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2/04/19 13:41:43
Name 이헌민
Subject [lol]다들 타릭이 구리다고 생각하시나요?
어제 경기관련 글이나 반응들을 보면서

조금 이해가 안되던게

타릭픽이 이해가 안된다,타릭 쓰레기인데 왜 쓰느냐는 반응들이었습니다.

한타기여도도 상황에따라 타릭이 좋을 수 있지 않나요?

LOL내에서 몇없는 타겟팅스턴,방어오라,공격력오라,상대방 방어를 깎을수도 있죠.

오라라는게 눈에 잘 안보이고 체감효과도 적지만 이지스만봐도 팀에 엄청난 도움이 됩니다.

어제경기야 매라선수가 워낙 잘했으니...그렇다쳐도

해외팀중 AAA만 봐도 서포터 타릭을 주력으로 사용하고 있기도 하고

알리스타보다 더 자주 보이는것 같은데...

정말 타릭이 픽선택부터가 욕먹어야할 캐릭터일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4/19 13:45
수정 아이콘
서폿 주케가 타릭인데

개인적으로 좋은 서포터라고 생각합니다.
종결자
12/04/19 13:47
수정 아이콘
조합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상대가 ad위주의 조합에 우리편이 장판류 공격을 많이 가진 조합이라면 타릭이 좋은 역활을 할 수 있을거라 봅니다.
12/04/19 13:47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타릭하기보다는 레오나가 더 좋아보이고 픽도 많이하네요. [m]
Siriuslee
12/04/19 13:47
수정 아이콘
타릭이 나쁘다는게 아니라..
3경기 블라인드픽, 상대 픽중에 메라신의 알리가 99% 예견되는 상황에서, 타릭픽이었기 때문이지 않을까요?
12/04/19 13:47
수정 아이콘
타릭이 구린게 아니라 알리가 훨씬 좋져.
이헌민
12/04/19 13:50
수정 아이콘
해외에서는 알리보다 타릭이 더 픽률이 높은걸로 아는데 이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그사람들은 바보라서 더좋은 알리스타 놔두고 타릭 쓰는걸까요...
매라 주캐가 알리라 알리스타 캐릭이 약간 과대포장된 느낌이 있습니다.
잘하면 서포터중에 눈에 띄기도 하구요.
띄워버리고 밀어버리니...
사실 한타때 WQ하고나면 10초는 할게 없습니다.
우유친구제티
12/04/19 13:48
수정 아이콘
스킬셋 구성상 눈에 띄는 플레이하는데는 별로 유리한 점이 없다보니 더 욕먹는 감이 있는 것 같습니다.
WhistleSky
12/04/19 13:50
수정 아이콘
드래프트 픽이라 상대 봇조합을 대충 보거나 예상할 수 있어서 트리나 미포같이 초반 라인전이 강한 챔프와 함께 타릭을 선택한다면 초중반 봇을 휘어 잡을 수 있었을겁니다. 하지만 어제 3경기는 블라인드픽이였기 때문에 타릭처럼 후반가면 존재감이 떨어지는 챔프보다는 알리,잔나,소나,소라카 같이 후반 한타때에도 나름의 존재감을 가질수 있는 챔프를 선택하는게 더 낫지 않았나 생각하는거죠. 가뜩이나 상대가 1,2경기때도 우르갓등을 선택하면서 전체적으로 탱키하게 갔는데...
데미캣
12/04/19 13:52
수정 아이콘
사실 타릭과 우르곳 조합은 상당히 강력한 편이라고 생각합니다.
원거리 스턴 맞추고, 우르곳이 딜 꽝꽝 꽂아 넣으면 봇라인은 헬이 될 수 밖에 없죠.
그러나 이 조합이 힘을 발휘하려면 순수 봇 듀오전에서 킬을 따내거나 엄청난 디나잉을 해야 하는데, 로코도코가 혼자서 봇라인에 상당한 시간 동안 서있었음에도 불구하고 cs차이가 그렇게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고, 솔로킬 또한 당하지 않았습니다.

