 23:06
수정 아이콘
부동산의 가장 큰 장점은 사팔사팔 힘들어서 장투가 된다는 점 같아요 흐흐흐
바람돌돌이
25/10/22 05:57
수정 아이콘
열광할만한 투자는 아닙니다. 너무 묶인돈이 크고 연도별 변동성도 큽니다. 돈을 벌때 사고파는 시기가 중요합니다.
카레맛똥
25/10/21 23:1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생활권이 서울/수도권이라면 부동산은 사실 이제 수익률 경쟁이 아니라 그냥 1주택을 가지는게 뉴트럴이라고 생각해요.
2주택 이상부터가 부동산에 롱을 친거고 무주택 분들은...서울/수도권 부동산에 숏치고 인디언 기우제 하는거죠 뭐..
지금 당장 무리해서 등기칠 필요는 없지만 시장 사이클에 맞게 등기는 꼭 치는게 맞는 트렌드인거 같습니다.
일각여삼추
25/10/21 23:30
수정 아이콘
역시 정상적인 수준인데 거래를 막는 규제만능주의였군요. 거래는 시장에서 알아서 할테니 정부는 할 줄도 모르는 규제 얼음땡 그만하고 지원금인지 국민용돈인지 그거나 뿌리는 게 낫겠습니다.
바람돌돌이
+ 25/10/22 07:58
수정 아이콘
저는 여러번 별로 안올랐고 돈 번사람 별로없다는데 계속 부동산 상승론을 외치는 분들이 있잖아요? 부동산은 심리라서 높은 수익을 본 사람들이 주도하는 여론이 퍼지면 주택가격이 오르죠. 고가 주택위주로 오르는건데 그걸 조장할 필요는 없잖아요?
+ 25/10/22 08:09
수정 아이콘
그런데 일부 언론과 넷상에선 부동산 폭등한다고 난리죠. 폭등 때문에 정권 바뀔거라고도 하고. 서울 부동산이 하락해야 성공한 정책이라고도 합니다. 이 유동성장에 물가 오르는데 서울 부동산만 하락시키는데 성공한 정책이라면 큰일 난거 아닐까 합니다. 적당히 우상향하는거 용인하고 과열때 찬물 조금씩만 부어주면 되는거라 봅니다. 백약이 무효이면 너무 무리하지 말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5257 [정치] 조희대의 대법원, 12월 3일 계엄 따른 조치 논의됐나? [121] 빼사스4781 25/10/21 4781 0
105256 [정치] 김건희 이배용과 함께 경회루에서? [15] 삭제됨3329 25/10/21 3329 0
105255 [정치] 돈을 번 아파트, 돈을 못 번 아파트 분석 [16] 바람돌돌이3663 25/10/21 3663 0
105254 [일반] 뉴미디어 시대, 중세랜드의 현대인 [11] meson3626 25/10/21 3626 0
105253 [일반] "트럼프, 젤렌스키에 지도 던지며 압박에 욕설까지" [81] 철판닭갈비10770 25/10/21 10770 10
105252 [정치] “한두 잔 마신” 지귀연 술자리 170만원…대법 감사관 “징계사유 안 돼” [126] 빼사스10914 25/10/21 10914 0
105251 [정치] 이 대통령 '냉부해' 논란 보도, 명태균·김건희 공천 개입 보도보다 2배 많았다 [29] lightstone5557 25/10/21 5557 0
105250 [정치] 부읽남 국토부차관에게 듣는 부동산 썰 [244] 문재인대통령11301 25/10/21 11301 0
105249 [정치] 검찰청 ‘연어 술파티’ 의혹 당일, 김성태 ‘페트병에 술 준비’ 지시 녹취 확인 [108] 베라히9777 25/10/20 9777 0
105248 [일반] 놓치고 뒤늦게 후회하며 쓰는 SMR주 이야기(겉핥기) [28] 깃털달린뱀4376 25/10/20 4376 4
105247 [일반] 나를 스쳐지나간 불꽃 [2] 내꿈은세계정복2692 25/10/20 2692 25
105246 [일반] (주식 관련 글이 올라오길래) 20년 시장생존자의 의견 [21] 퀘이샤4728 25/10/20 4728 11
105245 [일반] 이 시국에 집 팔고 주식에 몰빵한 썰 [154] 휘군11776 25/10/20 11776 22
105244 [일반] <어쩔수가없다> - 기묘한 합리화. (강스포) [10] aDayInTheLife3936 25/10/19 3936 2
105243 [정치] 정부가 보유세 손대려나 봅니다 [470] 비브라늄20962 25/10/19 20962 0
105242 [정치] 국민의힘 당대표 장동혁 윤석열 구치소 면회 [118] 마라떡보끼12302 25/10/19 12302 0
105241 [정치] 정경심 교수가 최성해 동양대 총장을 고소했군요. [59] petrus10767 25/10/19 10767 0
105240 [정치] 한국과 미국 보수 진영의 정치적 동조화 [14] 유동닉으로6097 25/10/19 6097 0
105239 [정치] 석열의 봄이 성공했으면 어떻게 됐을까? [324] 스내치마스터13626 25/10/18 13626 0
105238 [정치] 중국 군 고위직 9명 숙청 [17] 如一8293 25/10/18 8293 0
105237 [일반] 로봇청소기 먼지통이 장착안되어 있다는 에러 메시지가 뜰때. [3] 헝그르르6619 25/10/18 6619 8
105236 [일반] 넷플릭스 공개작 '굿뉴스', 매력적인 기승전결 [15] 빼사스10264 25/10/17 10264 0
105235 [일반] <그저 사고였을 뿐> - '그저'의 올가미 속에서. (노스포) [6] aDayInTheLife5322 25/10/17 5322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