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10/16 03:46
중국과 반목하는듯 하지만 실제로 제조업 부활이나 이익을 그동안 키워놨던 동맹국에서 충당하려는게 목적일겁니다. 그동안 미국이 세계적 책임을 짊어질때 뒤에서 안보우산에 이득을 얻었던 대표적인 한,일이 이제 정산은 해야한다는 심보인거죠.
이 기조가 갑작스레 우호적으로 바뀌지는 않을테고 실제 정산능력이 있는 한,일같은 나라를 계속 두드리는게, 대립각 세울능력이나 카드가 있는 중국으로부터 얻을수 있는 것보다는 현실적이라서요. 기업,기술 이전이나 투자(aka 삥)를 통해 미국의 제조업 기반 경제블럭을 복구하기만 해도 트럼프는 성공입니다. 지지자들의 방향도 이에 부합하고(동맹에 갈취당한다는..) 내부 저항을 단도리하는대도 중국과의 대립보다는 동맹으로부터 잘 뽑아오는게 더 설득력이 있겠죠. 뺏으려는자 안뺏기려는자.. 쉽게 해법이 가늠되지 않습니다. Apec때 양정상간 화해무드는 역으로 동맹털어먹기 좋은 상황이 될거라서요.
25/10/16 05:27
됐다는줄 알고 깜짝 놀라서 들어온 1인...크크
미 재무장관이 마무리단계라고 할 정도면 조만간 결과가 나오겠군요 아무쪼록 적당한 중간지점을 찾았길...
25/10/16 05:38
https://youtu.be/tMOmqjWzGLM?si=fMc1MlyYxao4Q2IZ
김용범 정책실장이 삼프로 나와서 영상 찍었던데 저의 비관적이었던 전망과 다르게 그래도 일본보다는 나은 조건으로 합의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설마 합의가 임박했는데 희망회로로 블러핑을 하진 않을 것 같으니까요.
+ 25/10/16 07:20
(수정됨) 이미 전례가 있어서 일본보다 나을지는 의문인데 (경제규모가 다른데 일본보다 낫다는 기준이 뭔지도 애매) 그래도 처음에 터무니없는 조건보다는 개선될거 같습니다.
+ 25/10/16 07:14
외교결과는 당장은 좋아/안좋아 보이더라도 텀을 두고 판단하는게 맞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당장은 안좋은 결과처럼 보여도 알고보니 핵심을 피해갔다거나 하는 식으로 덜 뜯기는 방향으로 갔으면 좋겠네요
+ 25/10/16 07:19
https://imnews.imbc.com/news/2025/world/article/6765580_36726.html
트럼프 "한국 '3천500억 달러 선불' 합의" 또 거론 500조 타령
+ 25/10/16 07:39
처음엔 잘했나? 하다가 구라핑인가? 하다가... 결과는 좀 지켜봐야 되겠지요. 세계정치는 고도로 전문화된 영역이라 생각해서 제가 뭐 어쩌고 떠들 수준은 아닌거 같고. 그냥 한국 국민으로서 잘 되면 좋겠다 하는 중입니다.
+ 25/10/16 08:43
2019.11.19 문재인 曰
“부동산 문제는 우리 정부에서는 자신 있다고 장담하고 싶다.” “우리 정부 들어 부동산 가격은 안정돼 있고, 일부 지역은 오히려 내렸다” ...이 생각나더라고요 암튼 뭐 최종 합의가 나온건 아니니 기다려볼 여지가 있습니다. 트럼프가 워낙 아웃라이어니까, 협상때는 정말 합의문 작성 운운할 정도로 좋았는데 그 뒤 뒤통수쳤을 수도 있는 거고요 부디 좋은 결과로 돌아오길 빕니다
+ 25/10/16 08:25
우선 이언주와 조지아 주지사의 행보는 개인적인 정치적인 행보일뿐 별다른 의미는 없습니다.
특히 조지아 주지사의 경우 공화당 소속이라. 연방정부 눈치보고 방관하다가 이 사태가 났고. 꽤나 타격을 받았지만. 본인이 문제를 실효적으로 해결 할 별다른 영향력은 없습니다. 한국 방문은 그냥 쇼에 가깝죠. 미국은 애초에 자생적인 제조업이 불가능한 나라입니다. 물론 글로벌 기준이죠. 동맹국 삥뜯어서 제조업 생태계를 복원하고. 관세로 보호한다면. 세계 제 1위의 소비력을 바탕으로 한동안 유지는 할 수 있겠지만. 지속적인 경쟁력 유지가 되는가는 또 다른 문제이긴하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