초반에 유리한 고지를 점하지 않으면 타릭의 스킬 특성상, 봇라인에서의 교전이 끝나고 드래곤 한타 -> 바론 한타 시점이 되면 잉여가 될 수 밖에 없습니다. 아무래도 알리의 광역 에어본과 단일 스턴과는 차이가 많이 나죠.
3시26분
12/04/19 13:54
수정 아이콘
타릭이 구린게 아니라 알리가 훨씬 좋져. (2)
피너츠
12/04/19 13:58
수정 아이콘
예전에도 별 버프없는 상황에서 서포터 대세가 잔나->소나로 이동한전적이 있었습니다
사람들이(특히 한국에서) 소나 그거 가슴이 시켜서 하는거지 구려서 왜함 이랬었는데
막상 대회시작하니까 사람들죄다 소나만 픽하고 승률도 소나가 압도적... 결국 패치로 소나는 너프...
트렌드는 항상변합니다
정글킹 신짜오는 갑자기 사장되고 트리스티나가 갑자기 op소리듣고
이런걸 너무많이 봤습니다
롤은 대세영웅이 있는거지 구린영웅이 있는게 아닙니다
티모 화이팅!!
프링글스
12/04/19 14:02
수정 아이콘
어제경기의 타릭,우르곳 조합은 저도 상당히 세다고 생각했는데,
아무래도 상대도 우르곳인 만큼 완벽하게 킬을 따내거나 디나이를 시키진 못했던게 좀 아쉽더라구요.

그리고 사실 타릭은 한타때 그닥 돋보이는 영웅은 아니라서 상대적으로 욕을 먹는게 아닌가 싶네요.
알리스타(게다가 매라신의)는 wq로 공격적으로, 또는 수비적으로 두루두루 화려한 플레이를 할 수있는 반면
타릭은 스턴과 약간의 힐이 전부니까요. 타릭이 가진 오라와 궁,w의 데미지도 쏠쏠한데 어제 경기에서는 돋보이기 힘들었었죠.
매라신이 타릭을 픽 해서 로밍+스턴으로 한명씩 끊거나 대치상황때 아군을 적절하게 살리는 상황을 몇번만 연출해 내면
타릭 op설도 나돌겁니다;; 타릭도 절대 나쁜 서포터는 아니라고 생각해요. 단지 원딜과의 조합 영향을 좀 받는듯?

음..근데 2000점도 넘으시는 헌민님이 이런 질문글을 올리시다니;;
르샤마지끄
12/04/19 14:03
수정 아이콘
궁금해서 그러는데 해외대회에서는 타릭이 정말 자주 쓰이나요? 요새 좀 바빠서 챙겨보질못해서 질문남겨봅니다 [m]
김동률
12/04/19 14:03
수정 아이콘
네 다음 게이..






는 농담이구요.(혹시가 기분상하셨으면 사과드립니다.)

제 경험으로는 타릭픽을 하는 사람이 타릭을 소라카처럼 플래이 하시는분때문에 답답할때가 많더라구요.

타릭은 확정스턴과 셰터를 바탕으로 우리편 듀오가 상대 듀오보다 강한 타이밍에 공격적으로 나가야 하는데 서포터만 파시는분이 아니실때는 그냥 뒤에서 힐만 주시더라구요. 그렇게 되니 딜교환이 안되고.. 바텀이 무너지고.. 게임이 지고..

