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2/03/23 17:42:31
Name hyde226
Subject 수학은 왜 이미지가 안 좋을까요?

예전에 과외학생한테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한 적이 있습니다.
"너네 반에서 수학을 가장 좋아하는 학생이 몇 명쯤 되니?"
학생의 답변은 "아무도 없는 것 같아요." 였습니다.
아마 전국의 10대 학생들을 상대로 전수조사를 해도
수학은 그 인기가 심해에 들꺼라 예상합니다.
이러한 점은 중고교 학생들에게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각 분야의 대표적인 이미지가
문학, 음악, 미술, 체육 = 삶을 풍요로게 해주는 교양
역사 = 과거를 통해 현재와 미래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의학 = 무병장수의 길
과학,공학 = 인류 문명에 있어 혁명을 가져다줌
경영학 = 장사하자 먹고살자 오늘도 방실방실 밝은 대한민국의 하루
이런 반면

수학은 더러운 계산, 복잡한 수식과 그래프, 어디다 써먹는거냐
이런 이미지가 지배적입니다. 어쩌다 이 지경까지 수학의 이미지가 추락했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3/23 17:45
수정 아이콘
어렸을 때는 이걸 나중에 쓰지도 않을텐데 라는 생각에서 부정적
커서는 어렵고 돈도 안되고...주변에 보니 수학 엄청 못하던 애가 돈은 잘벌고..
근데 대학은 가야겠으니 해야겠고... 미치는거죠 크크
12/03/23 17:46
수정 아이콘
하지만 법느님 의느님을 빼면 경영 경제가 갑이기 때문에
알게 모르게 다들 수학의 필요성은 느끼고 있을 겁니다.
싸구려신사
12/03/23 17:49
수정 아이콘
그렇네요. 수학을 좋아하고 잘하는 학생들이 생각보다 많긴한데 그런사람들 조차
겉으로는 수학 이상해~ 이거 왜해야 되는지 모르겠어~ 이러는거 같아요.
근데 수학잘하는 사람은 pgr에 다 모아둔거 같은건 저뿐인가요.
켈로그김
12/03/23 17:50
수정 아이콘
잘하기 어려운거니..

피할 수 없으면 즐기고,
잘할 수 없으면 싫어하라.. 이런 흐름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12/03/23 17:51
수정 아이콘
전 좋아합니다. 잘하진 못해도...

논리적 흐름이 명확한게 좋더라구요.
12/03/23 17:52
수정 아이콘
(못할때) 그나마 다른 과목은 지문이나 보기 보면서 어림짐작이라도 하지만 수학은 그런게 안되니 문제랄까요.

근데 수학 싫어서 문과를 오지만 정작 가장 문과에서 인기있는 상경계는 수학이 중요한게 ㅠ
도시의미학
12/03/23 17:53
수정 아이콘
전 제 특성이 죄다 문과쪽으로 있는거 같아서 오히려 수학이 좋더라구요
답이 딱딱 나온다는 그 부분이 최곱니다-_-b
아나키
12/03/23 17:53
수정 아이콘
별로 수학 이미지가 나쁘진 않은 것 같은데...

