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5/02/06 13:39:27
Name 손금불산입
File #1 1656628322786983799_n.jpg (178.6 KB), Download : 799
Link #1 무면허
Subject [스포츠] [KBO] 지난 4년간 10개 구단 연봉 순위


제목에는 연봉 순위라고 썼지만 샐러리캡에서 적용하는 기준이 연봉 상위 40명에 맞춘 자료입니다.

물론 FA 계약금 뻥튀기나 특정 연도 몰아주기 등은 고려가 되지 않은 사항이겠지만...

아무튼 요렇다고 하는군요. 그래도 다들 크게 차이나지는 않는데 키움은 독보적인 것 같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엘브로
25/02/06 13:41
수정 아이콘
22년도에 ssg에 무슨일이 있었나요?
무적LG오지환
25/02/06 13:44
수정 아이콘
샐러리캡 도입 대비해서 FA 계약이었던 김광현과 연장 계약 대상자 3명의 연봉을 저 해에 몰빵했었습니다.
한국화약주식회사
25/02/06 15:16
수정 아이콘
김광현 연봉 81억, 한유섬 24억, 문승원 16억, 박종훈 18억, 추신수 27억 (...) 등 연봉을 저 해에 모조리 몰아넣었습니다. 추신수야 그렇다 치더라도 다른 선수들은 다년계약이였기 때문에 셀캡 전에 몰아넣었죠.
25/02/06 14:05
수정 아이콘
키움은 22년 준우승 팀이다..
를 제외하면 상관관계가 있는건가
25/02/06 14:0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캡소비 하한선은 만듭시다
25/02/06 15:41
수정 아이콘
하한선이 필요한 이유가 있나요?
아스날
25/02/06 15:45
수정 아이콘
리그 경쟁력 아닐까요..
VictoryFood
25/02/06 15:50
수정 아이콘
상한선이 필요한 이유와 동일하죠.
상한을 둔 이유는 한 팀이 많은 돈으로 전력불균형을 만드는 것을 막고자 하는 것인데,
반대로 한 팀이 적은 돈으로 전력불균형을 만드는 것도 막아야 하니까요.
25/02/06 15:59
수정 아이콘
키움이 3년 연속 연봉 최하위지만 22년은 준우승했고 23 24년은 최하위 했지만 전력불균형이 심한 정도는 아니라.. 샐캡 하한선 이야기가 나올 이유가 없는것 같아서요. 
VictoryFood
25/02/06 16:23
수정 아이콘
똑같은 논리로 샐캡 상한선 넘었다고 우승 다 하는 거 아니고 전력 불균형도 심하지 않아서 상한선 이야기가 나올 필요가 없죠.
사실 샐캡은 구단이 돈 더 쓰기 싫다는 것이기는 하지만 그래도 명분이 전력 불균형이면 상한선 만큼, 아니 그 이상으로 하한선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25/02/06 16:38
수정 아이콘
그래서 저는 샐캡이 굳이 있어야 하나 싶긴한데 구단들이 원하는거니…
크보의 샐캡은 타 리그의 샐캡제도 보다는 크보의 용병연봉 상한선제도와 비슷하다고 생각되고, 전력 불균형이라는 명분이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김유라
25/02/06 16:44
수정 아이콘
키움이 투자에 비해 성적이 좋아서 덜 티나는 거긴 하지만, 사실 탱킹 제도에 대한 지적은 국내나 해외나 매번 끊임없이 나오긴 했었습니다.

존버하는 기간동안 팀성적은 떨어질 수 밖에 없고, 세금이 아닌 팬들의 소비로 유지되는 구단의 입장에서 "꼬우면 보지 말던가" 로 일관할 수는 없는 문제죠. 포스트시즌 진출 좌절됐다고 이렇게 된거 꼴지해서 드래프트 순위나 먹자면서 고의패배를 할 수 없듯이요.

