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5/10/26 20:07:23
Name insane
Subject [스타1] 짭제 박상현, ASL 사상 첫 준프로 출신 우승






짭제 박상현이 결승에서 장윤철 상대로 4-2로 첫 우승을 이뤄냅니다

길쭉이는 이번에는 우승하나 했는데 이번에도 준우승에 그쳤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고민시
25/10/26 20:09
수정 아이콘
컨트롤 살아있더라구요 축하합니다
25/10/26 20:10
수정 아이콘
결국 주인님은 못 이기네요.
jjohny=쿠마
25/10/26 20:10
수정 아이콘
장윤철 선수 ㅠ
날개를주세요
25/10/26 20:18
수정 아이콘
현교수님!!
전기쥐
25/10/26 20:34
수정 아이콘
축하합니다 저그의 희망
Equalright
25/10/26 20:34
수정 아이콘
현교수님의 스타강의 대성공
Jarrett Allen
25/10/26 20:3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캐스터가 중계하다가 갑자기 자기가 우승자라고 하는 만행을...
+ 25/10/27 10:36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크크
우승자는~ 접니다~~~~
공부맨
+ 25/10/27 12:21
수정 아이콘
박상현의 우승에 누구보다 좋아하는 박상현
25/10/26 20:38
수정 아이콘
장윤철은 또..
25/10/26 20:54
수정 아이콘
홍구한테 더 큰소리칠 수 있겠네요
25/10/26 21:00
수정 아이콘
짭제의 가장큰장점이 최적화와 상황판단인데 이게 저그의 모든것이라 토스로 다전제 이기기가 진짜쉽지않음
이 시리즈의 백미는 4세트라고 봅니다 초반땡저글링으로 쇼부보면서도 후속운영까지 가능하게한 최적화
데몬헌터
25/10/26 21:12
수정 아이콘
준프로 이야기 나오기는 스1판이 고인물화 된것만 10년 이상이 넘어가죠 흐흐 축하합니다!
마스터플랜
25/10/26 21:32
수정 아이콘
현교수 맨날 홍구한테 공방에서 뮤컨 강의해주고 그랬는데
그럴만한 실력이었네;;;
조자스미스
25/10/26 22:49
수정 아이콘
1세트에 드랍막고 드라군부대로 바로 공격갔으면 이겼을거라서 아쉽네요
25/10/26 23:41
수정 아이콘
박상현 선수는 왜 짭제라고 불리나요?
ekejrhw34
25/10/27 00:07
수정 아이콘
이제동선수를 존경해서 그렇답니다
제주조랑말
25/10/27 00:45
수정 아이콘
예전 아이디가 제동입니다.
임요환 존경해서 BoxeR 쓰던 해병왕 이정훈과 비슷한 케이스..

이정훈은 Fake 붙여서 폭서라고 불렸던 기억이 나네요.
김퐁퐁
+ 25/10/27 09:04
수정 아이콘
리마스터 전 피쉬서버때 jaedong 이라는 아이디로 활약했고 임홍규 방송에서 입담을 잘 쳐 매우 유명했습니다.
그때는 임홍규 부종 테란이랑 반반 정도 나오는 실력의 저그에, pcs 박철순씨랑 더불어 김택용 연습 도우미로 유명했던걸로 기억하는
의대 목표로 하던 n수생이었는데 (현역 전남대->n수 서강대까지는 갔다고 본인이 말한 것으로 기억합니다.)
이렇게까지 스타크래프트로 성공할 줄은 몰랐네요. 대단합니다.
이게무슨소리
+ 25/10/27 07:15
수정 아이콘
아이고 윤철아
팔라디노
+ 25/10/27 08:00
수정 아이콘
토스팬입장에선 4세트가 참… 아쉽고 그러네요 에혀
Liberalist
+ 25/10/27 08:12
수정 아이콘
장윤철 약점이 최적화인데, 박상현이 최적화 기계다보니까 이게 너무 극명하게 차이나더라고요. 빌드에서 먹고 들어가든, 아니면 구도를 잘 만들어놨든 상관없이 펌핑이 안 되도 너무 안 되니... 1세트 넘어가는 순간 다전제 승리가 이미 힘들어졌기는 합니다만, 그래도 풀꽉 갈 수 있었는데 못 간건 솔직히 좀 아쉬웠습니다.
+ 25/10/27 08:16
수정 아이콘
박상현 선수 축하합니다.