누군가 어디서 열심히 해주고 있기때문에 우리가 잘 먹고 살고 있지만 내가 하라고 하면 죽어도 못 할 것 같은 학문

이 정도 이미지 같습니다.
위원장
12/03/23 18:00
수정 아이콘
그냥 못하는 과목이 싫은 거죠
수학보다 영어가 싫은 사람도 많습니다
12/03/23 18:00
수정 아이콘
일단 어렵고, 학부생정도의 수학만 해도 어느정도 기초지식이 없으면 말그대로 손도 못대는 학문이라 ㅠㅠ
개인적으로는 모든 학문중에 가장 타고나야하는 학문이 수학이라고 생각합니다 ;;
12/03/23 18:01
수정 아이콘
못하니까 싫은거죠 전 고딩땐 좋았는데 아
새강이
12/03/23 18:04
수정 아이콘
저도 중2때까지는 좋아했지만..시러요 지금은 크크크
한걸음
12/03/23 18:07
수정 아이콘
추상화가 가장 고도로 이루어진 학문이라 그렇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m]
뒷짐진강아지
12/03/23 18:12
수정 아이콘
위원장님의 말이 맞는거 같습니다... 못하니까 싫어하는거죠...
제가 대표적으로 수학보다 영어를 더 싫어하는 사람이기에...
// 수학이 공학/과학의 근간이거늘... 라고 공돌이가 외쳐봅니다...
마늘향기
12/03/23 18:12
수정 아이콘
명확하고 논리적이라는 점도 그렇고,
암기 양도 타 과목에 적고,
공부 덜해도 성적이 잘 나와서 수학을 참 좋아했습니다.
12/03/23 18:16
수정 아이콘
저는 수학에 영어 나오면서 싫어진 것 같습니다..
jjohny=Kuma
12/03/23 18:18
수정 아이콘
수학도 본문에서 말한 것 같은 '이미지'는 과히 나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선호도로 생각해봐도, 찾아보면 수학 좋아하는 아이들도 은근 많구요.
(저는 선호과목이 언제나 수학 1등 과학 2등이었습니다. 그리고 과학 과목이 세분화되는 순간 그 즉시 물리 1등 수학 2등...)
그리고 '그 쪽 취향'인 아이들 말고, 역사나 문학 수업 같은 경우도 딱히 '좋아하는' 아이들은 별로 없지 않나요?^^;
이름과 숫자
12/03/23 18:20
수정 아이콘
뭐가 좋은지 전혀 납득도 못시키고 억지로 시키니까 그렇죠 -_-
라리사리켈메v
12/03/23 18:25
수정 아이콘
전 수학이 정말 좋았는데....... 보통 수학을 싫어하는 애들 대부분이... 초등학교 때 놀고 중학교 때 안하다가,
고등학교 때 하려니까 환장하는 케이스 였던 것 같아요.....
jjohny=Kuma
12/03/23 18:27
수정 아이콘
그런 건 있죠.^^; 다른 과목에 비해서 수학은 특히 '그 전까지 안 하다가 어느 시점에 새로 공부를 시작했을 때' 따라잡기 쉽지 않은 과목이니까요.
12/03/23 18:31
수정 아이콘
제 두뇌회로로는 도저히 수학적 사고가 안되서 그런지 수능때 고생한걸 생각하면 치가 떨리네요.
학과도 경영 경제 무역 뭐 이런건 1초의 고민도 안하고 순수인문을 골랐으니...
그런 사람입장에서는 그냥 어려워요. 고문당하는 기분입니다.
영어 역사 이런건 하루종일 공부해도 안지치는데...
jjohny=Kuma
12/03/23 18:33
수정 아이콘
저는 정반대였습니다. 심지어 수학은 다른 공부하다가 쉬거나 게임하는 느낌으로(정말 놀기엔 양심에 찔려서) 모의고사 한 회 풀고 그랬는데,
영어는... 영어는... 엉엉
케리건
12/03/23 18:47
수정 아이콘
난 밤샘공부할때 수학만 하면 잠이 안와서 아침엔 영어 과탐 새벽엔 수학공부했는데 다들 아닌가보군요 ㅠㅠ 제가 이상한건가요..
12/03/23 18:52
수정 아이콘
원래 못하면 싫어하는 법이죠. 게다가 다른 과목들에 비해 수학은 유독 추상화가 심한 과목이니까요. 뭐 전 영어가 정말 싫었습니다. 수학은 한번 해놓고나면 공부 더 안해도 되고 어려운 문제를 몇시간 고민해서 풀어냈을 때의 쾌감은 정말.. 오르가즘이 다른게 아니죠.크크 아 근데 영어는... 수능때도 총 틀린 것 중에서 영어 틀린게 팔할에 육박하는...
12/03/23 18:53
수정 아이콘
초등학교때까진 수학 그래도 그냥 그러려니 했는데
수학성적 때문에 외고 떨어지고 나서는 그냥 심해로 갔습니다.