탱킹하는건 자유인데 팬들을 위한 최소한의 예의는 지키자는거죠.
한국화약주식회사
25/02/06 20:09
수정 아이콘
미국 같은 경우에는 탱킹시 관중 감소나 시청률 감소등의 수익감소가 크기 때문에 진짜 가난한 팀은 탱킹 시도도 못하죠.오클랜드도 탱킹 좋은거 알지만 했다간 구단이 그 기간안에 죽는다 라고 어정쩡한 리툴링만 지속했고...

하지만 키움은 탱킹 시작한 2023부터 관중수는 늘고 있으니 입장 수익은 더 늘고, 시청률 감소는 어짜피 KBO가 통합으로 중계권 계약을 맺어놨으니 돈은 그대로 들어오고 탱킹으로 인한 금적전 피해가 없다시피 하죠. 기존 구단들은 모기업 체면때문이라도 탱킹하잔 말은 못하는데 (리빌딩 한다고 둘러둘러 하긴 합니다만..) 여긴 대놓고 탱킹을 한다한들 피해가 없으니 안하는게 이상하죠.
손금불산입
25/02/06 15:54
수정 아이콘
샐러리캡 취지에 대해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툭까고 말해서 상한선이 구단주들 돈 아끼려고 만든 것이 가장 본질에 가깝다고 본다면 하한선은 대놓고 투자 덜하면서 팬들 속 터지는거 덜 보려고 만드는 것에 가깝지 않을까 싶습니다.
25/02/06 20:35
수정 아이콘
하한선 이하면 선수들의 FA취득연도를 1년씩 깎아줬으면 좋겠습니다

잘하는 선수들이면 서비스타임에서라도 돈 많이 받을 유인이 될거 같아서요
코라이돈
25/02/06 14:10
수정 아이콘
그래도 MLB 비해서는 아직 상하위 격차가 별로 없네요
기사조련가
25/02/06 14:40
수정 아이콘
캡 하한선은 꼭 필요함
그래야 고액연봉 퇴물선수를 받아주고 유망주 받는 트레이드가 활성화 되거든요.
25/02/06 15:07
수정 아이콘
확실히 우승하고 나면 연봉이 확 뛰네요.
Lunar Eclipse
25/02/06 15:18
수정 아이콘
기아는 왜 연봉이 퐁당퐁당인지
지니팅커벨여행
25/02/06 16:28
수정 아이콘
그거슨... 성적도 퐁당퐁당이기 때문에...
VictoryFood
25/02/06 15:44
수정 아이콘
샐러리캡 상한선이 120%이니까 하한선도 80%로 해야죠.
21-22 평균금액이 95.2억이고 상한이 120%인 114.2억이니까 80%는 76.1억입니다.
키움 빼면 모두다 충족시키네요.
25/02/06 16:03
수정 아이콘
차라리 연봉 1위 팀과 최하위 팀을 제외하고 8개 팀의 평균으로 샐러리캡을 정하는 것이 합리적이지 않을까요. 
굳이 하한선이 필요해보이지는 않습니다.
VictoryFood
25/02/06 16:24
수정 아이콘
기준을 정하는 거야 알아서 정하면 된다고 봅니다.
다만 상한의 기준이 있다면 반대의 하한의 기준도 똑같이 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해요.
상한이 20%면 하한도 20%, 상한이 50%면 하한도 50% 이런 식으로요.
이른취침
25/02/06 16:50
수정 아이콘
취지는 공감하나 그렇게 되면 연봉인플레만 오고 전력차는 비슷할 것도 같아요.
꼼수가 없는 것도 아니구요.
25/02/06 16:30
수정 아이콘
롯데 연봉리그에서는 플옵 진출!!
handrake
25/02/06 16:32
수정 아이콘
샐캡 하한선 생기면 키움은 먹튀 고액연봉자를 돈받고 트레이드로 받을듯.....
세상사에지쳐
25/02/06 16:45
수정 아이콘
한화가 받는만큼하고있는중이었다니 욕한게미안해지네
위원장
25/02/06 17:02
수정 아이콘
2021년 기아 왜이리 적나 했더니 양현종 메이저 갔던 시기였군요
25/02/06 19:11
수정 아이콘
2025에는 기아가 1등하려나요
이시하라사토미
+ 25/02/07 09:20
수정 아이콘
56.8억에서 원종현 이형종이 11억...

