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2/03/26 13:36:07
Name 아우쿠소
Subject lol 블리치 크랭크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Pgrer 여러분 제가 많은 나이에 lol 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한방에 훅간건 스타2/디아 이후에 처음인것 같습니다. 시작한지는 5일 되었고

챔피언은 제목과 같이 블리치 크랭크만 했습니다. 물론 다른것도 다 해봐야겠지만 제가 원래 한우물만 파는 스타일이라

아마도 질릴때까지 크랭과 함깨할듯 해서 앞으로의 여러 방향에 관해서 질문드립니다.

현재 랩 15이고 IP 는 모두 모아서 약 13,000 정도 있습니다.게임은 일반방에서 20~30게임 정도 해봤습니다.
그리고 20랩이되면 룬이란걸 사야하는데 어떤걸 사야할까요 ??
특성등등은 인벤에서 보고 따라하는데 아이템을 고르기가 힘드네요 AD/AP 일시 어떤  아이템이 좋을까요??

제 겜트리는 초반에 요정의 부적 + 와드 3개 + 빨간약 2개 이렇게 시작합니다.
(블랭특성상 와드의 유무가 일반방에서는 유리하다고 생각하고 어차피 Sub 챔피온이기 때문에 댐딜보다는
원딜을 키워주는게 의무라고 생각해서요)

그리고 이후에 별일없으면 1,000원정도 모아서 현자의돌 + 와드

다음엔 신발 이렇게 다음엔 황금의 심장 다음엔 신발 업글 다음엔  빙하의 장막으로해서 얼어붙은심장 템트리를 타고

게임이 흥하면  슈렐리아의 몽상이나 삼위일제의 방템 정도까지 갑니다. 이런경우는 많이 없죠

제가 생각하는 블탱은 초반에 원딜 보조 + 와딩 & 후반에는 빠른 이속으로 어그로 끌기 & 가장중요한 한타쌈 유도 크랭

요정도 입니다. 이런 블리치로 키우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

아직 게임을 접한지 오래 되지 않았서 두서없는 질문이지만 답변해주시면 당장 내일부터 탬트리 & 룬조합 해보겠습니다.

긴글 읽어주시고 답변주셔셔 감사합니다.

Ps 게임에서 보는 사람들이 원딜이나 미드 or 솔탑 안부럽냐고 하는데 전 첨부터 블탱이 끌렸습니다. ^^
     생긴건 탱인데 갑옷이 함석이라 가끔 슬퍼요.. ^^
     블랭만 쭈~~욱 파보겠습니다. 여러분 블탱 장인 만들어주세욧..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블루라온
12/03/26 13:45
수정 아이콘
나중에 랭크게임도 하실 생각이라면, 다른 포지션도 다 보통을 할줄 알면서 블리츠 장인이 되셔야 할 겁니다.
장인이 되기 위해서 다른 캐릭들도 해보면서 내가 상대할 캐릭들의 장단점과 우리편 챔프와의 플레이조합을
고려하기 위한 지식을 쌓는 것도 필요하다고 보입니다.

1. 공략에서의 룬은 어디까지나 '참고'로 받아들이시고 본인 스타일에 따라 다르게 가져갈 수도 있습니다.
원딜 보조,와딩, 빠른 이속을 언급하셨는데 원딜을 보조해서 조금이라도 스킬 데미지를 높이실거라면
빨강에는 고정ap나 마법관통, 와딩을 위한 빠른 골드 획득을 위한 노랑룬은 10초당 골드, 이속을 높이기 위한 이속왕룬을
가져갈 수도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2. 아이템은 상대편 챔프와의 상성이나 그때 그때 상황에 따라 다르게 가야 합니다. 공략대로의 아이템을 맹신하는 것은
오히려 마이너스 효과를 가져 옵니다.