공대를 수시로 갔는데 언어 외국어 점수로 커트라인 통과한게 유머..
Go_TheMarine
12/03/23 19:02
수정 아이콘
일단 잘해야 재밌죠~
못하면 싫어집니다.
제가 과학을 못해서 이과에서 문과로 왔어요...
터져라스캐럽
12/03/23 19:57
수정 아이콘
약간 좀 범생이가 좋아하는 학문이라는 이미지때문에
잘하는 학생들도 무의식적으로 좋아하진 않게 되는게 아닐까요?
summerlight
12/03/23 20:18
수정 아이콘
사실 한국식 교육을 받은 사람 입장에서 수학 좋아하기는 쉽지 않을 것 같아요. 저는 고등학교 때 좀 열심히 훈련을 해둔 덕에 지금도 그 덕을 톡톡히 보면서 살고 있습니다.
Wizard_Slayer
12/03/23 20:22
수정 아이콘
이과생들은 다 수학 좋아하지 않나요? 수학 좋아하거나 자신있으면 이과 싫으면 문과로 대부분 이과 문과 나뉘는 이유가 수학인데
가을독백
12/03/23 20:36
수정 아이콘
전 고등학생떄 국어,수학이 좋고 사회 과학이 싫어서 과를 정하는데 어려움을 겪었었습니다;;
수학은 문제 푸는 재미도 있었고, 저희 고등학생때 수학담당 선생님께서 "독백이가 못풀면 우리학교에선 풀 수 있는 애가 없는문제다'라는 이야기를 들은 뒤로 더욱 더 재미있어졌다고 할까요. 잘한다고 인정받은 뒤로 더욱더 재미가 붙었던것 같네요.
시험볼때 수학시험 끝나면 다들 제 답이랑 비교해서 맞았나 틀렸나 점수 확인하기도 했고요.(몇년전 고등학생 시절 제 유일한 자랑거리입니다.)
12/03/23 21:40
수정 아이콘
한국식 수학교육은 쓰레기죠
Siriuslee
12/03/23 22:59
수정 아이콘
전 영어보다 좋아합니다.
KS Drizzle
12/03/24 11:31
수정 아이콘
수학은 내가 공부하지 않을때 재밌는 학문인듯 해요 [m]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0181 [lol]cs잘챙기는 팁있나요?? [7] 요우2189 12/03/23 2189
130180 채용설명회 기념품 뭐 받고 싶으세요? [7] 블루드래곤1757 12/03/23 1757
130179 서울 고속터미널역 근처 24시간 커피숍하는 곳 있나요? [5] EternalSunshine3643 12/03/23 3643
130178 트로트 추천 부탁드립니다 [4] 양들의꿈1283 12/03/23 1283
130177 안드로이드에서 사진 연동 서비스가 있나요? [1] 고마유1183 12/03/23 1183
130175 [LOL] 친한 친구 1명과 할 수 있는 조합이 있을까요? [12] 자제해주세요2375 12/03/23 2375
130174 아이폰 액정이 부서졌습니다. [6] 박진희1331 12/03/23 1331
130173 수학은 왜 이미지가 안 좋을까요? [38] hyde2262195 12/03/23 2195
130172 결혼식 축가로 부를만한 좋은곡 추천부탁드립니다. [27] 금천궁2607 12/03/23 2607
130171 .. [22] Genius2618 12/03/23 2618
130170 PS VITA 게임 추천 해 주세요. [6] 케세라세라1669 12/03/23 1669
130169 자민당 vs 새누리당 Neo2247 12/03/23 2247
130168 여수박람회 재미있을까요?(부모님 동반여행) [15] linkage1694 12/03/23 1694
130167 횟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10] 감모여재1835 12/03/23 1835
130165 [lol] 초보가 질문좀 드립니다. (노말겜을 해보고 싶어요~) [13] stardust2790 12/03/23 2790
130164 GDP GNP 관련 질문 드릴게요 ! 공부하다가 잘몰라서 질문드립니다 .. [2] 이상해씨1629 12/03/23 1629
130163 여려분이 자신 있는 분야는 무엇인가요?? [45] 유안2179 12/03/23 2179
130160 국내 이동통신 업체들의 역사 관련 질문입니다. [1] 무료통화1221 12/03/23 1221
130159 pc 스피커 사려하는데.. 추천 좀 해주세요 [5] 우걱우걱열매1507 12/03/23 1507
130158 이 사람 이름이 뭐예요? (AKB48멤버) [6] FernandoTorres1910 12/03/23 1910
130157 2010대한항공 스타리그 당시 관중수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5] 파라디소1496 12/03/23 1496
130156 부천역 회식장소 추천해주세요. Power_0rc1600 12/03/23 1600
130155 주변 2-30대들 온라인커뮤니티 많이들 하나요? [12] Tad2114 12/03/23 211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