아이고 머리야.............
제가LA에있을때
+ 25/02/07 10:43
수정 아이콘
하..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기타] 스연게 재오픈 및 운영방침 공지 [38] jjohny=쿠마 20/05/10 215712 0
공지 댓글잠금 [기타]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240604 0
공지 댓글잠금 [기타] 연예인 성범죄의 피해자 등에 대해 언급/암시/추정/질문하는 등의 행위를 금지합니다. [1] jjohny=쿠마 19/03/15 369648 0
공지 [기타] 몇몇 표현들에 대하여 가이드라인을 재공지합니다. [24] 17/10/25 442259 0
86976 [스포츠] [KBO] 갓직히 헌신한 것은 부정 못함 [8] 손금불산입1321 25/02/07 1321 0
86975 [스포츠] [KBO] 10개 구단 홍보팀이 뽑은 대세 인기 선수 [13] 손금불산입1259 25/02/07 1259 0
86974 [스포츠] [해축] ??? : 히히히 또 우리지롱 [4] 손금불산입1235 25/02/07 1235 0
86972 [연예]  '국민가수' 송대관, 오늘 별세 [66] 윌슨 블레이드4584 25/02/07 4584 0
86971 [연예] 뉴진스 새이름 확정 [123] 윤석열7547 25/02/07 7547 0
86970 [스포츠] 배성재, 품절남 된다…'14살 연하' 김다영 아나운서와 결혼 [120] 윤석열6244 25/02/07 6244 0
86969 [스포츠] [해외축구] 리버풀 vs 토트넘 카라바오컵 4강 2차전.gif (용량주의) [29] SKY922475 25/02/07 2475 0
86968 [연예] [아이브] 신곡 첫 무대도 선보이고 1위 앵콜까지 - 엠카 영상 모음 Davi4ever1376 25/02/07 1376 0
86967 [연예] 봉준호 감독 신작 <미키17>, 오늘 나온 포스터 근황 [8] 빼사스4126 25/02/06 4126 0
86966 [연예] [나는 솔로] 단 1기수만에 또대급 출연자 등판 [34] 갓기태8241 25/02/06 8241 0
86965 [스포츠] [MLB] 북극곰 피터 알론소 2년 $54M 뉴욕 메츠에 잔류 [8] kapH3169 25/02/06 3169 0
86964 [스포츠] [KBO] 지난 4년간 10개 구단 연봉 순위 [31] 손금불산입4698 25/02/06 4698 0
86963 [스포츠] [해축] 51개 클럽 프리미어리그 최다 출장 선수 [17] 손금불산입2767 25/02/06 2767 0
86962 [연예] 리센느 미니 2집 타이틀곡 'Glow Up' M/V (+쇼케이스 무대 영상) [4] Davi4ever1467 25/02/06 1467 0
86961 [스포츠] [해축] 리그컵 결승에 먼저 올라간 클럽은.mp4 [13] 손금불산입3162 25/02/06 3162 0
86960 [스포츠] 버틀러 골스행 [92] insane5994 25/02/06 5994 0
86959 [연예] [있지] 연날리는 유나 / 스타요리방 출연한 류진 [3] Davi4ever3103 25/02/05 3103 0
86958 [연예] [아이브] 'ATTITUDE' 뮤직비디오 리액션 / 장신즈가 된 단신즈 [2] Davi4ever2029 25/02/05 2029 0
86957 [연예] 올해 기대된다는 개봉 예정 한국 영화들 [39] a-ha8716 25/02/05 871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