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2/04/16 22:59:15
Name 비빔면
Subject 인생이 너무 지리지멸하게 느껴집니다.........
24살입니다.

군대 다녀왔고, 행정병으로 갔다가 욕먹는것, 행군하는것 도터서 돌아왔습니다.


대학교는 인서울 중하위권 상경대입니다.

경제를 좋아해서 잘 맞는다 생각했는데 국제통상(무역)은 저에게 아무런 흥미를 불러 일으킬 수 없었습니다.

전과생인데다가 딱히 사람들 사귀는데 취미가 없다보니(중, 고등학교 친구만 계속 유지되네요.)

자연스레 학교를 혼자 다니게 되었고,

자발적 아싸라고는 하지만 실질적으로 반강제적 아싸를 당한다는 느낌에

혼자서 밥먹기도 싫더군요.

전공도 저에게 안맞다보니 공부를 전혀 안하고

저번엔 6전공이었는데 모두 하루 이틀전에 밤새가며 벼락치기 했지만 잘 나올리가 있겠습니까..


이번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시간표를 좀 널널하게 짰는데

널널한거랑 전혀 상관이 없더군요. 인터넷시험인 SELC라는 교양시험도 B도 간당간당하게 생겼습니다.

전공은 다음주부터 볼텐데 언제 시험인지도 잘 모르는데 물어볼 사람도 없고요.

요즘 낙은 오직 LOL하는거 밖에 없습니다.(2달동안 600판 했네요. 현실이 너무 짜증나서)

전공공부 여태까지 하나도 안했습니다. 퀴즈도 다 망했고요.


집안에서도 스트레스 받습니다. 남들은 어디갔다더라, 생전 처음듣는 친구이름을 들먹이면서

삼성SDI에 들어갔네, 건설쪽에 들어갔네, 하여튼 비교하는거 참 좋아하십니다.

저보다 학벌이 안좋거나 행실이 안좋은 주변 이야기는 일절 안하고 오직 저보다 잘난 친구들 이야기만 합니다.

거기에 조금이라도 뭐라고 하려고 치면 쌍욕에 역으로 역정을 내면서 너는 뭐하는 짓거리냐고 하십니다.

밖에 나갈곳도 없고.. 조용히 집에서 있습니다.


여자친구도 스트레스 받습니다. 과거에 대해서 거짓말 친게 몇 개 있어서 아직도 저는 그녀를 믿지 못합니다.

하필이면 남자관계 거짓말입니다. 만날때야 스킨쉽하고 그러니깐 좋지만 사실 사랑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안타깝게도 제 중학교시절 많이 좋아했던 아이었습니다. 순수한 사랑을 하고 싶었는데 그녀의 과거 이야기때문에 망했습니다.


핸드폰 터치오류로 작동이상에 최하옵으로 LOL을 돌리던 42만원짜리 노트북까지 말썽입니다.

정말 마음에 드는게 하나도 없습니다.

입술 오른쪽은 터졌고, 스트레스와 음식섭취부족과 피로(밤새면서 LOL하느라) 편도선염까지 걸렸고

스트레스받고 담배펴서 가뜩이나 기흉걸렸던 몸이 더 안좋아지고 있습니다. 호흡에 곤란도 느끼고요.


저는 이런데 주변 친구들은 어떻게든 열심히 살더군요.

얼마 전 심리검사를 받았는데 불안감, 우울, 분노가 최상으로 나왔습니다.

스트레스 대처, 자존감은 최하가 나왔고요.

상담교수님께 보여드리니 왠만하면 안그러는데 너는 꼭 병원을 가보라고 하십니다.


미치겠습니다. 하소연할 곳도 없습니다.

부모님은 보수주의의 극이고, 친구들도 다 바쁘게 살고, 여자친구는 진지한 얘기를 싫어하는 철 없는 애입니다.

제가 자주찾던 PGR에 글이라도 올려봅니다.

저, 지금 괜찮나요?


ps. 솔직히 중도휴학이라도 하고싶은데 등록금이 아까워서 그건 또 안되고...