ASL 20회 동안 저그 9번, 테란 8번 그리고 플토 3번 우승.
역시 토스가 저그를 극복하긴 어렵네요. 그래도 뭐 어쩌겠습니까, 그게 낭만(?)인 종족 아니겠습니까
1등급 저지방 우유
+ 25/10/27 08:32
수정 아이콘
둘 중 누가 우승해도 나름의 스토리가 쓰이는 상황이었는데,
길쭉이는 또 우승문턱에서 좌절을 하는군요
매 시즌 강력한 토스라고 칭해지지만..
Winter_SkaDi
+ 25/10/27 09:43
수정 아이콘
이승원 해설인가요? 목소리가 좀 바뀌셨네
toujours..
+ 25/10/27 13:17
수정 아이콘
진짜 토스전 하나는 지옥의 이지선다 스타일로 잘잡네요... 대단합니다
+ 25/10/27 13:50
수정 아이콘
장윤철 너무 아쉽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댓글잠금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429953 0
공지 게임게시판 운영위원회 신설 및 게임게시판 임시규정 공지(16.6.16) [3] 노틸러스 15/08/31 494520 4
공지 공지사항 - 게시판 글쓰기를 위한 안내 [29] 항즐이 03/10/05 666957 13
81804 [스타1] 짭제 박상현, ASL 사상 첫 준프로 출신 우승 [27] insane5225 25/10/26 5225 7
81772 [스타1] ASL 시즌 20 4강 결과 및 결승전 대진.JPG [25] insane13016 25/10/14 13016 4
81648 [스타1] ASL A,B조 결과 [19] Rated10615 25/09/09 10615 5
81600 [스타1] 대한민국 통신 140주년 기념 문화축제 K FESTA e-Sports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7] insane6549 25/09/02 6549 1
81556 [스타1] GOOGLE PLAY ASL 20 A,B조 경기결과 [8] Rated9899 25/08/20 9899 2
81522 [스타1] 간만에 주종 테란대신 프로토스로 래더 40판을 돌려본 후기입니다 [5] 독서상품권5398 25/08/10 5398 1
81506 [스타1] ASL 20 24강 조편성.jpg [23] insane7676 25/08/06 7676 0
81241 [스타1] 김민철 전무후무한 ASL 4연속 우승 [55] 전기쥐10560 25/05/25 10560 7
81138 [스타1] ASL 시즌 19 8강 대진표.JPG [16] insane10795 25/04/22 10795 0
81129 [스타1] 스타3(SC3 Evolution) 출시 및 대회 참가자 모집 [3] HLSJ9863 25/04/20 9863 7
81085 [스타1] [스타1vs스타2] 4/12(토) 오후 7시 팀배틀 중계 HLSJ13223 25/04/08 13223 0
81082 [스타1] ASL 시즌19 16강 조지명식이 완료되었네요. [15] JILLSTUART7546 25/04/07 7546 2
81030 [스타1] [이스포츠 연구] 이스포츠 노스탤지어가 관여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6] 두리득10484 25/03/22 10484 0
81024 [스타1] 낭만 넘치던 25년 전 승부 [12] Poe8996 25/03/20 8996 45
80995 [스타1] ASL 시즌 19 24강 조편성.jpg [32] insane13304 25/03/12 13304 4
80858 [스타1] 종족최강전 오후 9시부터 결승 진행합니다! (쇼츠+영상 업데이트) [2] HLSJ19997 25/01/26 19997 2
80804 [스타1][데이터] 망할 생성형 인공지능의 한계와 Lights Out 퍼즐의 풀이에 대하여 [8] TempestKim14049 25/01/04 14049 11
80778 [스타1] 캠페인 노데스 런(!)에 대하여 [23] Keepmining17405 24/12/21 17405 1
80774 [스타1] 스타크래프트 1 공식전 후기 시절 경기들을 다시보고 느낀 소감 [34] 독서상품권14760 24/12/20 14760 4
80765 [스타1] 스타크래프트 K-Evo 대회 참여하실 스타1 클랜 모집합니다!(참가 클랜 100% 상금 지급) [1] HLSJ14917 24/12/16 14917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