개인적으로는 바텀 듀오의 확실한 데미지계산만 가능하다면 오히려 알리스타나 레오나만큼이나 공격적인 서포터라고 생각합니다. 게다가 방어력 증가 보너스는 상대 ad가 많을때 정말 많은 역할을 해주죠.
루시드폴
12/04/19 14:04
수정 아이콘
우르곳 Cs차이 많이 났습니다
퍼블먹은 우르곳인데도 50 대 20까지 차이났구요
그결과 이른 봇파괴로 이어졌습니다 타릭의 한타기여도도 낮지않은게
골드차 감안하면 상당히 잘싸웠는데요
클레멘티아
12/04/19 14:19
수정 아이콘
봇은 솔직히 흥한 편아닌가요? cs 30차이는 계속 난거 같던데요;; 그렇다고 알리 로밍이 성공한 것도 아니었고요....
솔직히 초반 1렙 싸움에서 로코도코가 킬 안 먹었더라면 더욱 차이나겠죠..
3경기는 막눈의 장 운동이 큰 영향을 미쳣다고 봅니다..
프링글스
12/04/19 14:32
수정 아이콘
원래 mig의 계획은 알리로밍,우르갓 솔플 인데 상대도 우르갓이 나와버려서 약간 꼬인거라고 봐야할 것 같습니다.
알리가 꽤나 오래 자리를 비웠었는데 그래도 그정도면 로코로서는 선방한거죠.
그리고 딱히 타릭이 잘했다기 보단 그 상황에서는 소라카가 서포터를 했어도 그정도 차이는 벌릴 수 있었다고 봐요.
오히려 경험치 못먹게 디나이 시키거나 더욱더 압박 할 수 있었을 것 같았는데 말이죠.
같은 원딜+서포터 를 가지고 있는데 cs30차이에 경험치는 비슷하다면 오히려 손해 아닌가요.
一切唯心造
12/04/19 14:30
수정 아이콘
봇듀오전에서는 좋은데 한타에서는 알리나 잔나에 비해 약하지 않나 싶습니다
흰코뿔소
12/04/19 14:49
수정 아이콘
워3때부터 그랬지만 오라는 과소평가 받는 감이 있긴 합니다.
타릭을 잘 몰라서 타릭이 과소평가 받는지는 모르겠지만;
darkmusic
12/04/19 14:56
수정 아이콘
타릭이 탄탄하고 좋은데, 어그로가 약한것 같아요. 타릭, 원딜 같이 있으면 짧은 스턴 하나밖에 없는 타릭을 버리고 원딜만 때리죠.
타릭 때려봐야 단단해서 안죽으니까요. 그렇다고 힐이 쎄게 들어가는것도 아니구요. 그래서 사람들이 별로 안하는것 같습니다.
방어 오라때문에 원딜끼리 교전시 이득이 있겠지만 그런건 보이지 않으니까요.
이런거 잘 모르면 같이 딜교환하면 타릭쪽이 이길때가 많죠.
뭘해야지
12/04/19 15:01
수정 아이콘
어제겜 타릭이라서 CS를 더 벌릴수 있던건가요? 솔직히 어떤서폿이 와도 2:1인데 디나이 당하는게 맞지않나요?
이점이 너무 궁금해서 질게에 물어보고 싶었는데..
동모형
12/04/19 15:10
수정 아이콘
물론 상대 소가 로밍을 다녀서 봇에서 디나잉하긴햇습니다. 하지만 지금껏 타릭하면서 소한테는 안되었습니다. 초반에 이득을 보지 못하면 후반에 큰 힘을 못쓰는것도 그렇고요.
글쎄 천상계 분들은 어떨지 모르겠지만 나름 핑크타릭까지 사들고 애정있게 했었습니다만, 타릭을 연구하는것보다 소를 연습하는게 더 좋겠다는 생각에 요즘 안하고 있는데 어제 경기도 그냥 그렇게 된 것 같았습니다.
네버로드
12/04/19 15:13
수정 아이콘
어제 타릭 고른게 그렇게까지 패배에 큰 영향을 준것 같지는 않은데..
봇라인은 솔직히 cs차이 엄청 났습니다 일반적인 원딜이었으면 mig가 완전 망하는 거였는데
로코도코가 한타때 계속 히로랑 궁극기로 위치변환하면서 죽어주니까 상대적으로 영향이 별로 없었던거고
막눈 올라프가 건웅 보다 훨씬 못큰거랑 모쿠자 마오카이가 초반에 망한반면 쉔이 계속 따로 푸쉬하면서 cs를
잘챙긴게 훨씬 큰 요인이라고 생각하네요
정성남자
12/04/19 15:13
수정 아이콘
LOL전문사이트도 아닌 pgr에 헌민님이 답답해서 이런글 올린건 이해가 됩니다만...TT

여기서 이런 질문해도 그냥 대세, 사람들이 하던대로정도의 답변밖에 못듣습니다~

제 생각으로는 그냥 지금 현재 대세가 원딜을 지키는 cc가 2개존재하는 잔나, 알리가 선호되는 시대인거 같아요. 하지만 타릭의 패시브 아머 오오라는 봇라인에 확실한 유리함을 주며, 렙6 폭딜도 빠지지않지요. 거기다 원거리 타겟형 스턴은 lol에서 몇없는 S급 스킬이고요.