3. 한타싸움 유도는 보통 용싸움이나, 카운터 정글 혹은 상대의 카운터 정글을 막기 위한 협공에서 일어날 수 있는데,
이건 룬이나 아이템 마스터리보다는 운영의 묘에서 나오는 것이니 연습에 달려있다고 생각 되네요.
맞고치는아콘
12/03/26 13:51
수정 아이콘
처음에 블리츠면 핑와를 사셔야죠. 핑와의 유무가 굉장히 차이가 큽니다. 블리츠의 최대 무서운 점은 보이지 않는 부쉬에서 갑작스럽게 당기는 펀치나 w스킬 쓰고 튀어 나와서 띄우기인데, 핑와가 없으면 상대 서포터가 부쉬에 와드 박아서 상대편 듀오가 사거리 계산해서 무빙하기 때문에 생각보다 블리츠의 활약이 줄어듭니다.
그리고 아이템도 우리편 정글러와 의사소통 후 슈렐이나 군단의 방패 등을 먼저 가야지, '난 방템으로 오래 살아서 어그로를 제대로 끌테다!' 이런 마인드는 좀... 중요한 순간에 같은 편 전체에 도움이 되는 아이템이 전 서포터한테 있어서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나는 나
12/03/26 13:53
수정 아이콘
빨강:마관 or 물방
노랑:물방 or 돈
파랑:성장마방
보라:돈

특성은 9/0/21 or 0/9/21 빨강룬에 마관룬을 박았을땐 9/0/21에서 마관을찍는편이고, 물방룬으르 박았을땐 0/9/21을 가는편입니다.
템은 현돌-신발-하오골-오라클-슈렐-쿨감신-군단의 방패-란두인 이렇게 가는편입니다.
한타때 역활은 알리스타처럼 세미탱 역활을 하시면됩니다.
주로 봇라인에서 q 그랩으로 끌고 e 쓰고 r쓰고 이그져스트 콤보로 원딜과 함께 킬을내고, 또는 플레쉬 e 로 뛰우고 평타넣고 r쓰고 다시 도망가는거 q 그랩으로 끌고 이그저스트 쓰고 e쓰고 하는 식으로 킬을 땁니다.
한타때 역활은 q그랩으로 이니시에이팅을 할 수 있고, 주로 적 한가운데 w쓰고 들어가서 궁으로 침묵걸고 원딜이나 누커들 달라 붙는 애들
q 그랩으로 당기거나 e로 보호해주는 편입니다. 그리고 적진에서 란두인 써주시면 아주 좋습니다.
12/03/26 13:54
수정 아이콘
룬이란건 자신이 하는케릭에 따라 사는게 가장적절해보입니다 물론 공용ad룬,ap룬 모두 구매하면 좋긴한데 이제갖 시작하시는분들은 챔프도 사고싶은 욕심도 많은지라... 자신이 주로 ap챔프류를 하면ap룬을 사시고 아니면 ad룬 사시면됩니다
룬페이지가 2장이라는 압박감도 있구요

블리츠 크랭크가 일반노말게임에선 어느라인을 서도 애매한 챔프인데 하시는 템트리를 보니 서포터 형식을 하시는것같으니 그에따라 룬을 맞춰보면

데미지를 극대화 하려면 역시 ap룬을 사는게 가장좋습니다 계수가 높은편이라.. 하지만 서폿의 역할에 충실하지못하죠
룬세팅 (빨강 : 마법관통룬 노랑 : 고정마나리젠룬 or 성장마나리젠룬 파랑: 성장ap룬 or 고정 ap룬 왕룬 : 고정ap룬 or 이속룬)
이 되겟는데 별로 비추입니다

일반적인 서폿룬은
빨강 : 마법관통룬 노랑: 고정방어룬 파랑: 성장마방룬 왕룬 : 돈룬 (10초당 +1골)
혹은
빨강 : 마법관통룬 노랑: 돈룬(10초당 0.25골) 파랑 : 성장마방룬 왕룬: 돈룬
이렇게 갑니다 어차피 룬조합이라는건 상대라이너와 지금 자신이 할수있는 능력에따라 달라서 일반적인것만 알려드릴수밖에없습니다

가장 기본이 되는 공용룬조합은
AD룬 빨강 : 방어관통룬 노랑: 고정방어 파랑 : 성장마방 왕룬 : 고정데미지
or 빨강: 고정데미지 이하 동문

AP룬 빨강 : 마법관통룬 노랑: 성장마젠 or 고정마젠 파랑 : 성장ap 왕룬 : 고정ap 정도 되겟습니다

이정도 공용룬만 다살려고하더라도 20렙까지 챔프 하나안사고 ip다 꼴아박아야 사질겁니다 3150짜리 하나정도 사도되던가...