그러자니 이번엔 학점을 정말 3점 이하로 받을 것 같은데 3학년 1학기에 이렇게 망해버리면 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절름발이이리
12/04/16 23:03
수정 아이콘
안 괜찮습니다. 병원이나 전문 상담센터 가 보세요.
12/04/16 23:10
수정 아이콘
제가 충고할 처지는 아니지만 그냥 휴학하시고 여자친구 안맞는사람 다 정리하시고 그냥 머리속비우시고
처음부터 시작하시는게 ...
Bequette
12/04/16 23:18
수정 아이콘
상담교수님이 최소한의 상담 안해주시고 바로 병원가라 하시나요..?
학교내에 상담센터가 있다면 일단 방문해보세요. 아니면 외부에 있는 곳으로라도...
그리고 여자친구는.. 왜 만나고 있는건지;;
일단 짜증난다 싶은 관계 정리를 하시고..
긴 이야기를 나눌 친구가 있다면 자주 만나거나 메일로라도 털어놓다보면 마음이 풀리거나, 스스로 말을 하고 글을 쓰면서 '아 내 생각이 이렇구나..'하고 알게 됩니다. 그게 치료?치유?의 시작이자 반이더군요...
학교는 이번학기까지는 일단 마칩시다.
(게임말고) 음악을 들어보고 연극을 봐보는 것도 생각 전환에 도움이 될 수 있어요. (반반의 확률입니다만..)
데미캣
12/04/16 23:25
수정 아이콘
이왕 노트북 고장난거, LOL 끊으세요. 아니면 줄이시던가.
그리고 최대한 대외활동 늘리려고 노력해보세요. 연합동아리라던가, 봉사활동이라던가. 20살 새내기만 구하는 게 아닌 다양한 연령대,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있는 곳 많습니다. 아싸라면 이런 곳에라도 참여해서 최대한 사람들을 만나고, 세상 돌아가는 것에 대한 식견을 늘리고, 그를 통해 나에 대한 반성도 좀 하셔야 될 것 같습니다.

모든 상황을 부정적으로 바라보지 마시고, 조금만 더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노력을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지금 흥미를 못 붙이는 전공도 조금만 더 노력하고 흥미를 붙이면 재밌게 즐길 수 있습니다.

저 역시 서울 하위권 법학과 다니고, 1학년 내내 2번 학사경고(평점 0.5정도 됩니다.) 받고 공익근무요원 다녀왔습니다.
복학을 했지만, 정신 못차리고 2학년 1학기때 학점은 2.7.
사실 중앙 동아리 활동을 해서 모르는 사람이 없는 건 아니지만, 정작 법학과에 아는 사람이 한명도 없어서 외로이 수업을 들었습니다. 혼자 수업 들으니 참 재미도 없고.. 밥도 혼자 먹으니 따분하고.. 공강시간은 지루하기만 했습니다.
저 역시 그당시 모든 상황을 부정적으로만 바라보고 모든게 흥미없는 시간이었습니다. 그래도 주위 친구들 바라보며 정신 차리고.. 내 자신에 대해 조금 더 냉철하게 바라보기 시작했고, 좀 더 의욕적이고 열심히 살자는 결심을 했습니다.

3학기 내내 열심히 들어본적 없는 법학 전공 수업도 흥미를 붙이니 조금씩 학점이 오르기 시작했고, 사소한 교양 수업도 정말 의욕적이고 미친듯이 듣기 시작했습니다. 남들 앞에 서는게 부끄러웠지만, 미친척 하고 조장 맡고 PT 발표도 나서서 하기 시작하고.. 이해가 안가는 전공 수업은 예습과 복습까지 하고.. 교수들과도 친분을 쌓기 시작했습니다. 생전 처음 해보는 일이었지만, 그렇게 의욕적으로 해보니 수업을 듣는게 생각보다 재밌습니다. 전처럼 따분하게 핸드폰게임하며 수업 시간을 보내는 것이 아니라, 교수님 한마디 한마디 놓치지 않고 필기하고,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은 여쭤가며 학문을 쌓아가는 과정이 그리 나쁘지만은 않습니다.

현재 4학년 1학기. 높지는 않지만 그래도 밑바닥을 기던 학점은 복구하기 시작했고, 봉사활동도 시작하고 동아리도 새로 가입하고.. 참 여러가지 일을 했습니다. 저 역시도 현 상황이 만족스럽지 않습니다. 다른 사람들에 비하면 스펙도 현저히 낮은 편이고, 하위권 문과인 탓에 아무리 상경을 부전공한다 해도 취업문이 밝지만은 않습니다. 집안 형편도 많이 어렵습니다. 토익학원, 자격증 공부를 위한 돈은 제가 직접 벌어 써야 하고, 늦둥이 동생 저녁을 챙겨주기 위해 집에 일찍 들어와야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래도, 열심히 한걸음씩 밟다 보면 조금씩 인생이 피리라는 생각을 가지고 살고 있습니다.

저같은 놈도 이렇게 살고 있습니다. 꿈도 없이 방황하던 시절도 있었지만 생각을 바꾸고 조금씩 노력한 끝에 조금은 무언가 보이는 삶을 살고 있습니다.

