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3/15 15:18
주파수때문일걸로 알고있습니다.
현재 2G에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를 LTE로 바꿔써야하는 상황인데... 2G사용자들이 나는 이거 계속 쓰겠다 라고 하고있죠. 이에 KT는 강제로라도 전부 취소시키고 빨리 LTE로 넘어가고싶고.. 소송들어가고....뭐 이런거죠
12/03/15 15:57
4지 시대를 준비하기 위해 kt는 와이브로를 전국적으로 설치했습니다.
근데 세계적으로도 추세가 lte가 되면서 폰 출시도 lte방식으로 나오게 되었고 와이브로는 가장 큰 수익 모델을 잃었습니다. 아무래도 전국적으로 와이브로를 깔았는데 그것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면 손해를 볼 수 밖에 없죠. 그렇기 때문에 kt에서도 마냥 손을 놓고 있지만은 않았습니다. 갤럭시탭7과 와이브로 허브를 연동하여 결합 상품으로 팔기도 했고 와이브로 허브를 싼값에 놓아 와이파이 셔틀로 활용할 수 있게 했죠. 또 노트북과 묶어서 팔기도 하는 등 와이브로를 이용한 수익 모델을 지속적으로 창출하기도 했습니다. 유일한 정식 발매 와이브로 폰인 이보포지의 소비자 반응도 좋았구요.
12/03/15 16:01
근데 와이브로의 기반 기술을 우리나라에서 많이 갖고 있기 때문에 정통부/방통위가 세게 드라이브를 건 것도 있습니다.
뭐... 샘숭 같은데는 lte와 와이브로 사이에서 양다리를 잘 걸쳤는데 통신사는 어쩔 수 없이 한 박자 느려졌다고 해야 될까요...
12/03/15 18:29
기술적인 부분이야 lte와 와이브로 서로 장단점이 있으니 차치하고
세계표준에서 와이브로가 밀린 큰 이유중 하나가 삼성과 에트리가 핵심기술을 대부분 가지고 있어서죠 한마디로 견제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