아 20렙이 되었다고해서 룬 빨강9개 노랑 9개 파랑 9 개 왕룬 3개 다쓸수는없습니다
빨강 6개 노랑 6개 파랑 6개 왕룬 2개해서 20개만 쓸수있어요 렙이 풀리면 한칸씩 풀려서 30렙엔
각자리 9개 왕룬 3개 다쓰실수있습니다
12/03/26 13:55
수정 아이콘
정글러가 슈렐을 가면 모르겠는데 그렇지 않을 경우 우리는 슈렐 없고 상대는 있고의 차이가 한타 때 굉장히 심합니다.
돈템 2개, 신발 업글 끝나면 바로 슈렐 테크 타는게 일반적이고 이 후에 돈남으면 군방, 돈이 더 생기면 고급템을 노려볼 수도 있겠죠.
화이트푸
12/03/26 14:23
수정 아이콘
슈렐리아의 유무는 싸울 때 혹은 빠질 때 판이하게 다른 결과를 불러올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빨리 가는게 좋죠.

와드 남의 정도에 따라 625원 정도 모이면 바로 현돌을 맞추러 집에 가시는것도 나쁘지 않구요.
신발가지 않고 바로 황금의 심장을 가는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 후에 신발 -> 이오니아를 가고 다음턴에 점화석을 가서 쿨타임을 더욱 줄여주면 R의 쿨이 정말 빨리 돌아와서 이래저래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
그 후에는 저는 란두인을 가기위한 템을 가는데 뭐 이런건 선택사항 이겠죠
(슈렐리아랑 란두인 모두 고유 사용 효과가 있기 때문이지요.)
illmatic
12/03/26 14:39
수정 아이콘
한참 글을 써고 복사하고서 봤더니 이미 많은 분들이 룬이나 템에 관한 이야기는 해주셨고 겹치는 부분이 많아서 생략하고 추가로 적었던 이야기만 남겨놓겠습니다. 저도 퇴근해서 근근히 게임하며 이제 막 만랩찍고 여전히 노말방에서 놀고있는 초보지만 그래도 처음시작해서 지금까지 몇달간 lol하면서 느낀거거든요.

질문과 조금 안맞는 이야기긴한데 처음 시작하시는분들이 많이 하는 오해가 장인케릭에 대한 오해입니다.
게임을 하다보면 가끔 보이죠. " 나 이케릭 장인임! " 하면서 칼픽을 똭!!
단도직입적으로 말하면 한케릭만 무조건 주구장창 한다고 장인은 아닙니다. 이거저거 다 자기 밥값하면서 진짜 이케릭만큼은 어떤 누구보다 잘한다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어야 장인이죠.
(lol관련 커뮤니티에서본 적절한 드립이 있으나 pgr에서 보기엔 좀 과격한 관계로 생략...)
나중에 랭겜가서의 픽같은건 둘째치더라도 장인이 되시려면 다른케릭도 해보셔야 합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본인이 원딜을 해보셔야 봇듀오에서 우리편 원딜이 지금 어떻게 해줄 수 있는지, 어떤 상황인지를 생각도 할 수 있습니다.
보통 원딜을 하려면 서폿부터 해보라는 말을 많이 합니다. 저는 서폿도 마찬가지라고 보거든요. 서폿을 하려면 원딜을 해봐야 우리원딜의 스킬이 어떤특성이고 쿨타임이 체감상 어느정도며 특히 가장 중요한건 우리 서폿이 어떻게 해줬을때 원딜입장에서 초반라인싸움이나 cs싸움에서 편안한지, 혹은 짜증이나는지 느껴보시는게 훨씬 도움이 됩니다. 이건 정말 원딜이던 서폿이던 하나만 주구장창해서는 느끼기 힘들어요. 아는 사람이랑 봇듀오로 시작해서 계속이야기하면서 맞춰가지 않는 이상은요.