조금만 생각을 바꾸고, 마음가짐도, 행동도 바꾸려고 노력해보세요. 그리고 긍정적으로 바라보세요. 흥미가 없는 전공공부도, 애정이 없어 보이는 여자친구도 어쩌면 당신에게 가장 잘 맞는 전공일수도, 당신을 가장 사랑하는 소울메이트일 수도 있습니다. 분명 달라질 수 있습니다. 쉽게 포기하지 마시고, 좌절하지 마세요.

주제넘게 장문의 충고를 남기게 되어 죄송합니다. 저 역시도 못나디 못난 26살 형이지만, 길을 찾지 못하고 헤매는 동생이 안타까워 이렇게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힘을 내시고, 다음에 긍정적인 글로 찾아뵈었으면 좋겠습니다.
아라리
12/04/16 23:27
수정 아이콘
저도 뭐 충고할 입장은 아닌데.. 어디로라도 여행가세요 여행..
홍Yellow
12/04/16 23:28
수정 아이콘
자기 자신을 찾아 여행을 떠나보시는건 어떤가요
부모님께만 슬쩍 알리고 꼭 필요한 것들만 챙기셔서 사람 없는 조용한 강원도 등지의
시골같은 곳으로 떠나서 자연도 느껴보고 혼자 사색하는 시간도 가져보고
날 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12/04/16 23:39
수정 아이콘
병원을 가세요. 치료하면 금방 좋아지실겁니다.

생사의 기로에서 중환자실에서 누워서 "한번만 더 살게 해주면 자신을 희생하며 남을 위해 열심히 살겠다" 라고 다짐했던 게 두번인데 몇 일 못가더군요. 아프리카와 인도 등의 오지에서 어려운 사람들을 보며 수차례 다짐했건만 한국에 돌아오면 또 일상으로 돌아갑니다. 사람이 아무리 큰 어려움과 고난을 당해도 확실한 인생의 목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당장의 고통만 사라지면 금방 무너지고 나태해 집니다.

목표가 생겨서 열심히 하다보면 어떤 길이 열리고(직장도 하나의 예가 되겠군요), 그때부턴 좋든싫건 일을 하게 되며 사회에 적응해 나가게 되어 있습니다. 그때까지라도 열심히 달리시면 되죠.

가장 쉽고 빠른 해결책은 병원이나 이에 준하는 전문시설에서 도움을 줄 겁니다.
프리템포
12/04/17 00:10
수정 아이콘
예전의 저와 비슷한 것 같아 로그인하게 되네요
저도 방황 참 많이 했고 지금도 계속 자가치료중이네요. 확실한 건 많이 좋아졌습니다.
사람들이 몸이 아프면 병원 가거나 쉴 생각을 하는데 마음이 아프면 대처할 생각을 잘 안하더라구요..
저도 그런 걸 잘 몰랐는데 마음도 몸 못지 않게 돌보아야 하는 대상이란 걸 알고 그런 분야 관련 책도 많이 읽었었구요 (저 같은 경우는 우울증이랑 대인기피가 있었어요) 그런 분들 모임도 나가보았습니다. 생활 속에서 기분이 나아지는 여러 가지 방법을 지금도 계속 공부 중에 있구요

지금 비빔면님 상태는 마음이 많이 아프신 상태 같고 그래서 치료를 해야 되시는 상황 같아요. 일단 혼자 해결하려 하지 마시고 꼭 전문가의 도움을 구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러한 전문가는 병원이 될 수도 있고 심리서적이 될 수도 있고 상담전문가가 될 수도 있습니다. 편한 방향으로 선택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큰 서점에 가서 자신의 마음에 닿는 책을 몇 권 잡고 읽어보셨으면 좋겠어요. 우울증에 관련된 책도 좋고 아니면 그냥 기분 좋아지는 법, 또는 감정 관리, 하다못해 가벼운 자기계발서라도 괜찮습니다. 마음에 닿는 책을 찾고 그 내용을 조금씩 실천하다 보시면 분명 실마리가 보이실 거에요

그리고 지금 상태에서 하는 부정적인 생각이나 행동이 진짜 자기의 것이 아님을 아셨으면 합니다. 좋은 마음은 좋은 몸에서 옵니다. 지금 생활이 많이 무너지신 것 같은데 그러면 세로토닌 같은 감정호르몬 분비가 어긋나게 되거든요. 몸을 한 번 관리해보세요. 신선한 식품을 먹고, 햇빛을 10분이라도 쬐고, 게임 줄이시고, 물을 더 드시고, 30분이라도 걷고, 정말 편한 친구에게 조금이라도 마음을 털어놓고 이런 걸 일부러라도 조금씩 하시다 보면 몸이 건강해지면서 정신도 제 자리로 돌아오는 걸 느낄 수 있을 거에요. 그 때 하게 되는 건강한 사고와 행동이 진짜 자기의 것입니다. 몸의 호르몬 균형이 깨진 상태에서 느끼는 부정적 감정과 생각에 속지 마세요.