성능은 전혀 밀리는게 없지만 현재 대세가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아 그리고, 어설픈 알리, 잔나보다는 어설픈 타릭이 훨씬 솔로큐에서 좋습니다. 타릭을 잘만 다루면 봇라인에서 지기 어려워요.

조금 Q의 힐량을 어떻게 했으면 하는 소망도 있네요. 지금은 너무 힐량이 적어서 스킬하나 빼놓고 게임하는 느낌도 들더라고요.
12/04/19 15:33
수정 아이콘
많은분들이 착각하고계시는게 어제 3경기에서 승패의 요인은 타릭vs알리에서 나온게아니고 탑에있는 올라프의 차이에서 나온겁니다...
너무 매라광팬분들이 많으신듯.........
정성남자
12/04/19 15:35
수정 아이콘
조금 더 생각해봤는데, 현재 타릭이 잘 안보이는 이유는

1. 파밍형 정글러의 대두 - 갱킹형 정글러가 비선호되면서 원거리 타겟형 스턴을 가진 타릭과의 연계 플레이도 자연스럽게 죽어버렸다.

2. 타릭과의 최적 궁합을 보여주는 케이틀린, 시비르의 너프 - 한때 봇을 제패하던 타릭 + 케이틀린 조합이 사라졌고, 한때 강력했던 타릭 + 시비르또한 시비르의 너프로 안쓰이게 되었다.

3. 1번과의 연계와 더불어 봇싸움 자체에서 킬/디나이 현상이 줄어들고 최적화된 와딩 플레이가 가능해져서, 원딜에서 급격한 차이가 벌어지는 일이 줄어들었다 - 결국 한타때 원딜의 역할이 커지고, 그 원딜을 지킬수있는 cc에 최적화된 잔나와 알리스타가 대세로 떠오르게되었다.

정도가 아닐까 싶네요.

'타릭이 구린게 아니라 알리가 훨씬 좋져.' 이런 단순한 문제가 절대 아닙니다. 성능차이는 없다고 봐도 되고요.
12/04/19 16:40
수정 아이콘
타릭때문에 졌다가 아니라, 타릭임에도 불구하고 봇 솔로 우르곳을 제압 못해서 졌다. 가 맞지 않을까 싶네요.
실제로 우르곳-타릭 조합은 굉장히 강력하고, 봇라인에서 킬이 심심치않게 나와야 정상인 조합인데(알리 vs 타릭은 초반에 타릭이 무조건 이깁니다)
봇에서 라인을 너무 푸시하다보니 오히려 디나이를 못하는 상황이 나왔죠..
우르곳 자체가 사거리가 짧다보니 타워를 미는데 수월한 캐가 아님을 생각해 본다면 아예 라인을 나진 타워쪽으로 당겨서 로코도코를 확실히 디나이하는것이 좋은 판단이었을것 같네요.
12/04/19 16:48
수정 아이콘
무적기가 거의 없어 무빙이 매우 중요한 LOL의 특성과 성장이 거의 불가능한 EU스타일 서포터의 특성을 조합해보았을 때
현재 알리 잔나 서포터 대세의 핵심은 밀치기를 통한 위치 강제이동과 광역에어본에 있다고 봅니다.
슬로우나 스턴 등의 다른 CC에 비해 위치강제이동은 한타싸움에서 아군딜러에게 유리한 상황을 만들수 있는 활용도가 높고
광역에어본의 경우 공중 체류시간까지 이동불가시간에 포함되므로 5:5 한타 싸움에서 3~4챔프가 공중에 두세번씩 뜨게 되는것은
포지션과 딜로스에 어마어마한 영향이니까요. 초중반 소수 교전은 위에서 설명해 주신것처럼 타릭이 한수 위일수 있겠지만
중반이후 한타 기여도적인 측면에서 타릭보다는 잔나 알리의 손을 들어줄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최근 정글러 픽 대세가 갱보다는 정글속도 및 한타 활용도에 초점이 맞추진 것도 한몫 했겠지요.
花非花
12/04/19 16:53
수정 아이콘
매라선수가 말했듯이 타릭의 가장 큰 단점은 고수가 하나 초보가 하나 그다지 차이가 없다는 거죠.

