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5/02 07:08
저도 그 전화 받은 적 있어요. 무슨 자사 직원들만 대상으로 하는 예금인데 고객님 실적이 좋아서 어쩌구 하면서.. 전 안했습니다. 그렇게 좋은 걸 일부러 전화로 알려줘가면서 가입하라고 권한다는 게 수상해서요. 그리고 현재 제1금융권 예금 금리 중에 가장 높은 게 국민은행인가 sc제일은행인가에서 판매하는 4.2%짜리로 알고 있어요. 더 내렸는진 모르겠지만서도 대충 그정도로... 하여튼 그쪽으로 알아보시는 게 더 나을 거 같군요.
12/05/02 08:17
장기주택마련저축 제일 높은게 5% 후반 대입니다.
20대면 예금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채권과 주식에 관심을 돌리는걸 추천합니다. 평균수익률이란 관점에선 예금과 비교되지가 않지요. 리스크는 나이가 젊으니 장기투자로 생각하면 완화되구요.
12/05/02 09:09
본문에 질문이 여러가지가 있네요 ^^;
3억~5억 정도만 예치하면 바로 그날부로 해당 은행의 VIP 등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은행과 오래 거래하는 것은 별로 의미가 없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만한 현금을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거래 기간에 따른 혜택은 없다고 보셔도 무방할 정도 입니다.) 다만, 월급 통장으로 사용하시는 등 주거래 은행으로 사용하셔서 등급이 올라가시면 금리에 있어서 혜택이 있기는 합니다. 은행에서 CMA 계좌를 개설하는 것이 가능한지 확인하지 못하였습니다만, 아마도 CMA 계좌와 같다고 창구직원이 설명한 MMF나 MMDA 등의 계좌를 개설하신 것이 아닌가 싶으며 3.5%의 금리도 과거의 금리일 뿐 현재는 더 낮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우리은행에서 4.9% 상품은 확인되지 않습니다. 대학생이고 1000만원 미만의 소액을 보유하는 점을 감안해서 FC로서 유추하기로는 2가지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1. 가입 상품이 예금인데, 적금 금리로 환산한 경우 (예금과 적금의 차이에 관해서 웹사이트에 올려놓은 내용을 링크합니다. http://fc.donit2.com/fc_recomend/967490) or 2. 세금 우대로 가입하였을 경우 금리가 4.9%에 해당된다는 내용이 아닐까 조심스레 생각해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