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6/01 15:40
클라이언트를 전부 메모리에 올려놓고 하면 게임 속도가 빨라지겠죠
(할때마다 하드에서 불러와 읽는다면 로딩시간이 후덜덜) 중간 타협지점으로 디아의 경우 막이 바뀔때마다, 던전이 바뀔때마다 하드에서 그 부분만 바로바로 불러오는 식이겠지요 8기가는 모자람이 없겠지만 멀티태스킹(동영상 편집, 초고화질 사진편집, 게임등을 동시에 하는 뻘짓...;;)을 위해서면 8기가도 사람따라 모자랄 수가 있겠죠 8기가와 16기가의 성능차이를 느끼시려면 1기가가 조금 넘는 야동을;;;; 10개를 동시에 프리미어와 같은 프로그램에서 편집을 하면 느끼시려나
12/06/01 15:40
게임 하나가 16기가를 다 쓰기는 힘들겠지요... 하지만, 2기가를 쓰는 게임 8개가 동시에 돌아간다면???
사실, 서버나, 데이터베이스나, 고성능의 그래픽 프로그램등은 16기가도 다 쓸 수 있습니다. 작업부하에 거의 비례해서 메모리를 쓰거든요. 간단히 얘기해서, 포토샵 64비트용으로, 10만픽셀 * 10만픽셀짜리 그래픽 작업을 하면 거의 다 쓰지 않을까.. 싶기도 하네요. 흐흐..
12/06/01 15:45
용어적으로는 주 기억장치가 말씀하신 메모리(RAM)이고, 보조기억장치가 하드디스크입니다.
메모리(주 기억장치)는 CPU와 보조 기억장치간의 속도차와 휘발성(전원 차단시 데이터 유실, ROM일경우는 제외)을 극복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거라고 보셔야 되구요 실제 클라이언트가 10기가여도, 메모리상에서 돌아가는 데이터의 양은 상회(1GB부분을 끌어와서 5GB정도 사용한다거나?)할 수도 있습니다. 클라이언트는 최대한 크기를 줄였기 때문에 실행시에는 더 많은 메모리를 가져다 쓰는 경우도 존재하니까요 일단 크면 좋습니다. 최근 분위기상으로는 4GB면 인터넷 하시는데 쾌적하실거고, 8GB이상이면 게임에서도 성능차가 느껴지실겁니다. 16GB는 글쎄요... 아직 거기까지 써본적이 없는데 일단 상대적으로 멀티태스킹에서의 하드디스크 스왑은 줄어드니 낫지 않을까 예상됩니다. 메모리가 많이 높아질수록 성능차를 느끼고 싶으시면 역시 전문작업이죠 캐드 도면 100MB급을 여신다거나.....?!
12/06/01 15:59
멀티태스킹이 아니라면 필요가 없어요. 보통 4기가에서 시스템기타등등이 차지하는게 500메가인데 16기가라면 디아 10개를 돌릴수도 있겠네요
12/06/01 16:56
제가 알기로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에서 실제 메모리를 최대 사용량은 정해져 있습니다.
메인 메모리를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무한정 사용 하는 것은 OS에서 막아 버리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대부분은 가상 메모리(보조 기억장치)에 올려두고 필요할때 메인 메모리로 올려서 사용하는 걸로 아는데요. 그렇다고 메인 메모리 용량을 늘려도 속도에는 아무 변화가 없는건 아니고, 메인 메모리 총 용량이 4GB일때 하나의 프로세서가 독자적으로 쓸 수 있는 최대 공간이 500MB라고 가정하면 메인 메모리 총 용량이 8GB 일 때는 700MB? 정도로 늘어 나는거죠. 정확하진 않은데 이런 메카니즘 때문에 메인 메모리 용량이 늘어나면 속도가 빨라 지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CPU와 주 기억장치 간의 속도차를 극복하기 위해서 만든건 캐쉬 메모리 입니다. 아직까지는 일반 유저가 8GB와 16GB의 차이를 체감적으로 느끼기에는 힘들지 않을까 생각 합니다. 윗분들이 말씀해 주시는 것 처럼 전문적인 작업(시뮬레이션, 그래픽 작업 등)을 하시면 확실히 다르다는 걸 느끼실 겁니다.
12/06/01 20:30
뭐 다른분들이 많이 말씀해주셨으니 스킵하고...
RAM과 ROM과 디스플레이는 클수록 좋다라는 명언이 있죠. 괜히 나온 말이 아닙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