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2/04/02 18:54:47
Name 아크
Subject LOL 쉬바나 룬과 아이템, 운영 방법
정글 쉬바나를 배워 볼까 하는데

룬을 어떤 식으로 박아야 좋나요?? 공략들 보면

왕관 - 이속  빨강 -공속  노랑 - 고정방어  파랑 - 성장 마방

이렇게 박은게 좀 많던데, 쉬바나 정글은 이렇게 가는게 제일 무난하고 좋은가요?

이속룬은 왜 그렇게 비싼가요?;;;;; 하나당 2050씩이나 하고... 그만큼 대단한 효율성을 지녔나요??

그리고 아이템트리는 선랜턴을 가야 하는지?? 그리고 말렛, 아트마, 워모그 이런게 좋은가요??

그리고 정말 잘하시는 정글러분들 보면 빠른 타이밍에 오라클 들고 다니시는데, 어떤 타이밍에

오라클을 사서 들고 다니는게 정말 좋은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4/02 19:07
수정 아이콘
이속왕룬은 정말 돈값합니다. 사세요. 두번사세요.
오라클 타이밍은 그때그때 다르네요. 상대방 봐가면서 먹는 편입니다.
세르니안
12/04/02 19:07
수정 아이콘
쉬바나 정글은 적으신대로 쓰는게 가장 좋고요 / 아이템트리는 선랜턴후 말렛이 좋습니다 CC기가 없어서 말렛이 필수에요.

그리고 오라클은 보통 와드때문에 갱킹이 어렵거나, 1~2킬을 빠르게 따서 아예 말릴때 씁니다.

하지만 CC가없는 쉬바나 특성상 오라클갱킹보다는 그돈으로 상대방 정글에 와드를 박고 카정 가는게 좋습니다
이헌민
12/04/02 19:14
수정 아이콘
정글러가 가장 많이쓰는 왕룬이 이속입니다.수치상 많이 차이나진 않지만
쓰다가 안쓰면 엄청 느리게 느껴지죠.써보시면 아실거라고 말해드릴수 있겠네요.

랜턴많이가는 편입니다.1600이란 가격에 버릴게없는 옵션들이 다 달려있죠.
와드,체력흡수,공격력,방어력 미니언추가데미지까지
쉬바나같은 경우는 랜턴 생략하고 2도란정도 혹은 하오골이나 윗앤 페이지 이런식으로 가기도 합니다.
보통 AD딜탱같은경우 워모그,말렛중 하나를 가게되는데 워모그 너프이후 대부분 말렛을 갑니다.쉬바나의 경우 CC가 없기때문에
슬로우가 붙은 말렛은 코어템이나 마찬가지입니다.아트마는 워모그든 말렛이든 함께가면 효율좋은아이템 1순위구요.

빠른 오라클의 장점은 적 와드를 지움으로써 적 시야차단+적라이너의 위축을 유도할수있고 첫오라클을 먹은 상태로
오랫동안 생존하게되면 서포터가 오라클을 늦게 가져가도 되기때문에 이지스나 슈렐등이 빨리 나올수 있겠네요.
원추리
12/04/02 20:40
수정 아이콘
이속왕룬은 써보면 이거 진짜 좋구나 하는게 느껴집니다. 특히 왕룬에 뭐 써야될지 모르겠다 싶으면 그냥 이속왕룬써도 된다는 범용성도 있구요.
DirTy World
12/04/03 14:35
수정 아이콘
쉬바나는 호불호가 있긴 하지만, 개인적으로 선랜턴보다는 '닌자 신발' 이후 '마법사의 최후' 빌드가 좋다고 생각이 되네요.

랜턴은 평타딜이 주인 리신, 녹턴 등 일반적인 정글러와 아주 궁합이 좋은데, 정글속도가 빠른 쉬바나나 문도는 w 스킬 덕에 랜턴의 효율이 상대적으로 떨어집니다. 그 대신, 쉬바나 q쿨을 위해 공속을 올리는 것이 보다 효율이 좋습니다.

이 빌드가 좋은 이유는, 보통 초반템으로 300천갑+5포션을 가는데, 이후 똥신발-> 랜턴 대신 550원만 모아서 바로 2티어 신발인 닌자 신발로 초반 빠른 이속이 가능합니다.( 물론 초반부터 상대 CC들이 괴랄하다면 돈을 더 모아서 헤르메스를 가야합니다.. )

빠른 2티어 신발을 통해 쉬바나의 장점인 빠른 정글에 더욱 힘을 얻어 카운터 정글 뿐만 아니라 초반 갱킹도 보다 수월해 집니다.( 대신 와드는 여러개 사서 다니셔야 합니다. )

닌자 신발 이후 황금의 심장( 하오골 ) -> 마법사의 최후 -> 이후 팀 상황에 맞게 딜트리와 탱트리 중 선택하게 됩니다.