그리고 정글러도 꼭 해보셔야합니다. 정글러를 해봐야 미니맵 보는것도 좀 늘고, 정글돌때 대략의 정글루트가 파악이 되거든요. 그러면 상대정글이 지금 어디쯤에있을 타이밍인지를 조금이나마 더 추측하기 쉽죠. 그래야 cv(천리안)를 드셨을때 cv적중률도 높아지구요.
게다가 정글러를 해보시면 느끼시겠지만 정글러는 라인전할때 게임 전체의 판을 보고 움직이게되는데 이게 나중에 게임 전체를 보는데 상당한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미드나 탑의 경우에도 경험을해보면 나쁠건 없겠지만 서폿위주로 게임을 하시겠다면 굳이 하셔야 할 필요는 없는데, 원딜과 정글러는 '꼭' 어느정도 이상 해보시길 권유드립니다.
우유친구제티
12/03/26 16:10
수정 아이콘
블리츠는 모든 기술이 q와 연계됐을 때 최고의 효율을 내는데 일단 잘 당기는 것이 중요하지만 언제 어디서 당길 것인지도 매우 중요한 까다로운 챔피언이죠. 트리스타나 같은 초반 극강의 원딜과 함께한다면 올ad룬에공격마스터리, 탈진을 들고 적극적으로 킬을 노리는 공격적운영도 매우 좋습니다. 룬,마스터리가 받쳐주는 초반e의 위력은 엄청나죠 [m]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0417 거시경제학 질문입니다 [5] 성시경2135 12/03/26 2135
130416 여러분들은 식 후 춘곤증 해결 어떻게 하시나요? [11] 클레멘티아2240 12/03/26 2240
130415 명의도용 관련해서 질문입니다. HarukaItoh2061 12/03/26 2061
130414 영화제목 질문입니다. (결말 스포가 있을수도 있습니다.) [9] seotaiji1891 12/03/26 1891
130413 usb 추천 부탁드릴게요. [2] 스트릭랜드2069 12/03/26 2069
130412 역류성 식도염에 대해서 혹시 아시는분 있으신가요??? [9] esang2748 12/03/26 2748
130411 중고 그래픽카드 구입 어디서 하나요? [2] 노비츠키2126 12/03/26 2126
130408 번역 요청드립니다. 라이디스2089 12/03/26 2089
130407 말할때 마다 '솔직히'로 시작하는 사람을 보면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29] 시크릿전효성3118 12/03/26 3118
130406 바탕화면에 설치하지 않은 아이콘들이 생성이 됩니다. 요우1972 12/03/26 1972
130405 발이 작아야 공을 잘찬다? [8] 낭만토스2560 12/03/26 2560
130403 lol 잭스 질문! [8] 속으론 수사반2132 12/03/26 2132
130402 매니아님들...정장시계 추천 부탁드립니다! [4] 상한우유2104 12/03/26 2104
130401 ASP.NET 아시는 분들께 질문 드립니다. [2] Johannes Climacus1707 12/03/26 1707
130400 파일조 같은 사이트들이 떠요. 어떻게 해결해야할까요? [2] 스트릭랜드10888 12/03/26 10888
130399 스타1 스타2 병행 정리 부탁드립니다. [3] RookieKid1562 12/03/26 1562
130398 대학생의 도서관 사용실태가 궁금합니다. [4] 오프라인표시1736 12/03/26 1736
130397 lol 블리치 크랭크 질문입니다. [8] 아우쿠소2170 12/03/26 2170
130396 웹툰 추천해주세요! [7] 임승현2132 12/03/26 2132
130395 게임용 노트북 질문입니다 [3] 공허진1533 12/03/26 1533
130394 유해차단 메시지가 뜨네요.. 유리자하드1321 12/03/26 1321
130393 이 닦고 난 후 바로 음식물을 먹으면?? [4] 유리자하드2761 12/03/26 2761
130392 [LoL] 요즘 탑솔 때문에 고민입니다. [5] 한아2100 12/03/26 210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