익히기는 쉬우나 잔나, 알리 급의 한타 기여도 혹은 원딜 보호가 전혀 되질 않는다는 점이 메리트가 떨어지죠.
12/04/19 20:35
수정 아이콘
대회수준은 정성남자님 말이 맞는 것 같고,

솔큐는 타릭이 좋다고 봅니다.

한타고 뭐고 라인전흥함 -> 한타 흥함이 이어지는 솔큐 픽밴수준에서는 타릭이 알리보다 좋다고 봅니다.

솔직히 한국서버에서는 인식이 알리가 갑... 이라서 다들 실력이 되든 안되든 알리픽하고 보는데,

그 때문에 타릭 유저가 없어서인지는 몰라도 개인적으로 타릭하고 라인섰을 때 져본 적이 없습니다.

실제로 알리보다 안정적으로 확정적인 스턴을 원거리에서 넣어줄 수 있는 타릭이 좋은 점이 분명히 있고,

타릭의 방어오오라는 베인 vs 무덤에서 베인이 방어력으로 무덤을 누르는 결과를 만들기도 합니다.

제가 베인으로 굉장히 여러판을 해본 결과, 상대 무덤조합 상대시 무덤의 서포터가 알리가 아닌 다음에야

베인타릭 vs 무덤+@ (알리제외) 인 경우가 베인알리 vs 무덤+@ 인 경우보다 편하더군요. 더 안정적이고 킬도 쉽게 땄습니다.

알리는 CC가 너무 좋아서 알리 상대로는 타릭이 이니시를 먼저 걸수 가 없어서 뺀거구요.
릴리러쉬.
12/04/20 03:08
수정 아이콘
한타기여도가 좀 낮죠.
라인전에서는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소나는 광역스턴 ,알리의 에어본과 박치기, 잔나의 팀을 살리거나 혹은 적의 진영파과하는 궁에 비해서 좀 딸리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2438 인류멸망보고서.. 그렇게 재미없나요? [5] greensocks2103 12/04/19 2103
132437 lol 탑라인에서 흡혈3%차이가 큰가요? [8] 반반쓰2136 12/04/19 2136
132436 첫 동원 예비군 질문입니다.. [8] 리니시아2678 12/04/19 2678
132435 덤벨 운동 관련 질문 [1] 지금은소녀시��1538 12/04/19 1538
132434 나자리베개 써보신분? [1] 아레스5929 12/04/19 5929
132432 현재 갤노트 루팅해서 아샌 입힐수 있나요? [1] 레몬커피1740 12/04/19 1740
132430 삼성야구 현재 상황에 대한 질문입니다. [10] 케타로2153 12/04/19 2153
132429 lol 다시보기질문입니다 [3] 밖으로1540 12/04/19 1540
132428 수학기호 ≡ 이거의 영어 발음은 어떻게 되나요? [4] honnysun2692 12/04/19 2692
132427 [lol]다들 타릭이 구리다고 생각하시나요? [35] 이헌민2436 12/04/19 2436
132425 모르는 전화번호 질문입니다. [4] 카네다 갱신했다1527 12/04/19 1527
132424 리니지2 하시는분께 부탁드립니다. [3] 왼손잡이1739 12/04/19 1739
132423 자동차 시가잭 퓨즈가 계속 터지는데요.. [2] 모십사1589 12/04/19 1589
132422 밝고 기분 좋아지는 힙합곡 추천 해주세요. [7] 유안1600 12/04/19 1600
132421 축구부상 질문입니다. 젯빛노을1766 12/04/19 1766
132420 기말고사 시험범위가 전범위 [8] hyde2262361 12/04/19 2361
132419 [lol]어제 롤클라시코 3경기 픽밴관련 질문입니다. [7] 포아2120 12/04/19 2120
132418 피지알 html 모노크롬1544 12/04/19 1544
132417 디아3 잠깐이라도 해보신분 어떤가요 [6] 아레스2101 12/04/19 2101
132416 남자 컨버스화 색 가장 무난한게 뭔가요? [8] 진리는나의빛2973 12/04/19 2973
132415 미묘한 상황에 대한 조언 [4] 배려1613 12/04/19 1613
132414 선글라스 어디서 사야 할까요 [5] 기리1772 12/04/19 1772
132413 신용카드 선결제 후 한도 회복과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2] Nair4823 12/04/19 482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