빠른 타이밍의 오라클은 초반 400원이 적은 돈이 아니기 때문에 신중하게 가야 합니다. 필요한 경우는 이렇습니다.

1. 상대방 정글 몹을 스틸하러 갔는데, 상대방 정글러 뿐만 아니라 상대팀 라이너가 백업을 빠른타이밍에 오는 경우
-> 쉬바나의 빠른 정글링을 통한 정글 스틸을 방어하기 위해 상대방 팀에서 자기쪽 정글 루트에 와딩을 해 놓는 경우 입니다. 이것은 딱 정해졌다고 할 수는 없고, 경험을 통해 "정글루트에 와딩이 되었구나" 라는 느낌을 습득하셔야 합니다.

2. 아군 봇,미드, 탑 어느 레인이든 심하게 디나이를 당하고 있을 때.
-> 초반에 적 레이너가 적극적인 디나이를 하기 위해서는 와드를 통해 갱킹에 대한 대비가 되어있어야 가능합니다. 이럴 때는 디나이 중인 레인 근처의 와드만 지워도 디나이중이던 상대방이 굉장히 소극적으로 변합니다.( 계속 푸쉬한다면 바로 갱킹! )

3. 기습적인 용 사냥을 위한 사전작업
-> 대부분의 상황에서 용이 나오고 나서부터는 항상 용 근처에 와딩이 되어있습니다. 이것만 지속적으로 지워준다면 언제든지 상대방이 예상못한 타이밍에 기습적으로 용 사냥을 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 주로 갱킹 루트 확보를 위해 오라클을 들기도 하지만 초반 오라클은 리스크가 너무 큽니다. 오라클을 먹은 상태에서 죽는다면 단순히 돈으로만 따져도 300+400 = 700 의 손해를 입는것이기 때문에 굉장히 소극적으로 플레이를 해야 합니다.

그렇지만 정글러 본연의 역할인 아군 레인들(탑,미들,봇) 의 수월한 라인전을 위해 초반 오라클은 이득이 잘 드러나진 않지만( 적 와드를 2~3개만 지워줘도 ) 장기적으로 상당한 이득을 아군에게 제공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1041 랭겜에서 블리츠의 위치는 어떤가요? [2] 릴리러쉬.2186 12/04/02 2186
131040 갤노트 이조건으로 샀는데요.. 얼마나 호구짓한걸까요 [41] 아레스2545 12/04/02 2545
131039 " 세상에 모든 사람들은 할 일이 있기 때문에 왔다. " 라는 의미의 사자성어나 고사성어 아시는 분? [2] 레일2114 12/04/02 2114
131038 자기소개서 질문입니다 [2] 카네다 갱신했다2183 12/04/02 2183
131037 한국에서 먹을 수있는 맛있는 맥주는 무엇일까요? [13] 갓의날개2074 12/04/02 2074
131035 자막 많은 사이트 추천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1] 유안1501 12/04/02 1501
131033 노래 질문합니다... [4] 라뱅1294 12/04/02 1294
131032 [lol] 레벨9 초보인데 같이하실분 계신가요?? [7] 동해참치1812 12/04/02 1812
131031 [lol]인피+팬댄 vs 블써+팬댄 [20] 형님3141 12/04/02 3141
131030 [lol]이즈리얼 플레이 조언 부탁드립니다. [9] 고마유2146 12/04/02 2146
131029 동원훈련 연기에대해서.. [6] 내사랑사랑아2308 12/04/02 2308
131028 LOL 쉬바나 룬과 아이템, 운영 방법 [5] 아크2129 12/04/02 2129
131027 여러분들은 디아3 첫케로 무엇을 할 계획인가요?? [13] 사진2575 12/04/02 2575
131026 감기약먹고 헌혈하면 안되나요? [3] 아스날5702 12/04/02 5702
131025 무선 랜카드를 사야하는데, 주의해서 봐야할 점이 따로 있을까요? [2] 아나키2187 12/04/02 2187
131024 [lol]요즘 피오라를 하고 있습니다. [6] 카서스2708 12/04/02 2708
131023 솔로가 되버린 제가 불쌍해 보였는지... [12] 싸구려신사3304 12/04/02 3304
131022 항공권 질문드려요~! [5] K21 IFV2109 12/04/02 2109
131021 부재자투표용지 받으신 분 있나요? [2] 프즈히2698 12/04/02 2698
131020 포토샵 질문입니다. [3] BISANG2102 12/04/02 2102
131019 [스포있어요] 화차, 김민희의 선택 [9] The HUSE2098 12/04/02 2098
131018 크롬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두번해라2956 12/04/02 2956
131017 적립식 펀드를 가입하려고 하는데 어떤 상품이 좋을까요? [9] 모래1882 12/04/02 188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