특히 전자파 노출을 하루 3시간 이내로 줄이시는 걸 권해드립니다. 컴퓨터를 하게 되면 전자파에 쏘이게 되는데 많이 노출될수록 무기력해지고 대뇌 활동이 둔해진다고 합니다. 그러시려면 지금 하시는 게임도 꼭 줄이셔야 할 것 같아요. 바깥에서 할 수 있는 많은 것들을 하루에 하나씩이라도 시도해보시면 좋겠어요.
12/04/17 00:19
수정 아이콘
아프니까 청춘이다 이책 읽어보세요. [m]
12/04/17 06:56
수정 아이콘
지금 33살입니다. 저도 26세쯤에 정말 힘든시기를 겪었던 기억이 납니다. 대학 수업도 안듣고.. 집에만 쳐박혀 와우만 하고
여친이랑 헤어지게 되고, 가장 가까운사람에게도 연락하지 못하는 히끼꼬모리 생활을 했습니다.

그냥 현실이 싫고, 내 미래는 하나도 없는것 같고, 밖에 돌아다니는 사람은 다 나보다 잘 난 것처럼 보였습니다.

별의 별 생각을 다 하던 중, 결국 정신을 차려보니 6개월이 지나있더군요. 아무것도 못하고 지나간 시간이 지금은 아쉽습니다.

그때 만 할 수 있었던 중요한 결정들이 있었는데.. 그때 이걸 했으면 나비효과가 생길 수 도 있었는데.. 하는 후회입니다.

이런말 속상하시겠지만.. 결국은 늦은 사춘기이고.. 결국은 어리광입니다.


음악이 들리면 스텝을 밟아야 한다고.. 서툴러도 할 수 있는한 열심히 춤을 춰야한다고 말했던 하루키처럼..

지금 할수 있는대로 열심히 스텝을 밟으셨으면 좋겠습니다.
흰코뿔소
12/04/18 14:52
수정 아이콘
LOL부터 끊으세요...
짜증난다고 회피하면 문제가 점점 더 커집니다..

경험담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2199 인생이 너무 지리지멸하게 느껴집니다......... [12] 비빔면3089 12/04/16 3089
132197 재산세 질문드립니다. [1] worcs1332 12/04/16 1332
132196 노래 질문 하나 드립니다. [2] 미레1281 12/04/16 1281
132195 다음주에 중국여행을 가보려고 합니다. 중국 여행지 추천 해주세요 [3] Eva0101829 12/04/16 1829
132194 여드름 질문입니다~ 견성오도1236 12/04/16 1236
132193 질문 및 건의 요~ [7] 메롱약오르징까꿍1258 12/04/16 1258
132191 사진프로그램질문입니다. [1] 올빼미1237 12/04/16 1237
132190 최근에 시작한 드라마 중 추천하는 것은? [15] BK_Zju1965 12/04/16 1965
132189 프로야구 10구단 생길 수 있을까요? [5] 국산꿀1563 12/04/16 1563
132188 크롬으로 갈아 탈려고 하는데요 [6] 유리자하드1562 12/04/16 1562
132187 [LOL]아이템으로 얻을수 있는 효과의 최대치...? [11] 굿바이키스2276 12/04/16 2276
132186 바탕화면 추천좀 부탁드리겠습니다 ^^ [7] 델몬트콜드1682 12/04/16 1682
132185 동영상에 특수효과? 필터링? 을 주는 어플을 만들고싶습니다! 계란후라이1522 12/04/16 1522
132183 벡터 외적 간단한 문제 [5] Krystal2915 12/04/16 2915
132182 치아교정 해보신분들께 질문입니다! [5] 유안1681 12/04/16 1681
132181 [lol] 탑 이렐리아 질문입니다. [24] Isin2090 12/04/16 2090
132180 lol 질문요!!! [3] 메롱약오르징까꿍1301 12/04/16 1301
132179 건의 합니다. 웹툰하나 보기를 건의 합니다. [3] 라리사리켈메v2084 12/04/16 2084
132178 기타로 연주된 곡 추천 부탁드립니다... [7] 송기범1431 12/04/16 1431
132177 푸홀스 in KBO 4할 가능할까요? [37] Tad2239 12/04/16 2239
132176 (경제학)국제무역론 관련질문입니다 [3] 창천항로1723 12/04/16 1723
132174 무릎 통증 관련 조언을 구합니다. [2] 라울1557 12/04/16 1557
132172 크롬질문입니다.. [2] poibos1800 12/04/16 180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